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자연마당 조성사업의 추진 배경과 의의 자연마당 조성사업 들여다보기
  • 에코스케이프 2014년 Spring

hsy 02.JPG

도시의 공원·녹지는 다양한 환경적 편익을 제공한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급속한 개발 과정을 거쳐 왔다. 1970년대 이후의 개발 과정에서 농촌에서 도시로 인구가 집중되면서, 1960년에는 전체 인구 중 도시 지역에 사는 인구가 39.1%에 불과했는데 2005년에는 90%를 넘어섰다. 이로 인해 도시 내의 낮은 산림이나 숲이 잘려나가 반듯한 아파트가 지어졌고, 논과 밭과 습지는 매립되어 건물로 채워졌으며, 흙과 같은 자연지반은 깔끔한 아스팔트나 시멘트로 포장되었다. 신도시 건설 등이 가속화되어 도시는 점점 그 범위를 넓혀나갔고 잘 다듬어진 도로들로 그 기세를 이어나갔다. 이러한 도시화 과정에서 도시 내의 자연 자원은 점점 사라져갔고 이를 터전으로 살고 있던 야생동식물들도 서식지가 사라지거나 단절되어 죽거나 떠나버렸다. 잘 살기 위해서라면 이런 것쯤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사실 도시도 하나의 생태계다. 자연 상태의 생태계와는 사뭇 다르지만 사람과 인공물이 주인이 되어버린 인공 생태계인 것이다. 그러나 도시 생태계는 태양에너지 외에 화석연료와 같은 외부 에너지에 의존하여 자연 생태계에서 이루어지는 에너지나 물의 순환 체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기 어렵다. 때문에 도시에서는 여러 가지 환경적 문제들이 필연적으로 발생될 수밖에 없다. 도시의 열섬, 국지적 홍수 및 범람, 대기와 수질 오염, 기후변화, 녹지 및 생물다양성 감소 등은 도시민의 삶의 질 저하로 이어졌다.


우리나라의 도시 내 공원 조성 면적은 2008년 461km2에서 2012년 412km2로 감소되었고, 1인당 조성 면적도 8.9km2로 선진 외국에 비해 매우 낮다는 통계도 나와 있다. 그동안 정부의 정책은 자연 생태가 우수한 지역을 잘 보전하고 개발로 인한 생태계의 훼손을 방지하는 데에만 집중하였다. 과밀하고 인공지반 위주인 도시 지역의 녹지와 자연지반 확보나 비오톱 조성 등 훼손된 자연환경을 복원하려는 노력은 매우 미흡하였다.

 

 

황상연은 1962년생으로 인하대학교에서 환경공학을 전공하였으며, 2013년에는 자연환경관리기술사를 취득하였다. 1990년부터 환경부에서 근무했으며,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 전국자연환경조사, 토양환경보전, 전략환경영향평가 제도 및 협의 업무 등을 담당했다. 2011년 11월부터는 자연정책과에서 도시생태보전, 생태복원사업, 생태계보전협력금 제도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월간 에코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