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PREV 2010 Year NEXT           PREV 06 June NEXT

환경과조경 2010년 6월

정보
출간일
이매거진 가격 무료

기사리스트

이만의 환경부 장관
전 세계적으로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환경문제 해결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사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저마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이와 관련하여 본지에서는 오는 6월 5일 세계환경의 날을 맞아 저탄소 녹색성장의 주무부서인 환경부 이만의 장관과 서면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 장관은 답변을 통해 4대강 살리기 사업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사업이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인프라 구축’이 가능할 것이라 강조했으며, 강릉의 ‘저탄소 녹색시범도시’와 ‘수도권매립지 녹색명소화 사업’에 조경분야가 적극 참여해 줄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_ 편집자주 2008년 3월에 취임하셨으니 올해로 3년째 재직중이신데, 취임 이후 세 번째 환경의 날을 맞아 그동안 중점적으로 추진해 오신 사업과 성과에 대해 말씀해주십시오.지난 2008년 8월 15일 이명박 대통령께서 저탄소 녹색성장 비전을 제시한 이후 환경부는 녹색성장의 주무부처로서 폐자원·바이오매스 에너지 대책, 온실가스 저감 및 기후변화 적응정책, 생태관광 활성화, 친환경적 4대강 사업 추진, 범국민 녹색생활 실천운동 전개, 핵심 환경기술개발 및 환경산업 해외 진출 등 녹색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대표 과제 및 사업을 추진하여 왔습니다.이 중 몇 가지를 말씀드리면, 첫째, 신재생에너지 확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 대책을 수립하여 그 후속조치인 실행계획을 마련했습니다. 가연성, 유기성 등 총 27개소의 폐자원에너지화시설을 확충하는 등 2009년부터 대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여 향후 2013년까지 국가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율인 3.78% 중 84%를 폐자원 에너지로 실현할 계획입니다.둘째,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2008년도에 온실가스-대기오염물질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고, 2009년부터 지자체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온실가스종합정보관리센터를 구축 중에 있으며,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추진을 위한 종합적인 지침 및 기준을 조속히 마련하도록 할 것입니다.셋째, 지난 2008년 10월 람사르총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후 보전·참여형 생태관광을 확대(관광시장의 5.4% 점유)하여 자연자원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착시킨 바 있습니다. 이를 위해 지난 2008년 12월 생태관광활성화 대책을 수립하였고, 올 2월에는 문화관광부와 함께 10대 생태관광 모델 사업지를 선정하는 등 생태관광의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마지막으로, 4대강 살리기 사업을 보다 친환경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에 수질개선 및 수생태계 복원대책을 수립하여 환경영향평가 등을 통하여 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수질오염과 수생태계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추진 중입니다.앞으로도 녹색성장 정책의 성과를 국민들에게 지속적으로 보여 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녹색성장과 관련하여 ‘강릉의 저탄소 녹색시범 도시’나 ‘수도권매립지의 녹색명소화’가 눈에 띕니다. 이와 관련해서 조경분야의 참여방안이 있는지요?강릉 “저탄소 녹색시범도시”는 강릉 지역자원의 전통성과 가치를 높이면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제로화 도시로 변화시키는 사업으로, 2016년 완공을 목표로 환경부와 국토해양부 등 범 부처차원에서 추진 중인 사업입니다.기본적으로 백두대간, 경포호, 경포해안 등 경포지역 주변의 자연환경과 경관을 최대한 보전, 복원하는 사업이므로 조경분야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봅니다. 특히, 경포호와 순포개(석호) 습지 주변지역의 생태를 복원하는 사업, 해안변 건축물을 주변 자연과 조화로운 그린홈으로 리모델링하는 사업 등이 추진될 계획이므로 조경분야 전문가분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또한, 수도권매립지 녹색명소화 사업은 폐기물매립예정지 중 현재 유휴 부지를 활용하여 바이오에너지타운 등 관광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현재 추진 중인 바이오에너지타운 조성사업은 바이오순환림을 식재하여 에너지화 하는 것이므로 추후 관광단지 조성 시 조경분야의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방안을 검토해 보겠습니다.
