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어바이오] 제4차 URBIO 한국 총회에서 다루어질 주요 내용
  • 에코스케이프 2014년 Summer

KNC01.JPG

독일 에르푸르트 대학교 내 생물다양성 습지

 

2030년 세계 인구의 절반이 도시 지역에 거주하고 자산의 3/4이 집중되는 등 도시의 집적과 확장이 미래에도 계속된다는 유엔보고서(2007년)의 예측은, 생물다양성 보전에 있어 반드시 고려해야만 하는 위협 요소다. 이에 도시 차원에서의 생물다양성 보전 노력을 논의하기 위해, 2007년 브라질의 ‘꾸리찌바 선언’을 계기로 전문가 국제 네트워크 ‘URBIO’가 발족했다. URBIO는 독일(2008년), 일본(2010년), 인도(2012년)에서 열린 생물다양성협약 당사 국총회CBD COP와 연동하여, 매회 약 30여 개국 400여 명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국제 학술 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해 왔다.


올해 10월 강원도 평창에서 개최 예정인 제12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에서는 난개발과 지구온난화, 남획, 외래종 등으로 생물다양성이 감소되고 생태계의 파괴가 가속화됨으로써, 생태계 서비스 질의 저하를 초래하는 생물다양성 위기의 원인을 진단하고, 범지구적 차원의 생물다양성 보전 노력을 집결하기 위한 국제 협력 방안들이 모색될 예정이다. 생물다양성협약CBD은 생물다양성(유전자, 종, 생태계)의 보전, 생물다양성 구성 요소의 지속가능한 이용, 생물 유전자원의 이용을 통해 얻어지는 이익의 공평한 공유를 목적으로 한다. 여기에 동의 하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약 193개국(2013년 기준)이 당사국으로 참가하고 있다. 생물다양성협약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당사국총회의 결정물을 바탕으로 국가생물다양성전략NBSAP을 수립하여 국가별 이행에 대한 지원과 점검을 해야 한다.


NBSAP는 보전 수단으로서 모니터링과 평가, 보호 지역, 외래종 관리, 전통 지식의 장려와 지속가능한 이용 방안, 사회·경제적인 측면의 인센티브제도, 유전자원과 이익 공유에 대한 안전성 확보, 재정적 지원, 당사국총회 보고서 작성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유기적 협력과 더불어 지방정부 차원의 행동 계획 수립을 위한(하이데라바드 선언) 도시 단위의 LBSAP(지방생물다양성 전략 및 이행 계획)를 마련할 것이 요구된다.


LBSAP는 2010년 10월 일본 나고야에서 열린 제10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결의안(X/22)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었으며, 생물다양성 평가, 보호구역 설정, 관련 법규와 정책 시행, 역량 구축과 의식 제고에 목표를 두고 있다. 지역 생물다양성 관리는 전 세계 지표면의 상당 부분을 지방정부가 관리하므로 각 지역의 특성과 부합되는 개발 여부와 방법을 결정할 수 있고, 주민을 상대로 보다 더 생태 감성적인ecologically-sensitive 사회를 조성할 수 있으며, 생물다양성과 생태계는 폭풍우 제어, 도시열섬 효과 완화 등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그림1>에서와 같은 생태계변화가 수반되고, 외래종 관리 및 도시 생물다양성과 설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의식 전환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의식 전환에는 URBIO 콘퍼런스에서 발표되는 연구 결과들이 근거가 되고 있다. 한편, 올해 한국 총회에서 발표될 주요 연구 결과물은 『LEELandscape & Ecological Engineering』 저널에 게재될 예정이다.


평창에서 열릴 이번 CBD 당사국총회에서는 생물다양성 전략 계획 및 목표 마련을 위해, 2050년까지의 장기적 목표를 수립하고 2020년까지의 단기목표(5개의 전략 목표와 아이치 타깃으로 불리는 20개의 세부 목표)에 대해 점검할 것으로 보인다. 또 ‘지속가능한 발전’을 주제로, 글로벌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논의와 이행 주도, 모범적 이행 모델 제시가 있을 계획이다. 바이오 안전성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 공유에 대한 나고야 의정서의 공식적 발효도 전망된다.

 

 

김남춘은 1957년생으로 서울대학교 조경학과에서 공부하였고, 동 대학원에서 조경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교수,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명예 회장, ICLEE 부회장, 환경부 환경규제개혁 T/F팀 자연환경분과 위원장, 환경부 도시생물다양성 포럼 위원장, MAB한국위원회 위원과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위원으로서 한국 도시 생물다양성과 설계 분야의 학문적 발전을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내년부터 2년간은 URBIO 사무총장, ICLEE 회장, 한국조경학회 수석부회장으로도 활동할 예정이다.

월간 에코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