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에디토리얼] 근대적 공간의 탄생
  • 환경과조경 2017년 10월

오늘날 우리가 당연시하는 삶의 패턴이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 불과 100여 년 전 일이다. 우리의 사고와 행동과 생활을 새롭게 재편한 이른바 근대적 공간은 개항기와 일제 식민지기를 거치며 도입, 이식, 강제 등 다양한 경로로 생산된다. 도시의 건축과 공간, 생활과 문화에도 급격한 변화가 일어난다. 이번 10월호 특집 ‘모던 타임즈’는 근대적 시간과 공간 개념이 우리 삶에 배치되던 시기에 도시 공간과 문화가 어떤 풍경을 그리며 전개되었는지 탐사한다. 탐사의 대상은 공원, 식물원, 유원지, 풍경 사진이다. 박희성 교수(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는 “왜곡된 근대와 공원의 탄생”에서 당시의 공원을 타자의 입장에서 재구성된 공간, 동도서기를 실천하는 정치 도구, 식민지 도시 시설이라는 세 측면으로 해석한다. 김정화 박사의 글 “근대인의 자격, 식물원 소사이어티”는 식물원의 탄생과 확산의 배경이 되었던 인물, 단체, 학회, 모임 등을 조명하고, 근대의 콘텍스트 속에서 취미, 교양, 식물원이 교차하는 지점을 탐색한다. 김정은 박사는 “기차를 타고 도착한 또 다른 세계”에서 유원지의 수용과 여가 문화의 조직을 다룬다. 철도의 부설과 도시의 변화, 이에 따른 행락 공간의 재편을 월미도유원지와 뚝섬유원지를 중심으로 엮은 이 글을 통해 우리는 일상을 떠나 환상의 공간을 찾아 나선 도시민의 삶을, 철도 노선을 따라 재구성된 도시 교외의 풍경을 만날 수 있다. 이명준 박사의 글 “일제 식민지기 풍경 사진의 속내”는 풍경 사진이 국내에 수용되던 당시의 시각 문화를 검토한다. 특히 풍경 사진에 내재된 자연을 감상하고 인식하는 방식, 이른바 ‘시각 체제’에 주목한다.

이번 특집의 의도가 공원, 식물원, 유원지, 풍경 사진이라는 네 가지 렌즈를 통해 근대적 공간 문화의 양상을 조감하는 데 있는 것만은 아니다. 또 다른 목적은 최근 들어 부쩍 증가하고 있는 근대기 조경 역사·이론 연구를 대중적인 톤으로 소개하고, 나아가 연구의 경향성과 지향점을 설계하는 디딤돌을 놓는 데 있다. 이번 특집에 참여한 네 명의 필자 외에, 최근 김해경 박사, 서영애 박사, 우연주 박사 등 다수의 연구자가 근대기의 도시 공원과 공간을 주제로 한 다각적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모처럼 풍성하게 생산되고 있는 역사·이론 연구들의 대상과 시간 스케일에 큰 교집합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별도의 해설보다 연구자들의 생생한 목소리가 소중할 것 같다. 특집에 참여해 준 네 명의 필자에게 세 가지 질문을 던졌고, 그들의 응답 중 일부를 간추려 전한다.

 

왜 ‘근대기(또는 일제 식민지기)’에 관심을 두고 논문을 써 왔는가?

“지금 현재 도시 공간과 시설의 핵심, 그리고 우리가 공원이라고 부르는 것들의 기원, 특히 문화, 공공성, 행정이 탄생한 시기이기 때문이다”(이명준). “우연히 만났다가 이 시기가 좋아졌기 때문이다. 정말 이랬어? 이런 놀라움이 컸다. 생각보다 지금과 비슷했다. 물론 지금은 기술이 더 발달했고 디자인은 훨씬 세련됐지만, 그 원형은, 근본은 그대로다”(김정은). “그 이전 시대에 비해 개개인의 사람이 보이기 때문이다. 조선 시대의 연구 대상이 주로 저명한 문인이나 정치가의 문집과 정원인 데 비해, 근대기에는 수면 아래에 있던 더 많은 사람들, 다양한 직업

의 사람들, 여성, 소설가, 화가, 정치가, 학자들의 생각과 생활이 드러나기 때문에 흥미롭다”(김정화). “그동안의 역사 연구가 사고思考에 집중했다면(또는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면), 근대기의 연구는 실증적 접근이 가능하고 연구 방법이 매력적이어서 끌린다. 도시 공간과 문화에서 나타나는 전근대와 오늘날의 간극을 이 시기의 공부를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 같다. 개연성 있는 시대의 흐름을 파악하고자 한다”(박희성).

 

당시의 도시 공간, 환경, 시설, 문화, 생활을 ‘지금’ 연구해야 할 이유는?

“도시 개발이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르고 재생에 주목하고 있는 현재, 공원이나 광장과 같은 도시 시설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진지한 재점검이 필요하다. 재검토는 생성의 지점에서 출발해야 하므로 근대기 연구의 성과는 현재적 의미를 지닌다”(박희성). “근대기와 현재가 너무 멀지도, 가깝지도 않기 때문에 ‘지금’ 연구해야 한다. 현재가 근대기와 너무 가깝다면, 예컨대 해방 직후라면, 근대기를 떨어뜨려 놓고 보기 힘들 것이다. 한편 너무 멀지 않기 때문에 그 시대에 시작된 여러 공간의 형태와 시설이 지금도 유효하다. 비슷하면서도 다른 모습이 흥미를 유발하고 ‘지금’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김정화). “아직 제대로 연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이명준). 

 

최근 ‘조경학’ 분야의 적지 않은 학자와 연구자가 이 시기와 주제를 다룬 논문을 생산하고 있는 배경이나 이유는?“

무엇보다도 다른 시기에 비해 신문, 잡지, 보고서, 사진 등 자료가 다양하고 풍부하기 때문일 것이다. 언어가 상대적으로 쉬운 이유도 있다. 일본어와 근대기 한국어 자료는 비교적 해석하기 쉽다. 이런 조건에 연구자 나름의 흥미가 더해져 연구의 양이 증가하고 있는 것 같다”(김정화). “우선 아카이브와 데이터베이스가 잘 구축되어 자료 접근이 용이해진 환경을 들 수 있다. 일찌감치 근대기에 주목해 연구 성과를 낸 건축학, 도시학, 역사학(도시사)의 영향도 있고, 그리고 대한제국기와 일제 식민지기에 대한 객관적·비판적 시각이 등장하는 학계의 분위기도 작용하고 있다. 근대 관련 전시, 학술 심포지엄, 시민 강좌 등 이 시기를 관심 있게 주목하는 사회적 분위기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박희성).


이번 호부터 세 달간 ‘그들이 설계하는 법’을 이어갈 조경가는 이재연 소장(조경디자인 린)입니다. 긴 추석 연휴로 이번 10월호의 배송이 열흘 이상 늦어질 전망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양해를 구합니다.

 

속표지.jpg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