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생태문화·생태복원] 미국의 생태계 보전제도 NWR과 펠리컨 아일랜드
    그동안 생태 복원 및 조경 시공 분야의 학술적 이론과 실무 정보를 선도적으로 이끌어 오던 『조경생태시공』을 발전적으로 개편하여 『에코스케이프』란 제호로 거듭나게 된 것을 축하드리며, 귀중한 지면을 빌어 필자가 답사했던 국내외 생태 문화자원의 보전 및 복원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필자는 학문적 관심을 공유하는 분들과 함께 ‘생태문화포럼’을 구성하여 기회가 될 때마다 생태 자원 및 문화 자원에 대한 답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이미 몇 차례 다른 지면을 통해 소개한바 있다. 그러나 답사를 통해 얻을 수 있었던 소중한 자료를 소개하기에는 많이 부족하여 늘 아쉬움이 남아 있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아직 소개하지 못했던 생태 문화 자원을 소개하고, 아울러 못 다한 얘기들을 마무리할 수 있게 되어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이번 호는 미국의 생태계 보전제도의 하나인 국가야생보호지역NWR; National Wildlife Refuge과 첫 번째 NWR로 지정되어 미국의 생태 보전 정책에 큰 획을 그었던 펠리컨 아일랜드Pelican Island NWR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NWR 시스템 맑은 물, 깨끗한 공기, 독특하고 풍부한 야생생물, 세계적인 수준의 생태적이고 친환경적인 레크리에이션…. NWR 시스템은 카리브 해에서 태평양까지, 메인 주에서 알래스카 주에 이르기까지 미국전역에 걸쳐 1억5천만 에이커에 달하는 토지와 물을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1903년 3월, 미국 플로리다 주의 대서양 연안 석호에 위치한 아주 작은 섬Pelican Island이 National Wildlife Refuge라는 생소한 이름의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당시만 해도 면적 1헥타르에 불과한 이 작고 보잘 것 없는 섬이, 현재까지 미국의 생태 환경 정책의 근간이 되는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는 아무도 상상하지 못했다. NWR은 USFWSUS Fish & Wildlife Service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야생생물 보호제도라고 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생태경관보전지역’이나 ‘야생생물특별보호구역’ 등과 유사한 제도다. 야생동물에게는 최적의 서식 환경을, 사람들에게는 특별한 생태 체험기회를 제공하고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는 생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로 기능하고 있다. NWR의 주요 임무는 미 국가 차원에서 어류 등 야생동물 및 식물의 생태 자원과 그 서식처를 복원하거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생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으로, 현재 및 미래 세대에게 특별한 생태 서비스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미국 내 대부분의 도시민들이 일상생활을 통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주요 대도시에서 1시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거리에 NWR을 지정해 생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사냥, 낚시, 야생동물 관찰, 환경 교육, 생태 해설, 자연 관찰 등의 활동을 제공하고 있다. 그 결과 연간 4천5백만 명이 방문하여 생태 관광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다. 현재 미국 전역에서 700종 이상의 조류와 220종 이상의 포유류, 250종 이상의 양서파충류, 1,000종 이상의 어류 등에게 서식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380종의 멸종위기종 또는 보호가 필요한 야생생물이 보호받으며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있다. 아울러 해마다 수천 마일을 이동하는 철새들에게 중간 기착지 또는 일시적인 서식지를 제공하고 있다. 1903년 3월 4일, 미국 루즈벨트 대통령의 대통령령에 의해 플로리다의 대서양 연안에 위치한 펠리컨 아일랜드가 첫 번째 NWR로 지정된 이래, 미국 본토 및 미국령에서 561개의 NWR이 지정되었고, 그 면적은 62km2를 넘는다. 이 중에는 물새 서식처로 중요한 습지가 8km2에 이르며, 그 외에도 도서, 호수, 산림, 사막, 산지 등이 포함되어 있다. NWR 지역은 ‘플라잉 구스flying goose’ 사인으로 입구와 경계를 표시한다. 이 작고 소박한 사인이 있는 곳은 미국을 대표하는 야생지역이며 생태적으로 의미가 있는 공간으로서 인류가 자연과 더불어 살고, 야생생물에게는 그들이 살기에 적합한 환경을 보호하고 제공해주며, 사람들에게 생태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구본학은 1959년 대전생으로,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졸업후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계획, 설계, 시공, 관리, 기술 개발 등 다양한 경험을 축적하였고, 혜천대학을 거쳐 현재는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환경 생태, 생태복원 분야에서 설계·시공과 관련된 공학적 이론을 접목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국제 규모의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하는 ‘생태문화포럼’을 주관하고 있다. 습지와생태 문화를 사랑하는 동료들과 함께 해외 중요 생태 문화 자원을 다수 탐방하였으며, 『습지생태학』 등의 저서가있다.
