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편집자의 서재] 풍금이 있던 자리
  • 환경과조경 2018년 2월
sspung.jpg
신경숙 | 문학과지성사 | 2010

 

 

가파른 언덕을 따라 트럭이 오른다. 짐칸에 실린 박스가 탈탈 흔들리고, 조수석에는 서울살이 5년 차에 접어든 나영이 있다. 차창 너머 낡은 상자를 얼기설기 쌓아 올려 만든 듯한 동네의 모습을 어떤 표정으로 바라보고 있었을까. 극은 나영이 이사한 집 앞에 도착한 순간부터 시작되니 멋대로 상상해 볼 따름이다. 뮤지컬 ‘빨래’는 2005년 초연을 시작으로 무려 12년간 끊임없이 무대에 올려지고 있는 작품이다. “지금 당신에게 찾아온 가장 따뜻한 위로”라는 문구에 홀려 극장에 들어섰다가 눈물을 펑펑 쏟고 나왔다. 등장인물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시민과 외국인 노동자. 그들이 혹은 우리가 겪을 법한 이야기를 그리 과장되지도 너무 건조하지도 않게 풀어 자연스레 웃음과 울음을 끌어낸다. 극 중 몽골에서 건너온 솔롱고와 나영은 한 옥상을 공유하며 빨래를 넌다.최저 임금을 받아 방세 내고 생활비로 사용하면 아무것도 남지 않는 생활. 지친 나영이 “이런 곳은 어디에도 없을 거”라며 푸념을 늘어놓자 솔롱고가 위로의 말을 건넨다. “그래도 하늘이 가깝잖아요.” 극에 몰입하고 있던 내 고개가 의아함에 기울어진다. 어느새 솔롱고는 옥상 난간을 짚고 아래에 펼쳐진 동네 풍경을 감상하는지 객석 뒤편을 바라보고 있다. 그 커다란 눈에 어떤 희망과 낭만이 가득한데도 의아함은 계속 커져만 갔다. 옥탑방살이 3년 차. 내게 옥상은 세탁기와 빨랫줄이 놓인 자투리땅,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생활 공간일 뿐이다.

 

물론 처음부터 옥상에 판타지를 품지 않았던 건 아니다. 화분으로 정원을 꾸민다거나, 여름에는 고기를 굽고 맥주를 즐길 수 있도록 테이블을 놓는 꿈도 꿨다. 하지만 이사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동네 옥탑방에 도둑이 들기 시작했고, 우리 집 옥상에도 이끼 낀 수조를 연상시키는 청록색 유리 덮개가 씌워졌다. 도둑 걱정에 잠들지 못하는 날은 사라졌지만, 여름이면 옥상은 우리 동네에서 가장 더운 공간으로 변한다. 옥상으로 창을 둔 화장실도 한증막 같아지는데, 농담 삼아 그 화장실을 ‘지옥’이라 불렀다. 봄과 가을에는 날이 선선해도 미세 먼지를 피해 유리 덮개에 난 창을 모두 닫아야 한다. 빨래는 뜨거운 햇볕 대신 달궈진 공기를 머금고 말랐다. 하늘이 깨끗한 날도 있지만, 창을 열면 건너편 옥상에서 러닝셔츠 차림으로 담배를 피우는 아저씨와 눈이 마주치기 일쑤다. 어떤 노랫말처럼 옥상 평상에 누워 꿈을 꾸려면, 동네에서 가장 높은 옥탑에 살거나 주변의 시선을 신경 쓰지 않을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마음 놓고 하늘을 즐길 수 있는 환상적 조건의 옥상이 몇이나 될까. 하지만 온갖 단점에도 불구하고 옥상은 유명인의 성공기에도 종종 등장한다. 힘들었지만 지나고 보니 전부 추억이다, 가끔 옥상에서 내려다보던 풍경이 그립다…. 그런 이야기를 듣다 보면 궁금해진다. 내게도 이 옥탑이 즐거운 추억이 쌓인 공간으로 기억되는 순간이 올까. 아니면 인터넷에 떠도는 말처럼 기억은 희석되고 추억은 미화되는 것일까.

