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서울의 재개발 ; 서울의 주택개량 재개발사업
    도시불량주택지구에 대한 정비 및 개량이 도시정책의 주요한 과제로 다루어지는 배경은 노후 불량한 주택의 과밀에 따른 재해유발, 사화 경제적 소외층의 집단화에 의한 도시문제 발생, 도시공공서비스의 취약성, 그리고 도시 경관적 측면이 고려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불량주택지구 정비정책의 주요 목표는 지구민의 주거수준 향상, 도시 하부시설의 확충 그리고 도시경관 조성이라는 사회복지 및 도시계획 두 가지 측면 모두에서 정책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서울의 경우 불량주택지구 형성과정은 역사적으로 해방과 6.25동란을 계기로 확대되어 60년대의 사회적 혼란과 이농민의 도시집중으로 도시전역에 걸쳐 분포되었고 그 건축구조와 입지에 있어서도 50년대의 난민에 의한 도심공지, 하천변 등의 천막 판자집 구조에서 60년대는 도심 또는 도심접근이 양호한 고지대 공원용지 등에 콘크리트 블록형 무단점유 불량주택이 발생하였고 70년대는 기존건물의 불법증축 또는 영구건물화 하는 현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형성과정은 외국의 도심기능 퇴조에 따른 스럼(Slum)지구 발생과는 역사적으로 다른 배경을 가지고 있어 그 정비의 접근기법에 있어 도시기본계획에서 구상하는 도시기능의 회복에 따른 거주민의 기존 생활권형성 등에 제약요소가 되고 있으며 입지여건 또한 주거공간의 확보와 건축시설 배치에 제한적 요소가 되고 있다. ※ 키워드 : ※ 페이지 :
  • 전국토공원화운동을 진단한다 ; 전국토공원화운동의 의의
    우리나라의 국토공원화운동의 경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점에서 그 시대적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인구밀도를 지닌 나라중의 하나인 동시에 경제 성장과 더불어 경제밀도도 가장 높은 나라중의 하나이다. 인구의 70%이상이 도시에 집중하였고, 국토의 이용도 고도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밀도 산업사회에 대처하여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균형을 찾고 자연을 아끼고 가꾸려는 국민적 지혜가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국토공원화운동은 자연보호운동 및 국토 가꾸기 운동의 발전적 승화라고 할 수 있다. 고밀도 산업사회가 초래하기 쉬운 자연훼손, 환경오염의 심화를 극복하는 관건은 바로 국민가치관의 재정립이다. 국토를 사랑하는 마음, 자연을 아끼고 가꾸는 마음 그 자체가 국토공원화운동의 정신적 바탕이며 바로 국토공원화운동인 것이다. 둘째, 새마을운동의 발전적 승계운동이다. 1972년부터 태동한 새마을운동은 그동안 생활 환경개선, 소득증대, 복지수준의 향상 등 주로 물량적 시설개량에 커다란 공헌을 하여왔다. 1980년대에 들어오면서 새마을운동은 민간주도형으로 전환되었지만, 하나의 국민운동으로서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면에서 새마을운동의 새로운 구심점을 찾고 범국민적 운동으로서 새로운 지평을 찾는데 국토공원화운동은 시대적 요구와 일치된다고 할 수 있다.
  • 전국토공원화운동을 진단한다 ; 전문위원 시찰평가 - 전라도를 중심으로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전국토공원화운동을 진단한다 ; 좌담 - 전국토공원화운동을 진단한다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전국토공원화운동을 진단한다 ; 전문위원 시찰평가 - 충청도를 중심으로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공간의 환상 시간에의 몰입 - 빼어난 균제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전국토공원화운동을 진단한다 ; 전문위원 시찰평가 - 강원도를 중심으로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사진으로 본 경관 - 고향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제23차 IFLA총회를 다녀와서
    제 23차 IFLA총회가 동경과 아름다운 “녹”의 도시인 고베를 배경으로 지난 5월 26일부터 6월 1일까지 6일간 개최되었다. 이번 총회는 “환경의 창조”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자연자원”과 “문화유산”에 관한 워크샵도 가졌다. 우리나라는 오휘영 교수를 단장으로 학계, 업계를 대표하는 30여명의 회원이 참가했는데, 오휘영 교수가 이사회에 참석한 것을 비롯, 워크샵에서 민경현 박사의 논문(한국의 전통정원에 관하여, 수석정원을 중심으로)과 이규목 교수의 논문(서울의 한옥보존)이 발표되었다. 이번 총회에서 우리는 미국 캘리포니아의 로버트교수를 비롯하여 이론의 기타무라씨, 헝가리의 메쉐니교수 등 세계의 저명한 조경가와 접하는 기회를 가졌다. 이번 대회에 참가하면서 수년전 일본이 전후의 당면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토를 넓히고 가꿔야 한다는 신국토창성론을 주창했던 것이 떠올랐다. 그들은 이 글에서 자연에 인공을 가미해 지상낙원을 만들겠다고 하였는데, 이는 식량과 에너지난의 해결은 물론이고 「경제동물」이라는 불명예를 벗고 「동양의 군자」가 되겠다는 그들의 의지를 반영한 것이었다. 이번 대회를 통해 일본을 돌아보면서 이들의 꿈이 차근차근 진행되고 있음을 느꼈다. ※ 키워드 : ※ 페이지
  • 토마스처치
    1929년 경제공황이 몰고 온 금융가 월스트리트(Wall Street)의 파산은 그간 미국 조경가와 건축가가 이루어온 경관조성작업에 일대 변화를 가져왔다. ‘아름다운 공간’을 슬로건으로 하여 설립되었던 대규모의 조경회사들은 점차 소규모로 바뀌기 시작했다. 1933년 경제가 회복되면서 다수의 중상류층의 주택은 교외주택이나 전원적인 주거형태로 나타났고, 조경디자인에도 새로운 변화가 일어났는데, 이러한 획기적인 변화는 대부분 토마스 돌리버 처치(Thomas Dolliver Church)에 의해 이루어졌다. 조경의 거장 처치는 당시 극심한 불황속에 있던 샌프란시스코에서 그의 경력을 쌓아나갔다. 처치는 1902년 4월 27일 보스턴에서 알버트와 윌다 윌슨 처치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초기에 널리 사용된 세탁기를 개발해 낸 발명가였고, 어머니는 샌프란시스코 K.G.O라디오 방송국의 해설가이자 버클리대학에서 드라마강의를 했다. 토마스 처치의 조경가로서의 자질은 그가 정규교육을 받기 훨씬 이전부터 나타났다고 한다. 3세 때부터 꽃에 대해 비상한 관심을 보이는가 하면 12세 때에는 그의 집 정원을 재구성해 보기도 했다. ※ 키워드 : ※ 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