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잠일초등학교 옥상 인공습지 도시 내 멸종위기종 서식을 위한 습지생태계 조성
  • 에코스케이프 2015년 04월

jjh 002.JPG

잠일초등학교 옥상 전경©전진형

 

습지의 중요성

세계적으로 생물다양성이라는 용어는 더 이상 낯설고 어려운 단어가 아니다. 기후변화, 생태계서비스 등의 주요 이슈들과 함께 생물다양성의 감소 위기는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미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들이 이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1992유엔환경회의에서 158개국이 참여하여 생물다양성에 관한 협약CBD: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을 채택하였으며 우리나라는 1994년부터 이 협약에 가입하여 생물다양성 감소에 대응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작년 929일부터 1017일까지 강원도 평창에서 제12차 생물다양성 협약 당사국총회를 성공적으로 유치하여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과거 1970년대 이후로 급격한 산업화 및 도시화 과정에서 이루어진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생태계가 훼손되고 생물종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개발 및 이용의 대상으로부터 보존 및 복원의 대상으로 자연의 패러다임이 변해감에 따라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회복에 대한 국내의 인식이 점차 확대되었고,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법이나 제도 등이 강화되고 멸종위기종이나 희귀종, 또는 특이종들을 복원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도 마련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습지는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한 방안들 중 하나의 중요한 자원으로 대두되고 있다. 습지는 물의 정화와 저장, 지표수 공급, 유량 조절, 그리고 야생 동·식물 서식처로서의 역할 등 생태계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물을 정화시키고 저장하는 과정을 통해 오염되지 않은 수자원으로서 높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상생태계와 수생태계의 경계에 위치하여 나타나는 생물 및 서식처는 습지에 경관적인 가치도 부여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주목해야 할 점은 멸종위기에 처해 있거나 희귀한 종들의 서식처로서 습지가 갖는 생태적인 기능이다. 1986년 미국에서는 멸종위기에 처한 209종의 동물들 가운데 약 50%가 습지를 중심으로 살아가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으며, 국내의 경우에는 2013년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발표한 전국 내륙습지 정밀조사결과를 통해 멸종위기종 7을 포함한 1,700여 종의 야생 동·식물들이 생태 우수습지에 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는 습지는 갈대밭 탐사, 탐조 여행 등 다양한 생태관광의 장이 될 뿐만 아니라, 아이들에게 육상생태계와 수생태계의 전이지대로서 독특하고도 가치가 높은 생태교육의 공간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잠일초등학교 옥상 인공습지 조성

앞서 밝힌 대로, 생물다양성의 측면에서 습지가 갖고 있는 높은 가치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경제 발전에 따른 경작지 및 도시 확장 등의 개발을 위해 습지 매립이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해 많은 습지 서식지가 훼손 또는 소멸되었다. 따라서 대체 서식지의 조성은 생물다양성 향상을 위한 과제로 대두되었으며 인공습지는 생물 서식지로서의 기능을 포함한 습지의 생태적 기능과 가치를 살리면서 자연습지보다 정화 능력을 더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사람들의 요구와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설계총괄 전진형(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교수)

시공·식재계획 ㈜한국도시녹화, 김재근(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교수)

발주 서울특별시 송파구청

위치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95 잠일초등학교 옥상

조경면적 226m2(인공습지: 47.14m2)

구조진단 유형 중량형: 213m2, 혼합형: 13m2

완공 2014년 7월 21일

지원사업 환경부 차세대 에코이노베이션 기술개발사업

과제명 습지 생태계 조성 및 자연생태회복기술 개발

 

전진형은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환경생태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습지생태계 조성 및 생태환경회복기술 개발,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도시 내 저탄소 경관 디자인 요소 개발 및 야생생물 군집 변화 모델링 등 생태계 복원 및 설계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생태학적 이론과 과학적 데이터를 근거로 다양한 디자인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 단계부터 시공 후까지 생태계 변화를 예측하여 대상지가 지속가능할 수 있는 생태조경설계와 유지관리 방안을 연구·교육하고 있다. 최근에는 생태환경의 보존과 인간의 이용 및 개발의 조화라는 패러독스를 해결하기 위해 디자인을 통한 생태회복성(Eco-resilience)에 관심을 갖고 이를 조경분야에서 적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월간 에코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