 

신경숙 작가의 두 번째 창작집의 제목이자 표제작인 ‘풍금이 있던 자리’는 주인공이 사랑하는 남자에게 보내는 서간문 형식의 소설이다. 정확히 말하면 전하지 못한 편지. 사랑하는 이가 아내와 아이가 있는 유부남이기 때문이다. 편지는 의식의 흐름에 따라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한 여자에 얽힌 기억을 쏟아 놓는다. 지금 자신의 모습과 닮은, 아버지의 애인이었던 여자에 대한 이야기다. 어머니를 밀어내고 집안 한구석을 차지한 여자가 미울 법도 하건만, 주인공은 여자를 내내 아름답게 그려낸다. 여자는 아이들의 마음을 얻기 위해 음식을 만든다. 쌀보다 보리가 더 많아 식감이 거친 쌀보리밥 대신 “어느 날은 보리를 다 빼고 쌀에 수수를 넣은 밥을 지었으며, 또 어느 날은 입에 쏙쏙 들어가기 좋을 만큼의 크기로 만두를 빚어서 밥 대신 만둣국을 내오기”1도 한다. 좀처럼 틈을 내어주지 않는 큰 아이를 위해서 콩을 넣은 작은 주먹밥을 손에 달라붙지 않도록 깻잎으로 하나하나 싸 도시락을 채운다. 갖가지 음식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한껏 아름답게 묘사되고, 그 정성 어린 음식들의 이미지가 여자가 불륜을 저지르고 있다는 사실을 저만치로 밀어내버린다. 집안일에 지친 여자의 손에 핸드크림을 발라주는 아버지의 모습을 훔쳐본 주인공은 자신도 일에 찌들어 손금이 쩍쩍 갈라진 여자가 아닌, 은은한 향내를 풍기는 “그 여자 같이 되고 싶다”고 소망한다. 하지만 그 추억 사이로 끼어드는 몇 가지 기억이 마음을 불편하게 만든다. 다리를 다쳐 몸을 움직이지 못해 살이 찌자 남편에게 버림받은 점촌댁, 힘들 때면 칫솔질을 하며 울음을 숨기고, 잠시 돌아온 어머니가 막냇동생에게 젖을 물리는 모습을 말없이 내려다보던 여자의 모습, 집을 떠나던 날 여자가 주인공에게 건넨 마지막 말 “나처럼은… 되지 마.”2 결국 주인공은 남자와의 약속 장소에 나가지 않는다. 끝내 집을 떠난 여자처럼 주인공 역시 사랑을 이루지 못했지만, 여자에 대한 기억을 계속 추억으로 간직할 것 같다는 예감이 들었다. “그 여자는 오빠들 속에 섞여 있는” 주인공을 알아봐 줬기 때문이다. 남자가 “처음 만난 그 날, 느닷없이 내리는 비를 맞고 버스를 기다리고 있는 여러 여자들 중에서 감기를 앓고 있는 여자가 바로 저라는 걸 알아줬던 것처럼.”3

 

아주 사소한 일로도 기억은 추억으로 탈바꿈한다. ‘빨래’의 후반부 솔롱고는 옥상에서 나영에게 프러포즈 반지를 내민다. 둘은 곧 거처를 옮기지만, 그 옥상은 둘도 없는 추억의 공간으로 남을 것이다. 나 또한 옥상에서 즐거운 일은 없었는지 기억을 더듬다 문득, ‘빨래’가 만들어진 지 10년도 더 된 작품이라는 사실을 떠올렸다. 불법체류자임을 약점 잡아 임금을 떼먹는 악덕 고용주, 부당 해고의 두려움에 떠는 비정규직 노동자, 장애인에게 쏟아지는 폭언 등이 현재의 모습과 다르지 않다. 10년 전 달동네 사람들을 힘들게 했던 문제들도 여전하다. 앞으로 또 10년이 흘러도 ‘빨래’는 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 수많은 옥탑에는, 서울 올 땐 꿈도 많았는데, 혼자 사는 엄마한테 편지 한 줄 못 쓰는, 꿈이 닳아 지워진지 오래되어 어느 방에 두고 왔는지 기억도 안 나는 청춘들이 또 머물게 될까4 궁금해진다.


1. 신경숙, “풍금이 있던 자리”, 『풍금이 있던 자리』, 문학과지성사, p.24.

2. 위의 책, p.33.

3. 위의 책, p.28.

4. ‘빨래’의 넘버 ‘서울살이 몇핸가요’의 가사 일부는 다음과 같다. “서울 올 땐 꿈도 많았었는데/삼사 년 돈 벌어 대학도 가고/하지만 혼자 사는 엄마한테/편지 한 줄도 못쓰는 내 꿈은 내 꿈은/나의 꿈 닳아서 지워진지 오래/잃어버린 꿈/어디 어느 방에 두고 왔는지/기억이 안 나요”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