  • [저영향개발] 주거단지 오픈스페이스에 적용 가능한 침수 피해 저감 방안
    지난 2010년 광화문과 이듬해인 2011년 강남역등 우리나라 정치·경제의 중심지가 침수 피해를 겪으면서, 도시 홍수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피해 방지 긴급 대책과 아울러 법제도 개선을 통한 근원적인 도시 홍수 저감 방안을 수립하려는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이 잇따르고 있다. 이는 기존의 하수관거, 펌프장 그리고 대형 저류조 중심의 대책에서 분산형 빗물 관리를 병행하는 정책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분산형 빗물관리는 바라보는 관점과 접근 방법에 따라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그린인프라Green Infrastructure, 물순환도시설계Water Sensitive Urban Design 등으로도 불린다. 분산형 빗물 관리의 효과는 물 순환, 빗물 이용과 비점오염 저감 그리고 도시 침수 방재 기능으로 크게 구분되며, 소관 부처별로 해당 기능을 부각시킨 법제도의 신규 제정 또는 추가 개정 등을 마쳤거나 진행 중이다. 예를 들면, 국토교통부의 “도시ㆍ군계획 시설의 결정ㆍ구조 및 설치 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2013), “물 순환 도시의 조성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발의(2014. 2), 환경부의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2011),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개정(2013) 등이 있다.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서울시가 선도적으로 “서울시 물 순환 회복 및 저영향개발 기본 조례(2013. 12)”를 제정하고, 저영향개발LID 사전협의제를 운영하기로 함에 따라, 신축,재개발·재건축 등의 개발 사업에 분산형 빗물 관리 시설을 의무적으로 반영하도록 유도하는 제도적 틀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소방방재청은 기존자연재해대책법의 우수 유출 저감 사업 중에서 분산형 빗물 관리 시설에 대한 적용 범위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시행령을 개정하고자 해외 선진 사례연수를 하게 되었다. 이번 연수에는 소방방재청 기후변화대응과를 중심으로 전국 시·군 방재담당공무원 약 30여명이 참가하여, 독일의 도르트문트, 하노버, 함부르크 그리고 베를린의 주거단지, 대학, 연구소, 상업 업무 시설 등을 방문하였다. 아직 한국에 많이 소개되지 않은 도르트문트 사례를 통해, 오픈스페이스에서의 도시 침수 피해 저감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Nordrhein-Westfalen 주의 경제·상업 중심 도시인 도르트문트Dortmund 시에 위치한 도르트문트 공과대학교는 1900년에 설립되었으며, 학생 수는 약 2만 9천명에 이른다. 지난 2008년, 3시간 동안 약 200mm 이상의 극한강우가 발생하여, 이 대학교 캠퍼스와 기숙사가 물에 잠기는 등 엄청난 재산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를 계기로 학교 캠퍼스의 홍수 방어 능력을 진단하고, 대책을 수립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카이저 엔지니어링(홈페이지: kaiseringenieure.de) 사에서 계획 및 실시 설계를 맡았다. 이 회사의 대표인 카이저M.Kaiser는 독일의 대표적인 물순환도시설계 전문가이며, 분산형 빗물 관리 기법을 도시 계획, 조경 계획에 연계하는 많은 설계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권경호는 서울대학교와 동대학원에서 조경학 학·석사를 마쳤고, 베를린공과대학교 조경학과 응용 수문학 연구실과 토목공학과 도시 물관리 연구실에서 박사과정을 끝내고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저영향개발·분산형 빗물 관리, 저개발국긴급 식수 지원, 통일 대비 북한 상하수도 인프라 계획 등이다.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소장을 맡아 빗물 침투 박스, 생태 연못, 투수성 포장, 옥상녹화 등에 대한 제품 개발·설계·시공 업무를 수행한 바 있다. 현재 서울시 물순환시민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분산형 빗물 관리의 방재, 물순환, 비점오염 저감 기능을 도시 관리 계획과 조경 계획·설계에 연계시키는 업무를 하는 ‘물순환도시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소에서 서울시 물순환시설 모니터링 과제를 맡아 진행 중이다.
  • [어바이오] URBIO의 활동과 평창 CBD 당사국총회에서의 역할
    도시생물다양성은 인간의 정주 공간 내·외에서 발견되는 유전적 변이를 포함한 생물이나 서식처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용어다. 이는 그 도시의 경제·사회·문화적 가치와 인구 변화, 도시화의 영향을 받는데, 최근 외래종의 무분별한 도입과 급속한 도시 개발로 인해 급속하게 저하되고 있다. 이에 미래 세대를 위한 지구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데에 도시생물다양성의 보전과 보호가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되기 시작했으며, 생물다양성협약CBD이 체결된 후 2년마다 열리는 CBD 당사국총회COP에서 ‘도시와 생물다양성’이 주요 안건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올해에는 강원도 평창에서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가 열릴 예정이며, 도시와 생물다양성을 다루는 URBIO 총회도 동일 기간 중 한국에서 개최된다. URBIO 총회는 인천시 송도에서 개최될 것으로 언론에 보도된 바 있으나, 아직 도시와 장소는 확정되지 않았다. URBIO의 설립 배경과 의의 URBIOUrban Biodiversity and Design(도시생물다양성과 설계)는 UN 생물다양성협약 사무국UN CBD이나 ICLEI(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자치체협의회)와 연계하면서, 생물다양성협약을 도시에서 어떻게 실시해야 하는가, 도시가 생물다양성에 어떻게 관여해야 하는가에 대해 학술적으로 검토·지원하기 위해 연구·교육·기술자들로 구성된 국제 네트워크다. 