허온누리
영남대 -아이오와 주립대학교, 최초의 공동학사학위 수료영남대학교 조경학과는 2004년 5월 아이오와Iowa주립대학교 디자인대학과 학술교류 협정을 체결하여 첨단조경기술 개발을 위한 교수 연구 인력을 상호 교환하고, 차세대 글로벌 조경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공동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즉, 양 대학 간 공동학사학위제Dual Degree 협정을 체결하여 영남대학교에서 5학기를 이수하고 아이오와주립대학교에서 5학기를 이수하면(2.5년+2.5년제) 동시에 학사학위를 받을 수 있도록 하였는데, 2004년도에 입학한 허온누리 씨가 그 첫 번째 수혜자가 되었다. 이 제도는 국제화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 양성에 기여하는 좋은 제도로서 다른 대학에도 모범 사례가 되길 바라며, 본지는 허온누리 씨의 이야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편집자주-
제20회 2010대한민국 조경인 체육대회
스무살 맞은 우정과 화합의 큰잔치(사)한국조경사회가 주관하는 제20회 대한민국 조경인 체육대회가 5월 14일 한강시민공원 광나루 제3축구장에서 개최되었다. ‘함께하는 조경, 하나 되는 조경인’이라는 타이틀 아래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57개사 700여 명의 조경인이 한 자리에 모여 우정과 화합을 다지는 한마당 잔치로 펼쳐졌다.유난히도 맑은 5월, 조경인들이 회사별로 돗자리를 깔고 오손도손 다과를 나누며 담소하는 모습은 바쁘게 돌아가는 일상 속에서 오랜만에 찾게 된 여유로움이었다. 어떤 이는 추억 속 운동회와 봄소풍 같은 학창시절의 향수에 빠져들기도 할 것이며, 어떤 이는 오랜만에 반가운 이들과 얼굴을 마주하는 동창회 같은 특별한 느낌을 받기도 할 것이다. 올해로 20회를 맞이한 조경인 체육대회는 이런 설레임 가득한 모습으로 시작되었으며, 도전팀, 사랑팀, 우정팀, 희망팀 총 4개 팀으로 나누어 다채로운 경기와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부산대 조경학과 도시조경포럼 100회 맞아
전국 조경학과에서 유일, 단일 프로그램으로 100회라는 진기록 세워조경담론의 열린 공간이 되고자 부산대학교 조경학과가 지난 2003년부터 매학기 마다 개최해온 도시조경포럼이 지난 4월 29일로 100회를 맞았다. 대학이 아닌 학과 단위 조직에서 단일 프로그램을 100회 동안이나 지속적으로 개최해온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남다른 의미가 있으며, 더욱이 수도권이 아닌 지방에서 조경을 매개로 지역의 학교는 물론 관계, 업계 모두의 정보교류와 소통의 구심점이 되어왔다는데 그 역할을 높이 평가할 만하다. 100회 기념식을 겸해 부산대학교 장전캠퍼스 10·16기념관에서 오후 7시부터 시작된 이날 행사에는 이유직 교수의 사회로 부산대 조경학과 학생과 대학원생, 교수를 비롯해 동아대와 영남대 등 인근 영남권 대학의 학생들과 지역의 공무원, 업계 종사자 등 약 200여 명이 참석하여 도시조경포럼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알 수 있었다.시작에 앞서 부산대 조겸례 부총장은 축사를 통해“도시공간에서 조경의 중요성이 점차 더해가고 있는 요즘, 전국 40여 개 조경학과 중에서 단일프로그램으로 이렇게 오랜 전통을 세워온 것은 부산대 조경학과가 거의 유일하며, 무려 8년에 걸쳐 100회를 맞이한 것은 포럼에대한 애정과 학문에 대한 열정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라고 치하하고, “앞으로 도시조경포럼이 학문적·인간적 교류의 지속적인 장이 되길 기대한다”라고 전해 앞으로 대학 차원에서도 지속적인 관심을 보일 뜻을 내비치기도 했다. 이어서 100회를 기념해 학과장인 최송현 교수를 비롯해 조경학과 전체 교수와 학생대표, 포럼 공동주최측인 부산대 지역개발연구소의 소장이 단상에 올라 함께 기념떡을 컷팅하였다. 가르침과 배움에 대한 열정이 세운 기록지난 2003년부터 시작된 도시조경포럼은 모든 지식정보와 자본, 인재 등이 수도권으로만 집중되는 것에 대한 부산대 조경학과 교수들의 안타까움에서 출발하였다. 지방의 학생들에게도 지식정보에 대한 동등한 기회가 주어졌으면 하는 바람에서 조경을 중심으로 도시와 건축, 자연과 환경, 문화와 예술 등 다양한 주제의 강연과 토론이 펼쳐지는 장을 마련한 것이다. 초창기에는 일반 외부인사 특강 형식으로 진행되어오다 좀 더 발전시켰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2004년부터는 이유직 교수가 코디네이터를 맡아 포스터 및 안내문을 제작하여 전국의 조경학과 및 업계에 발송하는 등 본격적인 틀을 갖추게 되었다. 한 학기에 6명 정도의 특별 강연으로 진행되는데 보통 대학교수와 조경 분야 및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각각 2명씩 초청되어 강연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부산대 조경학과 학생들뿐만 아니라 관심 있는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열린 특강으로 진행되어 그동안 최신 정보에 목말라 있던 지역의 학생은 물론 공무원, 실무 종사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초기에는 소식을 듣고 알음알음 찾아오던 공무원들 사이에서 점차 도시조경포럼이 공무원연수로 인정될 만큼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되자 많은 인원이 참석하게 되었으며, 회를 거듭할수록 토목과 건축분야에서도 찾아올 만큼 포럼의 인지도가 높아졌다.최근에는 포럼 자체에 대한 고정팬까지 생겨나 관심이 가는 주제의 강연에는 꼭 참석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실제로 울산에서부터 달려오던 회사원들 중에는 강연에 너무 심취한 나머지 대학원 진학으로까지 이어지기도 했다. 100회의 기록은 이런 가르침에 대한 열정과 배움 에 대한 열망이 있었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임승빈 교수, 21세기 한국 조경의 비전 제시100회 기념 특별강연의 강사로 초빙된 임승빈 교수(서울대 조경·지역스시템공학부)는 “조경이 만드는 도시”라는 주제의 강연에서 21세기 한국 조경의 과제를 무상(無常: 현상), 무이(無二: 이념), 무애(無碍: 실천)의 관점에서 친환경적 도시, 친인간적 도시, 친경관적 도시가 가져야할 지향점에 대해 설명하였다. 특히 21세기에는 ‘도시 내의 공원’이 아닌 ‘공원 내의 도시’로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공원이 도시의 일부가 아닌 도시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조경의 영역을 미리 정해놓고 이를 수동적으로 지키려고만 하지 않고 지구 및 인간환경 전반을 보고 능동적으로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 고민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했다. 궁극적으로 환경 및 사회적 변화에 대비한 전략을 세워야 하며(無常), 인간환경과 사회에 대한 이분법적 사고가 아닌 융합적 사고를 지니고(無二), 장애가 없는 자유자재한 인간환경과 사회를 만드는 것(無碍)이 21세기 한국조경의 과제이자 패러다임이라고 제시해 큰 박수갈채를 받았다.
