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칼럼] 모던 타임‘즈’, 모더니티‘들’
  • 환경과조경 2017년 10월

파리 뤽상부르 정원 근처를 산책하다 보면 하원 맞은편 아케이드 벽에 붙은 특이한 석판을 볼 수 있다. 직선의 띠에 일정한 간격으로 눈금을 새겨 두고, 그 위에는 ‘MÈTRE’라는 글자를 박아 넣었다. 옆에는 이 석판이 프랑스 대혁명 이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가 규정한 ‘1미터’의 기준이라는 설명이 붙어 있다. 별스럽다 여길 수 있지만 한때 왕의 발足 크기가 길이의 표준이었고 그마저도 파리와 지방에서 달리 쓰였음을 알게 되면, 이 ‘기준’이 가진 의미가 달리 보인다. 길이뿐 아니라 무게와 부피, 도시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도로 원표point zéro, 시간 등 ‘표준’의 대부분이 18~19세기에 정해졌다. 누구의 기준이 표준이 되는가는 국가적 위신이 달린 중요한 문제였고, 이 표준에 따라 통제된 시공간이 서구 근대의 배경이 되었다.

그런데 이 근대의 표준은 언제, 어디일까. ‘일반’적으로는 사유의 중심축이 신학에서 인간 이성 중심으로 이동한 르네상스 이후, 특히 18세기 유럽의 계몽주의 시기를 근대의 기원으로 본다. 기존 질서(도그마)를 부정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지향하는 정신이 서구 근대를 추동한 힘이었고, 이를 근대성 혹은 모더니티라고 부른다. 이성, 보편, 상식, 합리성, 진보, 계몽, 합목적성 등이 모더니티의 가치를 담는 키워드이고, 이 기준을 좇는 일이 중대했던 때를 근대라 한다.

근대/모던 타임즈는 언제이고 어떤 근대성/모더니티를 어떻게 추구했는가는 흥미로우면서도 민감한 주제다. 우선 명칭부터 보자. 조경학뿐 아니라 서구에서 들여온 학문의 연구에서 가장 정교하게 다루(었)어야 할 부분으로 용어의 번역을 꼽는다. 일상적 의미와 학문적 용례가 다른 경우도 조심스러우나, (일본의 번역어를 다시 옮긴 경우가 많은) 번역어와 외래어/외국어의 의미의 결이 다른 경우는 해당 맥락에서 어떻게 쓰이는지부터 정해야 한다. 근대와 모던 타임즈, 근대성과 모더니티는 후자에 해당할 것이다. 서구화와 근대화가 동일시되는 것은 제3세계 국가들의 발전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이를 ‘ctrl+c, ctrl+v’의 등가적 복제로 설명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얼마 전 참여한 루브르 학교의 박물관학 여름 국제 세미나에서도 이 질문은 반복되었다. 올해의 주제인 ‘정원의 박물관학’에 관련된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의 강연은 풍요로웠으나, 프랑스에 위치한 역사적 정원으로 대상이 한정되었고, 이를 정원 예술의 ‘기준’으로 삼는 점은 어쩔 수 없었다. 역사적 정원의 복원과 복구, 재창조의 문제에 대해서도 피렌체 헌장의 가치만을 반복하기 일쑤였다. 하지만 참여자들의 비평과 토론은 모든 사람이 똑같이 ‘지금, 여기’에 있지 않음을 상기시켰다. 케브랑리 박물관 컬렉션에 대한 비판과 이어진 토론은 근대성과 종속성, 주체성의 관계를 돌아보게 했다. 하지만 ‘비서구 미술 = 원시 미술’이라는 오래된 양분법적 도식과 이를 둘러싼 담론조차도 다양성이라는 이름으로 흡수해버리는 동화주의의 힘은 강력했고, 수많은 중국풍 혹은 일본풍 정원의 정통성에 대한 필자의 질문은 특정 양식의 양상으로 치환되기 일쑤였다.

세미나 마지막 날의 공동 연구 발표를 알제리 출신의 건축학도와 함께 준비했다. 알제리의 수도 알제에 위치한 함마 정원과 서울의 용산공원을 미술관과 공원의 관계 측면에서 간단히 비교, 소개하기로 했고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었다. 식민지화와 근대화가 동시에 진행된 나라 출신이라는 공통점에서 출발했으나, 식민지 시기를 보는 온도는 사뭇 달랐다. 알제리는 격렬한 저항과 내전을 겪은 후 백여 년 만에 프랑스로부터 독립했고 오늘날의 프랑스 이민자 문제는 이에 기원을 둔다고 배웠으나, 프랑스에 대한 그의 태도는 예상과 달리 적대적이지 않았다. 프랑스 건축가가 프랑스식으로 설계한 국립미술관과 외래 식물의 현지 적응을 위한 온실이 딸린 정원, 동물원이 여전히 탈식민지 수도의 중요한 공공장소로 애용되고 있다. 반일 교육을 받고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를 목격하며 자란 필자에게는 이 점이 놀라웠는데, 역으로 그는 내가 놀라워하는 것을 신기한 듯 보았다. 해방을 기준으로 하면 한두 세대 정도 차이가 나지만, 근대화를 이룬 식민지기에 대한 태도는 그가 더 ‘쿨’했다.

우리의 대화는 평행선을 달렸고, 그럴 수밖에 없었다. 뒤풀이에서 나온 이야기 또한 오늘 이 장소에 모인 우리가 사실은 각기 다른 지점에 있음을 상기시켰다. 서유럽 출신의 누군가에게 모더니티는 과거의 유산이지만, 근대화(새마을운동!)를 이룬 한국을 동경하는 부르키나파소 인에게는 지향점이 된다. 근대(성)의 기준이 시간과 장소에 따라 바뀌고 동시대에 있을 법하지 않은 일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근대의 시간들과 근대성들이 복잡하게 얽혀 공존한 이 상황이 탈근대적이라고 웃어넘겼으나 뒷맛이 개운하지는 않다.


황주영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불문학과 영문학을 공부하고, 같은 대학 미술사학과에서 풍경화와 정원에 대한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조경학전공에서 19세기 후반 도시 공원의 모더니티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술과 조경의 경계를 넘나들며 문화사적 관점에서 정원과 공원, 도시를 보는 일에 관심이 많으며, 관련 도서 몇 권을 함께 쓰고 옮겼다. 최근 옮긴 책으로는 자이미 레르네르의 『도시침술』(푸른숲, 2017)이 있다. 파리 라빌레트 국립건축학교의 ‘건축, 환경, 경관’ 연구실에서 박사후 연수를 막 마쳤다.

 

제목 없음-2.jpg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