2007년 3월 브라질 꾸리찌바Curitiba에서 개최된 ‘도시와 생물다양성: 2010년 목표의 달성’에 관한 회의와 그 성과인 ‘꾸리찌바선언’을 계기로 발족하였다. 제1회 회의인 ‘URBIO 2008’은 CBD의 COP9에 맞춰 독일 에르푸르트Erfurt에서 열렸으며, 당시 약 50개국 400명이 참가했다. 생태학자, 사회학자, 인류학자, 도시계획자, 조경설계자, 건축설계자 등 참가 분야도 다채로워 도시의 생물다양성에 대해 매우 넓은 시야에서 검토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독일 에르푸르트에서의 1차 대회URBIO Conference 2008 회의 성과로서 발표된 ‘에르푸르트선언 URBIO 2008’에서는 “도시의 생물다양성이야말로 많은 사람들에게 직접 체험 가능한 기회를 제공하는 유일한 생물다양성이며, 나아가 도시에서의 삶의 질 향상에 공헌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도시생물다양성의 조사와 평가, 문화·사회적 측면, 디자인·미래상, 생물다양성과 기후변동 등에 대한 연구를 학제적 그리고 장기적으로 실시할 것과, 그 성과가 디자인에 실제 반영되도록 하는 틀을 만드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선언은 최종적으로 COP9의 결의 IX/28(시 자치회와 지방정부의 참가 선언)로 채택되었다. 일본 나고야에서의 2차 대회URBIO Conference 2010COP10에 맞춰 2010년 5월 일본 나고야에서 열린 제2회 URBIO 컨퍼런스에서는 ‘생태계 네트워크에서의 도시의 생물다양성’이라는 주제로 30개국 46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340여개의 이론적, 실제적 결과물들의 발표와 전시가 있었다. 김남춘은 1957년생으로 서울대학교 조경학과에서 공부하였고, 동 대학원에서 조경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교수,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명예 회장, ICLEE 부회장, 환경부 환경규제개혁 T/F팀 자연환경분과 위원장, 환경부 도시생물다양성 포럼 위원장, MAB한국위원회 위원과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으로서 한국 도시 생물다양성과 설계 분야의 학문적 발전을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내년부터 2년간은 URBIO 사무총장, ICLEE 회장, 한국조경학회 수석부회장으로도 활동할 예정이다.
  • [특별기고] 조경공사 설계 시공 기준 표준화 건설공사 기준 코드 체계(KDS, KCS)로 일원화
    추진 배경 우리나라는 수주 규모로는 세계 7위의 건설 강국이지만, 국내 건설공사 기준은 ISO 등 국제 표준Global Standard과는 연계성이 떨어지고, 중복 및 상충되는 내용이 많아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건설공사 기준은 시설물의 안전, 품질 및 공사비와 직결되는 국가의 지적 자산이자 설계·시공자 등이 준수해야 할 기준임에도 불구하고, 규격 중심 체계로 인해 창의적 기술을 적용하기 어렵고, 개정 주기가 길어 신기술, 신공법을 적기에 반영하기 곤란한 상황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설계 기준 21종, 시공 기준 29종(표준시방서 21종, 전문시방서 8종) 등 총 50종의 건설공사 기준을 운영하고 있는데, 23개 학·협회에서 칸막이식으로 관리하여 기준간 중복 및 상충이 발생할뿐 아니라, 연계 검색이 어려운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고자 표준화된 통합코드 체계Numbering System로 변경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지난 2012년 5월 건설공사기준 선진화 로드맵을 수립하였고, 이후 전문가 간담회 개최, 관계기관의 의견 수렴을 거쳐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제119조 제3항의 규정에 의거하여 2013년 10월 31일 건설 기준 코드 체계를 고시(국토교통부 고시 제2013-640호)하였다. 건설공사 기준 코드 체계 •주요 내용 - 설계 기준 21종, 표준시방서 21종의 건설공사기준을 각각 1개의 코드 체계로 통합 - 공통되는 총칙 등은 공통편으로 통합·정리하여 중복·상충 소지를 제거하고 세부 코드 단위별 상시 업데이트 가능토록 개선 •기준 구성 - 설계 기준: 대분류 18개, 중분류 89개, 소분류 173개 - 표준시방서: 대분류 18개, 중분류 108개, 소분류 299개, 세분류 62개 •구성 형태 - 설계기준 코드는 KDS, 표준시방서 코드는 KCS로 각각 표기 - 코드 뒤에는 제·개정년도를 표시(예: KDS 31 1220:2014 목구조 설계 기준) 조경공사 설계 시공 기준 표준화 연구 추진 경과 조경 산업의 설계 기준 및 시방서 역시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미래 성장 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글로벌 스탠다드화 및 체계의 선진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상석은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에서 조경학 석사 학위를, 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조경학과에서 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5년부터 현대건설, 건화엔지니어링 등에서 설계 및 시공 실무 경력을 쌓았고기술사로 활동하였다. 이후 순천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교환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조경구조학』, 『경관, 조형 & 디자인』, 『조경디테일』, 『정원만들기』, 『아름다운 정원』, 『조경재료학』 등이 있다.