국격 건축도시 통합디자인정책 포럼
디자인의 통섭적인 접근과 정책마련에 힘써야지난 4월 23일 대한건축학회, 한국공간디자인단체총연합회, 대한건축사협회, 대한국토도시 계획학회, 한국건축가협회, 한국공공디자인학회,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조경학회, 조선일보, 서울산업대학교가 주최하고 대한건축학회가 주관하는 ‘국격 건축도시 통합디자인정책포럼’이 서울산업대학교 서울테크노파크에서 열렸다. 박병규 서울산업대학교 주택대학원 원장의 개회사로 시작된 이번 포럼은 각각 ‘국격과 디자인’, ‘건축도시 통합디자인정책’으로 주제를 나누어1, 2부로 진행되었다.
용산공원 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기본구상 국제세미나
첫 국립도시공원이 될 용산공원에 대한 다양한 비전 제시용산공원 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기본구상 국제세미나(이하 용산공원 세미나)가 지난 5월 12일 코엑스홀 E5호에서 국토해양부 용산공원조성추진기획단의 주최로 개최되었다. 이 자리는 지난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개최한 ‘아이디어 공모전’의 내용을 토대로 작년 11월부터 6개월여에 걸쳐 조경·도시·교통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마련한 용산공원의 기본구상과 조성방향을 소개하고 국내외 저명한 공원전문가 및 국민들로부터 다양한 의견 및 요구를 청취하여 개선사항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날 세미나는 ‘용산공원’ 자체의 조성 방향(켄 스미스, 김아연 교수)과 ‘용산공원 주변지역’에 대한 연계방안(조나단 바넷, 최창규 교수) 등 두 가지 중점사항을 중심으로 주제발표가 진행되었다. 먼저“대형공원 계획: 오렌지카운티 그레이트 파크로부터 배울점”을 주제로 발표한 켄 스미스(Ken Smith 소장, 켄 스미스 조경사무소)은 용산공원의 계획을 위해 고려할 주요사항으로 ‘생태적 인프라로서의 공원’, ‘역사와 장소성을 가진 공원’, ‘휴식처로서의 공원’, ‘다양한활동과 문화프로그램을 수용하는 공원’, ‘생산하는공원’ 등 5가지를 제시하였다. 이 중에서도 생산성을 가진 공원으로 조성되어야만 스스로 자생하는 공간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자신이 마스터플랜을 수립한 오렌지카운티 그레이트 파크의 사례를 통해 지역민의 공원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는 공원조성과정에서 지역사회와 함께 소통하는 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아연 교수(서울시립대 조경학과)는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토대로“최초의 국립도시공원, 용산공원의 비전Vision for the first national urban park”이라는 제목 하에 용산공원의 기본구상안에 대해 들려주었다. 우선 공원의 골격을 세우는 전략으로 국가의 상징성과 지역적 정체성을 살리기 위해 한국적 경관요소인 숲, 들, 호수, 하천, 습지의 경관을 재현하고, 남산-용산-한강을 잇는 생태/경관축을 형성하는 안을 제시했다. 더불어 공원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의 개발요소와의 효율적 네트워크를 통해 공원이 도시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진단하고, 소통의 회복과 녹색교통을 실현하는 것이 공원의 기본골격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공원 프로그램과 관련해서는 용산공원은 단일한 성격으로 규정할 수 없는 대단위 면적임을 감안해 장기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공원 속에 다양한 공원이 공존하는 ‘United Park’를 제안하고, 미래의 유연한 대처가 공원의 기본 골격 자체를 흔들지 않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다양한 방식의 국민 참여를 통해 조성·운영·관리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공원조성의 촉매방안의 하나로 용산공원에서의 국제행사 개최를 제안하기도 했다. 세 번째 발표자로 나선 조나단 바넷(Jonathan Barnett 교수, 펜실베이니아대)는 “용산공원이 가져올 도시디자인의 가능성”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용산공원의 古지도와 현재 위성지도를 비교 분석해 과거의 경관을 재현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자연환경을 일부 복원할 수 있는 기회도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미국 워싱톤 D.C에 있는 Rock Creek Park를 예로 들며, 도시 내에도 접근이 용이한 자연공간을 재현할 수 있음을 설명하며, 용산 또한 일부구간에는 남산을 비롯한 자연과 유사한 환경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더라도 자연복원에 힘써야 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도시와 공원이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현재 가로막혀 있는 남-북, 동-서간의 연결 동선이 필수적이며, 다만 센트럴 파크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공원에서 차량이 보이지 않고, 차량에서 공원 내 사람들이 보이지 않도록 디자인 되어야 하며, 한강과의 연결에 있어서도 단순한 보행자용 다리보다는 뉴욕의 하이라인처럼 즐거움을 