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도시생태복원] 도시 내 멸종위기종 서식처 복원(1) 도시 지역에 멸종위기종은 존재하는가
  • 에코스케이프 2016년 01월

cdg 003.JPG

작은 규모의 공간이라고 하더라도, 생물종들이 서식할 수 있는 조건만 갖추어진다면 멸종위기종의 서식이 가능하다. 문제는 규모가 아니라, 서식처 요구 조건을 제대로 갖추는 것이다.

 

들어가며

지난 글에서는 도시에서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할 수 있는 도시 습지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이번에는 그러한 습지를 포함하여 산림이나 다른 서식처 유형에서 과연 멸종위기종은 살 수 없을까하는 고민을 함께 나눠보고자 한다.

 

필자는 지난해부터 도시 지역의 생태계 건전성 확보를 위한 멸종위기종 서식처 복원 기술 개발에 관한 환경부 R&D 사업을 생태학자들과 함께 진행하고 있다. 이 과제는 말 그대로 도시 지역에서 멸종위기종의 서식처를 조성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추진하는 것인데, 우선은 대상 분류군을 양서류와 파충류로 정하였다. 더 구체적인 복원 목표종은 남생이와 맹꽁이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연구 내용은 다음 호에 소개하기로 하고, 이번 호에서는 왜 이러한 연구를 하는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왜 멸종위기종인가?

필자가 이 주제를 가지고 강의를 하거나 발표를 할 때 자주 나오는 이야기 중의 하나는 왜 도시 지역에서 멸종위기종을 목표로 하느냐는 것이다. 일반화된 생물종을 목표로 하는 것이 좋지 않겠냐는 뜻으로 해석된다. 아마도 도시라는 환경이 단순화되어 있기 때문에 서식하는 생물종도 대부분은 일반적인 종general species 또는 common species이 우점하고 있기 때문에 그러하리라. 물론 잘못된 이야기는 아니다. 특히 도시 지역에서 목표종으로서 멸종위기종을 설정하는 것은 부담이 크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서식 환경이 특수하고 다양한 조건을 갖추어야 서식할 수 있기 때문에 멸종위기종의 범주에 포함되었다고 보는 견해다.

 

 

조동길은 1974년생으로, 순천대학교에서 조경을 공부했고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생태복원 및 환경계획을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의 대표이사로서 생태복원, 조경, 환경디자인, 경관 등 다분야를 통합시키는 데 관심이 있다.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 자연마당 조성 등 생태복원 사업과 남생이, 맹꽁이 등의 멸종위기종 복원 관련 R&D 사업을 이끌고 있다. 고려대학교에서 겸임교수로서 생태복원 분야에 대해 강의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생태복원 계획 설계론(2011), 자연환경 생태복원학 원론(2004) 등이있다.

월간 에코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