  • [전통정원] 일본의 명원6 무로마치 시대의 정원
    무로마치 시대室町時代(1338~1573년)는 아시카가 다카우지足利尊氏(1305~1358년)가 고묘光明 천황을 옹립하고 세이이타이쇼군征夷大將軍(이하 쇼군)에 임명된 연원延元 3년(1338년)부터 무로마치 막부가 멸망하는 원구元龜 4년(1573년)1까지, 235년의 시간적 범위를 가진다. 이 시대는 정원 문화사로 볼 때 황금기를 이룬 시대 중 하나로 일본 정원의 독특한 양식이 성립된 시기였다. 일본 역사상 무로마치 시대는 3단계로 구분된다. 초기는 남북조가 통일되는 원중元中 9년(1392년)까지이며, 이 시기를 ‘남북조시대’라고도 한다. 남북조시대는 헤이안 시대의 공가公家 문화와 무로마치 시대의 무가武家 문화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무로마치 문화가 형성되는 시기다. 중기는 원중 9년부터 전국시대가 시작되는 메이오明応 원년(1492년)까지를 말한다. 이 시기는 무로마치 막부 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足利義滿(1358~1408년)의 기타야마 문화北山文化와 8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足利義政(1436~1490년)의 히가시야마 문화東山文化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무로마치 문화의 융성기다. 말기는 호소카와마사모토細川政元가 10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타네足利義稙를 쫓아내고 요시즈미義澄를 황제로 옹립한 메이오 2년부터 무로마치막부가 막을 내리는 원구 4년까지를 말하는데, 이때를 전국시대라고 이른다. 전국시대는 오닌應仁 원년(1467년)에 일어난 ‘오닌의 난’으로부터 시작된다. 오닌의 난은 8대 쇼군인 요시마사의 후계자 내정을 둘러싸고 슈고다이묘守護大名2들의 대립이 얽히면서 11년간이나 지속된 내란이다. 요시마사는 자식이 없자 동생인 아시카가 요시미足利義視를 후계자로 정하고 관령인 호소카와 가쓰모토細川勝元를 후견자로 했다. 그러나 그 다음 해에 정실부인인 히노 도미코日野富子로부터 아들 아시카가 요시히사足利義尙가 태어나면서, 히노 도미코가 야마나 소젠山名宗全을 후견자로 삼았다. 결국 양측이 충돌하여 오닌의 난이 시작되었으나,3양군의 수뇌 즉, 동군의 호소카와 가쓰모토와 서군의 야마나 소젠이 잇달아 사망하면서 1477년 난은 흐지부지 끝나고 만다. 이 전쟁 탓에 교토는 황폐해지고, 무로마치 막부는 전국적인 정권으로서의 기능을 사실상 상실하게 된다. 이렇게 쇼군의 권위가 추락하는 것과 더불어 지방에서는, 슈고다이묘들이 그들의 영지를 지방에서 대신 다스려온 슈고다이守護代 등의 유력 가신들에게 지위를 빼앗기기도 하고, 슈고다이는 다시 고쿠진國人이라 불리던 토호에게 세력을 넘겨주게 되면서, 무가 사회에는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넘보는 하극상의 풍조가 만연했다. 이러한 풍조가 사회 각계각층에 미치게 되면서, 이후 전국시대라고 하는 1세기 간의 혼돈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정혜선, 2011). 무로마치 시대 초기(1338~1392년)의 정원 전국적으로 내란에 휩싸인 남북조시대는 무가 세력이 공가 세력을 압도하는 한편으로 민중세력이 형성되는 시대적 특성을 가진다. 가마쿠라 시대에 임제종은 가마쿠라 호조씨北条氏와 깊이 연계되어 발전했으나, 무로마치 시대에 들어와서도 막부로부터 두터운 보호와 지원을 받았다. 이러한 사실은 무로마치 시대의 정원 문화에 깊은 영향을 준 작용 인자가 된다. 교토에 막부를 연 아시카가 다카우지는 헤이안 시대의 공가 문화를 동경했다. 이것은 옛 그림古繪圖과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니조성二條城과 산조보몬三條坊門4 그리고 손자인 3대 쇼군 요시미쓰에 의해서 복원된 무로마치도노室町殿5 등에서 볼 수 있는 침전조의 건물과 정원이 쇼군 다카우지가 가졌던 삶의 단면을 살필 수 있는 훌륭한 증거가 된다. 생전에 3개, 사후 4개의 국사國師 호를 받아 칠조제사七朝帝師로 존숭되었던(枡野俊明, 2008, pp.220~221) 무소 소세키夢窓疎石(1275~1351년)는 아시카가 다카우지와 다다요시直義 형제의 청에 따라, 전쟁에서 죽은 적과 아군 모두의 영혼을 달래기 위한 안국사安國寺를 전국 곳곳에 창건하고 이생탑利生塔을 건립했다. 또한 고다이고後醍醐 천황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텐류지天龍寺를 창건하기도 한다. 무소 소세키가 가마쿠라 시대를 거쳐 무로마치 시대에 작정한 선찰禪刹의 정원은 정토적 색채를 띠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며, 그의 작풍作風은 그 시대 정원 문화의 형성에 있어 실로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무소 소세키는 불교적 측면에서 볼 때 선의 일본화를 추진한 장본인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정원을작정함에 있어서는 선과 정원 문화를 상호 관련지어 놓았다는 측면으로 기억된다. 