주는 공간 마련이 반드시 제안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용산주변지역을 위한 도시디자인 컨셉”에 대해 발표한 최창규 교수(한양대)는 용산공원의 인접지역 관리를 위해 경계부, 인근지역, 주변부 등의 차별화된 관리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한강과의 연결을 위한 오버브릿지와 지하도로 등과 수계를 연결하는 수로 조성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또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경계부의 접근로 계획을 마련할 것과 서울시 교통체계를 고려한 도로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공원내부 교통시스템으로는 자전거 등의 녹색 교통 위주로 계획될 예정이며, 자가용의 활용은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2009 아트고양프로젝트
일상이 예술이 되는 동네 무원연가無元聯佳아트(ART)고양프로젝트는 고양문화재단에서 추진하는 공공미술사업으로 고양시민이 주체가 되어 아름답고 살기 좋은 고양시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009년 처음 시행된 제1회 사업공모에서는‘공공미술 프리즘’의‘무원연가(無元聯佳)’가 선정되어 동네 예술가 공방(스튜디오), 동네길 탐사, 동네길에서 만난 풍경, 오픈식 축제 등 주민들이 참여하는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했다. 지난해 말에는 그 결과물로서 행신2동 무원마을 일대와 무원초등학교 옆 가로수길에 작품을 설치하였는데, 이에 본지는 조형물『뜬 세상의 아름다움』을 소개한다. 올해도 고양문화재단에서는 2010 아트고양프로젝트 공모를 통해 사업자를 선정하고, 올해 말까지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공공미술을 설치할 예정이다. -편집자주-
조경 드로잉 마스터하기: 보기, 생각하기, 만들기
알리스테어 맥인토시(ASLA)의 조경스케치조경가 알리스테어 맥인토시(Alistair McIntosh, 이하 맥인토시)의 갖가지 스케치북들이 작업준비를 위해 책상에 놓여있다. 색연필, 먹칼, 흑연, 목탄, 붓, 노란 트레이싱지 뭉치, 몽블랑 만년필, 그리고 제도용 스케일도 함께 보인다. 작은 계산기와 블랙베리 휴대폰만이 여기에 어울리지 않는 유일한 전자장치이다. 화면을 완성해주고 있는 커피 한 잔과 두 개의 사과가 하루를 위한 영양소이다. 그의 책상에 보이는 작은 포켓 크기에서부터 풍경화 판형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의 네다섯 개의 스케치북들은 그가 그의 동료들이나 더 나아가 세계 조경가들이 하는 일과 다른 독특함을 만들어 준다. 그리고 컴퓨터 화면과 함께 다른 사람이 출력해놓은 캐드 도면들도 책상의 한켠을 채우고 있다. 그는 과거에서 해왔던 스케치와 연습 방식을 통해서 세심하고 계획적으로 작업을 진행한다. 필자는 그가 과거 수세기 동안 조경가, 화가, 그리고 다자이너들이 해왔던 전통적인 방식을 따르면서 그것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형태로 변화시켜 묘사가 가능한 디자인 도구나 미래를 위한 프로세스로 삼음으로써, 조경 설계의 진보 적이고, 객관적인 견해를 대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그림 1). The many and varied sketchbooks of landscape architect Alistair McIntosh lie open across his desk ready for work alongside collections of colored pencils, ink pens, graphite sticks, charcoal, brushes, rolls of yellow trace, Mont Blanc fountain pens and drafting scales. A small calculator and a blackberry cell phone are the only electronic devices intruding on the scene. A cup of coffee and two green apples for nourishment during the day complete the ensemble. But it is the four or five sketchbooks of all sizes from pocket to landscape format that mark his desk as quite different from his colleagues and indeed unique from many landscape architects working around the world. There is little sign of a computer screen, although printed construction CAD drawings by others also litter his desk. He is giving studied attention to the daily work of landscape architecture through the ancient act of personal sketching and study. He represents, in my opinion, a forward looking and projective view of landscape design as one that still follows in the traditions of landscape architects, painters and designers from previous centuries yet manages to transform it into a personal yet accessible form of communication and representational design tool and set of processes for the future.(Figure 1)
