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형주 (jeremy28@naver.com)

[환경과조경 이형주 기자] 쇼경관 특화그룹 윤토가 식물을 활용한 생목형 정원 장식물을 신규로 출시하고 가든센터로 전시공간을 확대하며 ‘Y_Garden 오브제’ 시즌2를 시작했다.
‘Y_Garden 오브제’는 정원 연출과정에서 가드너가 부여하는 상징적 의미를 보다 쉽게 전달하고, 정원에 흥미요소를 부여하기 위해 지난해 론칭한 정원 장식품 및 예술품 브랜드다. 입체적 표면 효과, 패턴의 강조, 물성 변형을 통한 창의적 시도 등 공간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는 가드너의 표현 도구로서 만들어졌다.
기존 브랜드는 철재와 목재 혹은 철재와 석재를 혼합해 만든 ‘소재 결합형’, 철재로 입체적인 형상을 조형한 ‘입체형’, 철재로 그림자와 같은 평면을 만든 ‘실루엣형’, 스톤페인팅 제품으로 구성돼 있었다. 디자인실과 자체 공장을 갖추고 있어 철재, 목재, 석재 등의 다양한 재료의 물성을 연출 의도에 따라 제품 디자인부터 제작까지 언제든 의뢰 가능하다. 덕평자연휴게소 내 별빛정원우주에 정원에서 휴식을 취하며 전시된 샘플을 볼 수 있는 복합정원문화공간도 마련해두었다.
시즌2는 식물을 활용한 ‘생목형’으로 오브제 제작 범위를 넓히고, 제품 전시공간을 기존 덕평자연휴게소 뿐만 아니라 국내 수목원 및 식물원 내 가든센터 등으로 넓힌 것이 특징이다.
‘생목형 오브제’는 ‘Y_Garden 오브제’의 재료적 한계를 없애기 위해 고안한 제품이다. 수종별 생육 특성에 따라 의도한 형상으로 키운 조형수목과 특별 제작 또는 선정한 화분의 조화로 구성된다. 제작형 오브제에 다양한 재료를 접목하는 시도 중 나온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식물 자체를 정원 오브제로 활용코자 토피어리와 분재 사이의 성격으로 특화시켰다.
‘생목형 오브제’ 용도는 정원식물 대신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식재와 별개로 상징성이나 메시지 전달을 위한 인공구조·시설물이 들어가는 자리를 채우는 것이다. 지난해 제품군을 완전히 갖추지 못했음에도 윤토가 진행한 설계작업에 ‘Y_Garden 오브제’를 도입했을 때 클라이언트에게 호응을 얻어 재료의 범위를 넓혀 아이템을 발전시켰다.
이와 함께 기존 제품 전시공간도 한 차원 업그레이드 했다. 기존 덕평자연휴게소에는 허브제품, 반려식물, 가든오브제 등을 전시하고 휴식 장소로도 활용할 수 있는 ‘Y가든휴’, ‘Y가든허브’가 갖춰져 있다. 이곳에서는 전시된 제품을 직접 구매하거나, 샘플을 보고 정원에 넣을 오브제 제작을 의뢰할 수 있다. 올해는 이곳에 정원사업본부를 두고 ‘Y_Garden 오브제’ 전 프로세스를 총괄하는 동시에 가든디자이너들이 교류할 수 있는 가든센터로 운영할 예정이다.
윤토의 정원사업본부는 신구대 교육프로그램과 연계한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10개 이상의 대응 팀을 갖췄다. 수종 선택부터 다양한 오브제의 디자인부터 시공까지 전문교육을 이수한 팀원들이 직접 책임지고 손발을 맞춘다.
전시공간은 자체 운영하는 장소뿐만 아니라 협약을 맺은 국내 수목원 및 식물원 내 가든센터도 있다. 가든센터를 찾는 사람들이 원하는 제품을 찾을 수 있도록 전시품목 구성을 도와주고 ‘Y_Garden 오브제’도 함께 보여주는 방식이다. 이외에도 운영이 취약한 전국의 가든센터와 협의를 통해 같은 방식으로 전시공간을 늘려나간다는 전략이다.
윤덕규 윤토 대표는 “오브제를 선택해서 위치를 잡아 정원에 배치하는 것은 관조하는 데서 한발 더 나아간 참여 행태다. 자신이 정한 오브제가 정원을 하나의 힐링 플랫폼으로 작동하게 하는 매개가 된다. 꽃 하나, 나무 하나 심는 마음이 넘쳐날 때 정원 속에서 힐링이 된다. ‘Y_Garden 오브제’는 그것을 만들어나가는 데 작게나마 기여하려는 마음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