그를 두고 ‘煙霞(庭園)の癖あり’라 일컫는 것을 보면, 그가 정원에 깊은 관심을 가진 존재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무소 소세키가 작정한 정원 가운데에서도, 역응曆応 2년(1339년) 사이호지西芳寺에 주석하면서 수정·복원한 정원은 무소 이후 일본의 선정禪庭을 만드는 데 있어하나의 기준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의 기타야마덴北山殿6 정원이나 8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의 히가시야마도노東山殿7 정원의 조영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져 있다(西桂, 2005, pp.70~71). 무소 소세키에 의해 조성된 텐류지 정원의 용문폭龍門瀑과 지중입석池中立石, 삼교석조三橋石組 등과 같은 요소들은 그때까지 유행했던 침전조 정원이나 정토 정원 같이 의식을 주목적으로 하는 공간의 디자인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것들은 무소 소세키가 창안한 수묵화 같고 상징적인 의장을 가진 정원이 만들어지면서 등장하게 되는데, 이 같은 작정 기법은 무로마치 시대 말기에 출현하는 본격적인 가레산스이枯山水(물을 사용하지 않고 지형으로만 산수를 표현한 정원)양식에도 막대한 영향을 주게 된다. 무소 소세키와 아시카가 타다요시와의 문답을 적은 『몽중문답집夢中問答集』 제57항 ‘불법佛法과 세법世法’에서 무소는 정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정원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세 가지 부류가 있다. 하나는 허식과 외견을 중시하는 세속의 먼지가 가득 쌓인 사람이고, 다른 하나는 세속으로부터 벗어나 정원에 마음을 빼앗긴 풍류인이며, 나머지는 구도의 마음을 가지고 자연을 경영하려는 사람이다.” 정원을 좋아하는 가장 높은 경지는 구도의 마음을 가질 때 비로소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다음의 게송(부처의 공덕이나 가르침을 찬미하는 노래)에서는 무소소세키의 자연관이 한마디로 드러난다. “산수를 좋아하는 것은 정히 나쁘다고 할 수 없고, 좋다고도 할 수 없다. 산수에는 득실이 없고, 득실은 사람의 마음에 있기 때문이다.” 홍광표는 동국대학교 조경학과,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를 거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경기도 문화재위원,경상북도 문화재위원을 지냈으며,사찰 조경에 심취하여 다양한 연구와 설계를 진행해 왔다.현재는 한국전통 정원의 해외 조성에 뜻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저서로『한국의 전통조경』,『한국의 전통수경관』,『정원답사수첩』등을 펴냈고, “한국 사찰에 현현된 극락정토”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또 한국조경학회 부회장 및 편집위원장,한국전통조경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 [세계의 골프장] 신주 반도의 더 듄스 골프 클럽
    전형적인 열대 해양성 기후로, 라운딩을 즐기기에 최상의 조건을 갖춘 하이난海南島! 세계 100대 코스에 이름을 올리고 있는 ‘미션 힐스’를 비롯한 많은 골프장이 성업 중이다. 그중 가장 따끈따끈하면서도 핫한 골프장 ‘더 듄스 골프 클럽The Dunes at Shenzhou Peninsula’(중국명: 신주(神州)골프장)으로 안내한다. ‘더 듄스’를 ‘따끈따끈하면서 핫하다’라고 표현한 이유는 개장한 지 3년이 채 되지 않은 신설 골프장임에도, 2012년 골프 매거진에서 발표한 세계 100대 코스에 베스트 뉴 코스로 선정되고, 2013년 중국 골프장 순위 탑 100에서 내로라하는 명문 골프장을 물리치고 당당히 2위에 선정되는 등 뜨거운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하이난 신주 반도에 위치한 ‘더 듄스’는 해안가 모래 지역의 자연스러운 지형을 그대로 활용한 부드러운 굴곡undulation과, PGA 메이저 대회 우승 경험이 있는 ‘톰 웨이스코프Tom Weiskopf’의 설계 특징인 거친 러프가 호위하고 있는 넓고 시원한 페어웨이와 벙커가 에워싸고 있는 난도 높은 그린 콤플렉스가 코스에 고스란히 녹아있다. 여기에 산과 바다를 활용한 탁월한 경관 연출이 더해져 명품 코스의 반열에 올랐다. 위치District Wanning Shenzhou Peninsula, Hainan 571528, China 규모Golf course 36holes(West course 7,484yards, Par.72) 설계Tom Weiskopf 개장2011 노준택은 도시공학 박사이자 골프 코스 설계가로, 로가이엔지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베스트 코스에 선정된 바 있는 Sky72 G.C 하늘 코스, 골든 비치 G&R, 베어크리크 G.C 크리크 코스, 블루원 상주 등 다수의 골프 코스를 설계하였으며, 최근에는 웰링턴 G.C와 이천 마이다스 C.C의 개장을 준비하고 있다.