고정희의 식물이야기(3): 식물에 대한 좀 더 근본적인 생각
식물의 개념과 분류식물Plantae AEKEL을 학술적으로 정의한 것을 보면 식물의 가장 근본적인 성격은“자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거다. 예전에는 물 위에 부유하는 조류와 버섯과 같은 균류들도 식물의 범주에 포함시켰으나 최근 들어 광합성 작용을 하는 것들만을 식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그러니까 세포 속에 생존과 생장에 필요한 성분들, 클로로필, 섬유질, 녹말, 당분들을 갖추고 있는 것을 식물로 보고 있다.1 인간을 포함한 동물들이 이 식물들을 섭취하고 소화하고 흡수하며 나머지를 배설하는 기관들을 고루 갖추고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섭리의 오묘함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인류가 지나온 길을 되짚어 볼 때 식물은 늘 충실한 동반자였다. 사나운 짐승처럼 사람의 생명 을 위협하지 않고, 여름 저녁 어김없이 찾아드는 모기처럼 귀찮지 않고, 시원한 그늘과 은은한 향으로 하루의 시름을 달래주면서도 사랑과 관심을 강요하지 않은 채 묵묵히 우리 곁을 지켜왔 다. 의식주가 식물 없이 가능할까. 집짓는 목재가 되어주고, 식량을 주고, 그늘을 제공하며, 옷 지을 섬유에 염료에 약까지 만들어 주었다.이 점은 21세기 현재에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식물 없이도 생존이 가능한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 이론적으로는 가능한 일일 수도 있겠으나 사람이 과연 그런 세상을 바라는지는 별개의 문제이다. 최근에 본 암울한 영화“The road”에서는 식물이 모두 죽어간 참혹한 지구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또 다른 영화 아바타에서 인간이 마지막 희망으로 찾아간 판도라 행성은 듣도 보도 못한 황홀한 식물들로 가득했다. 이렇듯 식물은‘good guy’로 우리의 의식 속에 각인되어 있다.인간의 관점에서 식물의 이용성을 기준으로 하여 식물을 분류할 때 대개는 식용식물, 소재 및 자재식물, 커피나 차와 같은 기호식물, 약용식물, 에너지 식물, 그리고 원예식물로 나누었다. 물론 이에 의거하여 식물이 엄격히 분리되어 식용, 약용, 정원용이 전혀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대개는 한 가지 식물이 여러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경우가 더 일반적이다.우리에게는 오동나무를 정원에 심어 두었다가 딸이 출가할 때 장을 짜주는 아름답고도 현명한 풍습이 있었다. 오동나무는 거문고 등의 악기를 만드는 재료로도 쓰였다. 지금은 대량생산의 희생이 되고 있지만 각종 유실수야 말로 봄에는 아름다운 꽃을, 여름에는 시원한 그늘을, 가을에는 향기로운 열매를 제공하는 다기능 나무의 대표가 아닌가 싶다. 궁한 겨울에는 땔감으로 변신하기도 했다.우리 식탁에 늘 오르는 나물의 대부분이 정원에 심으면 훌륭한 원예식물이 될 수 있는 것들이다. 허브나 약초 역시 유용한 만큼 아름다워서 최근 들어 허브가든, 약초원 등을 테마로 한 정원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이야기 따라 밟아본 삼국지 유적과 경관(3)
떠나는 관우와 보내는 조조의 아름다운 이별처 허창 파릉교원소의 심복 안량, 문추를 베어 공을 세운 관우는 형인 유비가 원소 휘하에 있다는 말을 듣고 떠날 준비를 한다. 조조에게 하직인사를 올리려 했으나 면회를 사절하자 하직의 글을 쓰고 조조에게서 받은 금 은 등은 모조리 곡간에 넣고 문을 봉한 후 한수정후 인후를 단상에 걸어두고, 부하들로 하여금 두 부인을 태운 수레를 호송케 하여 북문을 향해 길을 나선다. 조조는 뒤돌아가서 죽여 후환을 없애자는 말을 듣고, 이미 항복하는 조건에 놓아 보내기로 한 약조를 지켜 신의를 저버리지 않겠다고 한다. 그에게 노자路資와 전포를 주어 후일의 기념을 삼게 배웅하러 가겠다고 한다. 관우가 말을 다리 위에 세운 다음 청룡도를 치켜들고 남쪽을 바라보니 조조가 수십 명의 무리를 이끌고 달려온다. 조조는 작별인사로서 황금을 담은 쟁반을 받쳐 들었으나 받지 않고, 비단전포를 받들어 바치니 청룡도 끝으로 비단전포자락을 걸쳐 올려 몸에 둘렀다. 허저가 저렇듯 무례한 자를 어찌하여 그냥 보내시냐고 하니까“저는 일인일기요 우리는 수십 인인데 어찌 의심이 없겠는가?”하고 못내 탄식하며 말머리를 돌려 성으로 돌아온다. -황석영『삼국지』3권에서 요약-헤어진 장소가‘다리’라고 고유지명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곳은 하남성 허창許昌에서 서쪽으로 8킬로미터 떨어진 파릉교 陵橋이다. 파릉교라는 이름은 본래 당나라 때 장안에서 이별의 장소로 알려진 곳인데 이 이름을 따서 후에 붙인 것이다. 원래의 파릉교는 1967년 홍수에 소실되었고 1993년 지금과 같이 규모가 큰 아치형 다리를 만들고 파릉교공원으로 조성해 놓았다. 깔끔하게 단장한 정문‘파릉교문박원’이 라고 쓴 패방을 지나면(사진 1) 이별 장면을 그린 대형 석판화가 보인다(사진 2). 유비를 찾아 떠나는 관우의 모습이 중앙에 있고 좌우에 두 형수를 모신 관우 일행과 조조와 그냥 놓아 보내는 것이 아쉬운 휘하 장수들의 모습이 보인다. 아래 있는 글을 보면 최근에 만들어서 관우는 이미 황제인 관제關帝의 지위까지 올라 있다.다리를 향해 가다보면 대문이 나오고 그 위에‘활活’자를 써놓은 것이 보인다(사진 3). 이것은 관우와는 관련이 없고 조조와 양수 사이의 일화를 재현해 놓은 것이다. 양수는 유비와 조조가 한중에서 싸울 때 소위‘계륵’사건으로 참수를 당했는데 그 때 양수가 너무 똑똑한 체해서 조조의 미움을 샀다는 이야기와 관계가 있다.
무성서원
Museong Seowon무성서원은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500에 위치하며, 면적은 5,507㎡으로 고려시대에 고운 최치원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창건한 태산사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이후 조선조 숙종 22년(1696)에 신잠의 사당과 병합하여 “무성武城”이란 이름으로 사액된 이후 신개, 정극인, 안세림,�정언충, 김약묵, 김관 등의 위폐가 봉안되는 등 필암서원, 표충서원과 함께 호남을 대표하는 서원으로 자리 잡았다. 현재 경내에는 태산사, 현가루, 명륜당, 강수재, 전사청 등이 자연과 인공이 화합하는 순응의 미학을 공간적, 지형적으로 연계시키고 있다. 1968년 12월 19일에 사적 제166호로 지정되었다. Museong Seowon which is located in 500, Museong-ri, Chilbo-myeon, Jeongeupsi, Jeollabuk-do is 5,507㎡ area. It origins from Taesansa that was constructed to praise Choi Chi-Won, and it was merged with the shrine of Shin Jam in the 22th year of King Sukjong’ reign(1696) and was named “useong” Shin Gae, Jeong Guk-In, An Se-Rim, Jeong Eon-Jung, Kim Yak-Muk, Kim Gwan is enshrined in Museong Seowon, and it represents Jeolla province with Piram Seowon and Pyochung Seowon. The aesthetics of adaption is connected spatially, topographically, and functionally with Hyeongaru, Myeongnyundang, Gangsujae and Gojiksa. It was appointed as national historical relics no.166 in 19th of December, 1968.
Interview: 제임스 버넷
James Burnett, The Office of James BurnettOffice of James Burnett은 1989년에 설립되어 올해로 창립 21주년을 맞았다. 지난 20여년 동안 추구해온 기업운영 철학과 디자인 철학에 대해 알고 싶다.나는 세계적인 Planning & Design 회사 CRSS에서 5년간 근무 후 지난 1989년 휴스턴에 지금의 회사를 설립했다. CRSS에서의 근무는 나에게 매우 유익한 경험이었고 나의 회사에 대한 구성이나 규모에 대해 매우 깊고 신중하게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나는 양쪽의 사무실이 규모가 크지 않거나 민첩하게 움직일 수 있을 때 최상의 업무능력과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깨달았다. 우리는 지속적으로 우리의 생각을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교환하고 있다. 방법론적으로 그 형태는 중요하지 않고 어떤 방법이 가장 편리한가를 생각한다. 그래서 트레이싱 종이 위의 간단한 스케치나 휴대전화 사진, 어떤 사람의 블로그 혹은 인터넷상의 참신한 동영상을 이용하고 있다. 우리 직원들은 디자인에 관해서 상당히 열정적이며 그들의 왕성한 아이디어가 많은 이윤을 창출하고 있다. 사업가로서 나는 우리의 프로젝트를 위해 채용된 사람이 과연 옳은 선택이었는지 확신하는데 매우 조심스럽다. 의욕을 가진 팀원을 보유한 다는 것은 우리 회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우리는 빠른 성장과 대규모 성장 같은 말에 의미를 두지 않는다. 이러한 점은 단기적으로는 가끔 우리에게 해가 되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주어지는 이득은 매우 값진 것이기 때문이다. 중요한 사실은 우리는 우리가 좋아하고 좋은 교류 관계를 즐길 수 있는 앞선 건축가들과 함께 일하는 것이며, 항상 장래의 대형 프로젝트에 대하여 생각하는 것이다. 작품에서 공간요소나 소재의 디테일을 강조하고 있는 것 같다. 조경공간에서 디테일이 갖는 의미나 중요성은 무엇인가?강한 공간배열과 심도 있는 디테일 디자인은 우리 회사가 하는 일의 핵심이다. 우리는 매년 5개에서 10개 정도의 새로운 정원을 설계하고 있고 건물과 연계된 프로젝트들을 즐기고 있는 회사로서 명성을 쌓아가고 있다. 우리 팀은 건물주들, 건축가 그리고 또 다른 영역에서 각각의 프로젝트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디자이너들과 밀접하게 일을 한다. 디테일 디자인은 때론 간과되기도 하지만 프로젝트 디자인에 있어 아주 중요한 측면이 있다. 나는 항상 직원들에게 모든 프로젝트의 문제점들을 충분히 이해하고 어떻게 하면 모든 조각들이 잘 맞추어 질런지 발견하는 시간을 갖으라고 독려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현장에서 자주 나타나는 것이지만 대개 공사가 시작되기도 전에 스튜디오 내에서 해결될 수 있다. 뚜렷한 장소성을 만들어내는 것 역시 프로젝트의 성공여부를 결정한다. 이것은 여러 방법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부지가 속한 지역의 자연패턴이 부지 내에서 모방될 수도 있고, 문화 행사나 전통들도 디자인 요소의 출발점으로 끌어올 수도 있을 것이다. 어떤 때에는 건축이 프로젝트의 중심이 되고 우리는 그러한 디자인 언어들을 조경으로 연장시킨다. 거기에는 이러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많은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근면함, 끊임없는 연구 그리고 디자인 안목이 요구된다. It has been the 21st anniversary of the office of James Burnett since established in 1989. What is your philosophy of designing projects and operating business over 20 years?The firm was founded in Houston in 1989 after I left my position at the international planning and design firm CRSS, where I practiced for 5 years as a landscape architect. It was a profoundly informative experience and it made me very conscious of size and composition of my own firm; I find both offices tend to perform and function best when they are small and agile. We continually exchange ideas in whatever media format is most convenient, whether it is a rough sketch on trace paper, a cell phone photo, someone’s favorite blog or just a cool video making the rounds on the internet. Our staff is very passionate about design and the frequent exchange of ideas is something that everyone benefits from. As a businessman, I have been very careful to be sure that the projects that we take on are right for us ? keeping the team motivated is critical to our firm. It’s also important that we do not live beyond our means or grow too large too fast. While this has occasionally inconvenienced us in the short term, the long term benefits have been invaluable. We work on projects that we like, enjoy good relationships with leading architects and are always thinking about the next big project. It strongly