  • [조경수 관리] 특수지역 식재지와 식엽성해충 관리
    특수지역 식재지 관리: 성토지, 인공지반, 포장지역 새로 식재되는 조경수들은 변형된 지역에 자리 잡는 경우가 많다. 높은 지형을 깎아 낮은 지역을 메운 성토지에는 도로, 건축물, 공원, 박스 형태의 플랜트 등이 만들어지고, 여기에 시설물과 수목들이 들어선다. 이러한 지역은 자연지반과는 달리 저마다 특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특수지역이라고 불린다. 특수지역에서는 식재지 유형에 따라 식재 기간은 물론이고 준공 및 하자 기간 만료 후에도 계속하여 여러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으며, 아예 손을 댈 수 없을 정도로 문제가 심한 경우도 있다. 몇 가지 특수지역 식재지 사례를 바탕으로 이에 대한 대책과 하자 관리, 유지관리의 필요성을 짚어보고자 한다. 보편적인 대형 건설공사에서는 토목과 건축 공사가 어느 정도 진행된 후 식재가 시작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사 전에 문제점을 수정하기란 현실적으로 무척 어려운 일이다. 선행 공정의 잘못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조치를 취하지만 이는 영구적인 방법이 될 수 없고, 큰 비용을 들여서도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더구나 애초 계획한 개념과 다른 형태의 공원, 가로수, 녹지대 등으로 변형되는 경우도 상당하다. 성토지는 주로 도로 개설 지역, 댐 수몰 지역, 지구단위 택지 개발 지역에 많이 있다. 성토지의 침하방지를 위해 지반 다짐은 필수 요건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수목이 식재되는 지점(가로수 부지, 공원 부지, 녹지 부지 등)이 생육 환경에 불리한 조건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수지역 식재지는 개발 계획 시 수목 생육에 필요한 양질의 토양 확보, 배수시설 설치, 불투수층 제거가 필요하고, 성토 높이에 따라서 장비 등에 대한 답압을 줄일 수 있는 식재지 조성 방안이 반드시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대해 토목, 건축 등 부처 간의 사전 정보 교류와 협의 등이 필요하고, 계획부터 시공, 관리에 대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토목의 성토 지역과 구조물, 건축 시설물과 전선 등이 수목 생육 공간에 미치는 영향 또한 검토되어야 한다. 현장에서는 이의 실천을 위한 여러 가지 보완 방법이 나오고 있는데, 가장 중요한 점은 현장 실정에 맞는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방법을 특수지역 식재지에 적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각계 전문가(수목 생리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한 자료를 토대로 식재지 조성이 이루어져야 하고, 추후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종범은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자원학과에서 환경조경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문화재수리기술자(식물 보호) 자격을 취득하였다. 서울나무병원에서 21년간 근무하였으며, 각종 식물 문화재, 보호수, 노거수, 조경수 등의 치료 및 진단·자문과 대형수목 이식 및 식재 기반 조성 자문을 하였고, 화성시 공원녹지 조성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서울시 교육연수원과 인천시 교육연수원에서 시설관리 교육과정(조경 관리) 강의를 담당하였고, 상명대학교와 한경대학교에서도 강의를 맡고 있으며, 경기농림진흥재단 경기도 지역 4개 대학교 조경 가드닝 코스 강의도 진행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 [옥상녹화] 일본 옥상녹화 단상
    1. 고분 형태의화단 사카이시 관공서 앞 광장에서 사카이시堺市 하면, 닌토쿠 천황仁徳天皇릉, 센노 리큐千利休, 요사노 아키코与謝野 晶子 등 전국구 명소나 유명인들의 이름이 떠오른다. 그 중에서도 가장 지명도 높은 것이 바로 닌토쿠 천황릉이다. 정식으로 표기하면 모즈노 미미 하라노 나카노 미사사기百舌鳥耳原中陵라고 하고, 현 교과서 표현으로 말하면 대선능大仙陵이다. 내가 학생이었을 때에는 교과서에 닌토쿠 천황릉으로 표기되었다. 그러나 이후 연구에서 ‘응신応神-인덕仁徳-리중履中-반정反正’이라는 황통보皇統譜의 문과 각 고분의 고고학적 시계열이 일치하지 않는 다는 문제가 생겨, 현재는 닌토쿠의 능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는 듯하다. 물론, 능묘의 기본 대장이라고 해야 할 연희식延喜式이나 고사기古事記에 기술된 내용으로 볼 때 이 고분을 ‘닌토쿠 천황릉’이라고 부르는 것에는 전혀 의심을 품을 여지가 없다. 원래가 신화의 세계인 고역사와 고고학을 융통성 없이 합치시키려 하기 때문에 무리가 생기는 것이다. 닌토쿠 천황릉의 참배소(후원부의 정면)에는 자원봉사 안내자가 있어, 부탁하면 몇 십 분간 해설을 해주는데 그들도 ‘대선능’이라 설명한다. 그럼에도, 설명 와중에 “닌토쿠…”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을 듣다보면, 현지인들이 닌토쿠 천황의 능묘로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읽어낼 수 있다. 사카이시 시민들의 닌토쿠 천황에 대한 생각은 깊으며, 마치 신사에 참배하는 것처럼 날마다 고분에 참배하는 사람도 있다. 또, 닌토쿠를 위에서 내려다 봐선 안 된다는, 신앙인 듯한 전언이 있어, 만약 어떤 정치가가 세계유산 등록을 목표로 “고분의 전망 타워를 만들자”는 제안을 한다면 상당히 쓴맛을 보아야 할 것이다. 현지인의 마음에 젖어있는 전방후원분1의 형태는 일상생활의 여러 장면에서 나타난다. <그림1>은 사카이시 공원녹지정비과가 주최한 ‘환영·꽃 풍경: 코스모스의 가을 풍경’이라는 이벤트에 출품된 화단으로, 전방후원분의 형태를 갖는다. 또, 이전에 진행된 이벤트에도 전방후원분을 모티프로 한 화단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매회 열개 정도의 화단이 출품되는 것을 감안했을 때, 약 1/10의 확률로 고분 형태가 디자인에 등장하는 셈이 된다. 화단 디자인에는 거의 무한대의 변화와 다양한 아이디어를 나타낼 수 있으니, 이 1/10이라는 수치는 상당히 높은 편이라 할 수 있다. 다른 지역에서 같은 이벤트를 실시한다 해도, 아마 이런 빈도로 나오지 않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도시 녹지와 관련된 전시는 1년에 2~3회 정도 시청 앞 광장에서 실시된다. 지난여름에는 다수의 왜성矮性 해바라기가, 이어 가을에는 코스모스가 전시되었다. 시민이 참여한 6천 본의 코스모스로 이뤄진 화단 콘테스트 전시였지만, 왠지 코스모스 꽃이 빈약하게 보였다. 이벤트 탓에 휴일 출근이었던 시청 담당자에게 물어보니, ‘꽃 표본 만들기’ 이벤트 때 코스모스를 사용하도록 했는데 예상보다 많은 꽃을 따 사용하는 바람에 잎이 거의 없어져 버렸다고 한다. ‘이벤트가 아직 5일이나 남았는데, 괜찮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어쩔 수 없는 상황인 듯 했다. 