seems that most projects emphasize space elements or material details. What is your opinion about the importance or meaning which has details in landscape space? Strong spatial order and thoughtful detail design is at the heart of our work. We construct 5-10 new gardens every year and have built our reputation as a firm that enjoys building projects. Our team works closely with the owner, architect and the other designers on the team to create meaning in the project. Detail design is a critical ? and often overlooked- aspect of project design. I always encourage my team to take the time to understand the problem and to take the time to figure out how all the pieces fit together. Sometimes these things turn up in the field but more often than not problems can be resolved in the studio before construction ever begins. Creating a distinct sense of place is also critical to the success of a project. This can occur on a number of levels ? natural patterns found in the region may be replicated on site; cultural events and traditions may be abstracted as a point of departure for a design element. At other times, the architecture becomes the central feature of the project and we extend that language into the landscape. 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to achieve this goal and all require diligence, lots of studies and an eye for design. 번역(Translation) _ 김무한(Moohan Kim)
써니랜드 아넨버그 센터
The Annenberg Center at Sunnylands캘리포니아 란초 미라지의 써니랜드에 위치한 아넨버그 센터는 200에이커로 확장되었는데, 이곳은 출판인이자 외교관 그리고 자선사업가였던 월터 아넨버그(Walter Annenberg)와 그의 아내인 레오노르 아넨버그(Leonore Annenberg)의 별장이다.지난 2006년에는 써니랜드 아넨버그 센터 정원의 설계업체로 제임스 버넷 사무소가 선택되었다. 이에 제임스 버넷 사무소는 소노란 사막(Sonoran Desert)의 질감과 형태, 색상, 아름다움이 해석적으로 표현된 9에이커의 정원을 디자인했다. 제임스 버넷 사무소는 근대 중반의 집과 정원의 전형이라는 찬사를 받는 지속가능한 사막의 식물원을 만들기 위해 아넨버그 부인, 그리고 아넨버그 재단과 긴밀한 협업을 하였다. 사막정원 디자인의 이러한 혁신적 접근은 지역에 부합하지 않는 식물 재료와 화학비료,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해야 하는 팜 스프링스의 전통적 경관에 대한 대안이었다.센터의 조경 디자인은 식재를 단순화했으며, 섬세하고 사려 깊은 시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식재 계획은 자생종 및 사막에 적응된 종의 팔레트를 이용해 살아있는 캔버스에 형태를 잡아 색상과 형태, 질감에 있어서 재미의 균형을 맞췄다. 9에이커의 식물원은 단순하고 우아하며 드라마틱한 식재군락이다. The Annenberg Center at Sunnylands in Rancho Mirage, California is an extension of the 200-acre desert retreat of publisher, diplomat and philanthropist Ambassador Walter Annenberg and his wife Leonore. The Annenberg’s commissioned the California modernist architect A. Quincy Jones to design their second home in the desert in 1963. In 2006, The Office of James Burnett was selected to design the gardens for the Annenberg Center at Sunnylands. OJB has designed a 9-acre interpretive landscape that expresses the beauty, color, form and texture of the Sonoran Desert. The Center will be a place of learning for the public to better understand their philanthropic legacy and the history of Sunnylands as an American icon. OJB worked closely with Mrs. Annenberg and the Annenberg Trust to create a sustainable desert botanical garden that compliments the original mid-century modern house and garden. This innovative approach to design of a desert garden provide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Palm Springs landscapes that rely on heavy water use, chemical fertilizers and regionally-inappropriate plant material. The landscape design for the Center simplifies the plantings and provides a carefully orchestrated visual experience. The planting scheme balances interest in color, form and texture; utilizing a palette of native and adapted desert species to shape a living canvas. The gardens immediately adjacent to the Center extend the clean, simple geometry of the building into the landscape. As one moves away from the modern composition of the building and garden courts, the plantings are more informal and reflective of the native forms found in the Coachella Valley. The 9-acre botanical gardens are simple, elegant and planted in dramatic masses. To enhance the visitor experience, the Center will offer a garden tour narrated by the project team. Landscape Architect _ The Office of James BurnettTeam _ Frederick Fisher and Partners Architects, Reich + Petch,Litwak Group, Mary Irish, CMS Collaborative, HLB Lighting DesignLocation _ Rancho Mirage, California, USAClient _ Annenberg Foundation Trust at SunnylandsPhotographer _ Dillon Diers ※이 기사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의 법률적 소유권은 The office of James Burnett에 있습니다(All images provided are legally owned property of The Office of James Burnett).