야마다 히로유키는 치바대학교 환경녹지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원예학연구과와 자연과학연구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도시녹화기술개발기구 연구원, 와카야마대학교 시스템공학부 부교수를 거쳐 현재 오사카부립대학교 대학원 생명환경과학연구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토교통성의 선도적 도시 형성 촉진 사업과 관련한 자문위원, 효고현 켄민마을 경관 수준 녹화사업 검토위원회 위원장, 사카이시 건설국 지정 관리자 후보자 선정위원을 역임했다. 일본조경학회 학회상을 수상한 바있으며,『도시 녹화의 최신 기술과 동향』,『도시환경과 녹지-도시 녹화연구 노트 2012』등을 비롯해 다수의 공저가 있다. 한규희는 1967년생으로, 치바대학교 대학원 조경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부터 일본의 에디(EDY)조경설계사무소, 그락크(CLAC) 등에서 실무 경험을 익혔고, 일본 국토교통성 관할 연구기관인 도시녹화기구의 연구원으로서 정책 업무 등에 참여해 10여 년간 근무해 오고 있다. 특히 도시의 공원녹지 5개년 계획의 3차, 4차를 담당했다. 일본 도쿄도 코토구 ‘장기계획 책정회’ 위원, 서울시 10만 녹색지붕 추진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연구 논문과 업무 경험을 쌓았다. 현재 한국에서는 어번닉스 공동대표를 맡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활동 중이다. 여러 권의 단행본을 함께 감수하고 집필하면서 기술보급에도 힘쓰고 있다.
    • 야마다 히로유키[email protected] / 오사카부립대학 대학원 생명환경과학연구과 교수
  • [도시생태복원] 도시 생물다양성의 현황과 가치
    도시를 보는 시각 2005년 이후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약 90%는 도시 지역에서 거주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는 50%의 인구가 도시 지역에서 살고 있으며, 유엔은 2050년까지 63억 명이 도시 지역에 살게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만큼 도시는 수많은 사람들이 모이고 활동하는 중요한 삶의 터전이 되었다. 그결과, 도시 지역에는 자연 서식처가 부족해졌고, 사람 중심의 공간들이 늘어났다. 한정된 공간에 많은 사람들이 살게 되니, 자연 서식처는 훼손되거나 사라지게 되었고, 남아 있는 자연 공간들도 점점 파편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도시를 생태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대부분 부정적인 측면으로만 보기 쉽다. 대체로 도시의 생태 환경을 바라보는 시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지나친 개발과 산업화, 인구 밀집으로 인해 생태 환경이 오염되어 생물종이 다양하지 못할 것이라는 시각이 첫 번째다. 반면, 개발의 영향을 받지 않은 그린벨트나 생태경관보전지역, 개발에서 제외되어 단편화된 섬 생태계 등이 남아 있어 어느 정도의 생물다양성이 확보되어 있을 것이란 시각도 있다. 그러나 후자와 같은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두 가지의 시각 중 어느 것이 옳다고 단정적으로 이야기할 수는 없다. 다만, 필자가 앞으로 12회에 걸쳐 집필하려는 “도시 생태 복원”의 기본 맥락은 ‘도시 지역에는 자연지역 못지않게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할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 지역에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하고 그 생태적 건강성이 향상되기 위해서는 생태적 접근에 의한 ‘복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이 두 가지 기조를 바탕으로 도시의 생태 환경 복원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한편 생물다양성협약 사무국, 스톡홀름 대학교 Stockholms Universitet, 스톡홀름 회복력 센터Stockholm Resilience Centre 그리고 ICLEIInternational Council for Local Environmental Initiatives(자치단체국제환경협의회)에서 함께 발간한 『도시와 생물다양성 전망Cities and Biodiversity Outlook』에는 도시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과 행동 계획들이 제시되어 있다. 또, 이 보고서는 열 가지 핵심적인 전달 사항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리고 앞으로 연재되는 원고들 역시 이러한 관점에서 기술할 것이다. •도시화는 전 지구적 차원에서 생태계 서비스를 관리하는 데 있어 기회와 도전의 성격을 갖는다. •풍부한 생물다양성은 도시 지역에서도 가능할 수 있다.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는 자연 자본의 핵심적인 요소다. •도시의 생태계 기능을 관리하는 것은 인간의 건강과 복지를 향상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시 생태계 서비스와 생물다양성은 기후변화의 저감과 적응에 기여할 수 있다. •도시 식량 시스템의 다양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식량과 영양 안보의 증진을 꾀할 수 있다. •생태계 서비스는 도시 정책 및 계획 분야와 결합되어야 한다.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에 대한 성공적인 관리는 다각적인 규모와 섹터sector, 이해 당사자의 참여에 기초해야 한다. •도시는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미래에 대한, 교육과 학습의 독특한 기회를 제공한다. •도시는 혁신 및 정부 기구를 형성하는 데 있어 대규모의 잠재력을 갖으며, 결과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 수 있어야 한다. 도시 생태 환경의 현황과 가치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도시화’를 생태적 관점에서 보면, 생물 군집에 유리한 영향과 악영향을 모두 가지고 있다(양병이, 2011). 일반적으로는 도시화를, 생태 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만 보기 쉽지만 상대적으로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하는 바도 있다.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도시화에 따른 도시 생태 환경이 무조건 나쁜 것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조동길은 1974년생으로, 순천대학교에서 조경을 공부하였고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생태복원 및 환경계획을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의 대표이사로서 생태복원, 조경, 환경디자인, 경관 등 다분야를 통합시키는 데 관심이 있다.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 자연마당 조성 등 생태복원 사업과 남생이, 맹꽁이 등의 멸종위기종 복원 관련 R&D 사업을 이끌고 있다. 한양대학교와 한경대학교에서 겸임교수로서 생태복원 분야에 대해 강의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생태복원 계획 설계론』(2011), 『자연환경 생태복원학 원론』(2004) 등이 있다.
  • [생태문화·생태복원] 기후변화의 해답, 캐나다의 이탄습지 보전 및 복원
    지난 글에서는 미국의 생태계 보전 제도인 국가야생보호지역National Wildlife Refuge(NWR system)과 첫 번째 NWR로 지정되어 미국의 생태 보전 정책에 큰 획을 그었던 펠리컨 아일랜드Pelican Island NWR에 대해 소개한 바 있다. 이번에는 캐나다의 이탄습지복원 노력과 캐나다의 습지 보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탄습지 및 그 분포 이탄습지Peatland는 식물체가 썩지 않고 퇴적되어 생성된 유기물층인 이탄층이 발달한 습지를 말하며, 습지 종류 중에서 무어스moors, 보그스bogs, 마이어스mires, 피트 스왐프 포레스트peat swamp forests, 퍼머프로스트 툰드라permafrost tundra 등이 이에 해당된다. 식물의 유해 등 유기물의 퇴적 속도가, 퇴적한 장소에 있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는 속도보다 빠른 경우 형성된다. 식물이 분해되어 생기는 최종생성물인 휴믹산, 후루보산 등의 유기 아미노산과 셀룰로스류 펩틴, 식물 스테로이드 등이 응축되어 있다. 이탄습지는 지구 전체 육지 면적의 3%에 불과하지만 지구상에서 가장 중요한 탄소 흡수원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열대 홍수림mangrove wetland과 염습지salt marsh 및 기타 습지의 탄소 흡수원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탄습지는 주로 냉대-한대 기후대 및 열대-아열대 기후대에 분포한다. 기온이 낮고 강수량이 비교적 풍부한 냉대기후대 지역에 생성되는 이탄습지는 수평적으로 아시아권에서는 러시아 시베리아, 중국 북부, 일본 북해도 등에 분포하며, 북유럽, 캐나다 및 미국 북부 등에 주로 발달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평적으로 남해안 일부를 제외하고 국토전역이 온대기후대이므로 이탄습지가 발달하기 어려운 조건이나, 수직적으로 고산 지역에서 발달할 수 있으며 대암산 용늪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이러한 이탄습지에는 물이끼, 통발, 끈끈이주걱, 사초기둥 등 독특한 식생이 발달한다. 아울러 열대-아열대 기후대에서는 맹그로브 습지 등에서 발달한다. IPCC의 보고에 의하면 이탄습지는 많은 멸종위기종 등 위협받는 종의 서식처이며, 지구 전체에 약 550기가톤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다. 이는 산림에 저장된 탄소량의 약 두 배에 이른다. 그러므로 기후변화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이탄습지를 보전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국토 면적에 비해 다양한 습지가 분포하고 있지만, 기후 특성상 안타깝게도 이탄습지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그림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이탄습지는 국토면적의 0.0047%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캐나다 이탄습지 현황 및 복원 캐나다는 냉대, 아한대, 한대 기후대 특성상 이탄습지인 보그Bog, 펜Fen 등이 집중적으로 발달해 있고, 일부 스왐프Swamp 및 마쉬Marsh 형태의 습지가 부분적으로 분포한다(그림4 참조). 이번 호의 주 답사지인 퀘벡 부근의 이탄습지는 <그림5,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당히 훼손되어, 보전 상태가 좋은 이탄습지는 극히 일부만이 남아 있다. 이렇게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는 이탄습지를 복원하기 위한 학술적, 정책적, 기술적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탄습지 복원의 기본적인 목표는 이탄습지 고유의 독특한 기능 즉, 자연 그대로의 이탄습지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목표로 한다. 구본학은1959년 대전 생으로,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졸업 후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계획, 설계, 시공, 관리, 기술 개발 등 다양한 경험을 축적하였고, 혜천대학을 거쳐 현재는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환경생태, 생태복원 분야에서 설계·시공과 관련된 공학적 이론을 접목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국제 규모의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하는 ‘생태문화포럼’을 주관하고 있다. 습지와 생태 문화를 사랑하는 동료들과 함께 해외 중요 생태 문화 자원을 다수 탐방하였으며,『습지생태학』등의 저서가 있다
<<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