미리어드 식물원
Myriad Botanical Gardens1998년에 개장한 5에이커 규모의 미리어드 식물원은 오클라호마시 도심 구조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인접해 있는 드봉 에너지(Devon Energy)사의 세계본부 건설과 관련하여 조세증액금융구역(TIF District: A Tax Increment Financing District) 방식으로 자금이 지원되었고, 이에 오클라호마시는 식물원의 많은 수목표본을 보호하는 동안 보행동선의 개선, 가시성 확보, 프로그램 활동 구역 증대를 골자로 한 개발 디자인을 제임스 버넷 사무소에 의뢰하였다. 새롭게 리노베이션 된 크리스털 브리지 열대 온실에 도착한 방문자들은 잔디밭에서 퍼포먼스를 본다거나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즐기며, 카페에서 커피를 마시기에 앞서 공원을 통해 다양하고 전문적인 식물원을 거닐게 된다. 새로운 산책로와 연속적이고 유연한 정원 공간들은 매년 개최되는 오클라호마시 아트 페스티벌의 확충된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공원 도처에 조성된 확 트인 어린이 정원, 강아지 파크, 설치미술품들은 정원이 모든 사람들에게 중요한 장소가 되도록 보장한다. Opened in 1988, the 15-acre Myriad Botanical Gardens is an integral component in the downtown fabric of Oklahoma City, Oklahoma. Funded by TIF district proceed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adjacent Devon Energy World Headquarters, the City of Oklahoma City hired the Office of James Burnett to develop a design that improves pedestrian circulation, increases visibility and provides additional areas for programmed activity while respecting the many specimen trees on site. Arriving at the newly-renovated Crystal Bridge tropical conservatory, visitors to the park meander through a variety of specialty botanical gardens before grabbing a coffee at the caf?, enjoying a meal at the restaurant or watching a performance on the great lawn. New public promenades and a series of flexible garden spaces support the expanded program of Oklahoma City’s annual Festival of the Arts. An expansive children’s garden, a dog park and art installations throughout the park ensure that the gardens offer something for everyone. Landscape Architect _ The Office of James BurnettTeam _ Gensler, Fluidity Design Consultants, Fisher Marantz Stone Partners,Pacific Aquascape, Murase Associates, Cardinal Engineering, Alvine Engineering,Thornton Tomasetti, Frankfurt Short Bruza AssociatesLocation _ Oklahoma City, Oklahoma, USAClient _ City of Oklahoma City ※이 기사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의 법률적 소유권은 The office of James Burnett에 있습니다(All images provided are legally owned property of The Office of James Burnett).
우달 로저스 파크
Woodall Rodgers Park우달 로저스 프리웨이 상부에 건설될 5.2에이커 규모의 이 공원은 텍사스주 댈러스시의 중심업무지구(C.B.D)와 시외지역 그리고 급성장하고 있는 예술지구를 연결하는 중요한 보행연결축이 될 것이다. 기존의 올리브 스트리트(Olive Street) 다리에 의해 양분되었던 공원은 Pond Cypress(미국 남동부 원산의 낙우송의 일종. 학명은 Taxodium ascendens)가 우거진 길게 뻗은 보행자 산책로에 의해—하나의 공원으로—조직화 되었다. 공원의 남서부 코너에서 시작되는 산책로를 따라 거닐다보면 식물원, 수경시설이 설치된 어린이 정원, 독서실, 이벤트 잔디마당을 지나가게 된다. 올리브 스트리트와 인접한 대규모 공공 광장은 거리와 분수에 이르기까지 레스토랑 테라스, 퍼포먼스 파빌리온, 테이크 아웃 파빌리온 등과 이어진다. 보행자 산책로는 올리브 스트리트의 동쪽을 가로질러 계속 이어지며, 여기에는 소규모 광장과 정원이 조성된다. 광장을 넘어 계속 이어진 산책로는 연속해서 분위기 있는 정원, 분수가 있는 강아지 파크, 공원과 펄 스트리트(Pearl Street) 사이에 우뚝 선 분수까지 연결된다. 공원 측면에 식재된 참나무 숲(groves)은 거리를 따라 강한 건축적 리듬감을 제공해줌과 동시에 인접한 지선도로의 활기로부터 버퍼역할을 한다. Built over the Woodall Rodgers Freeway, this 5.2 acre park will serve as an important pedestrian connection between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Uptown and the burgeoning Arts District in downtown Dallas, Texas. Bisected by the existing Olive Street bridge, the park is organized by a sweeping pedestrian promenade that features a continuous canopy of specimen Pond Cypress. The promenade begins at the southwestern corner of the park, drawing visitors of downtown through the park past a botanical garden, a children’s garden with an interactive water feature, a reading room, and an event lawn. A large public plaza adjacent to Olive Street connects the restaurant terrace, the performance pavilion, the casual take-out pavilion to the street and features an interactive fountain feature. The pedestrian promenade continues to the east across Olive Street and features a number of passive plaza and garden spaces. The pedestrian promenade continues beyond the plaza and connects to a series of intimate garden courtyards, a dog park with an interactive fountain feature and a signature interactive water feature that anchors the park along Pearl Street. Groves of Oak trees flank the site, providing a strong architectural rhythm along the street and serving as a buffer from the activity of the adjacent frontage roads. Landscape Architect _ The Office of James BurnettTeam _ Jacobs Engineering, Thomas Phifer and Partners, Endres WareArchitects Engineers, Fluidity Design Consultants, Focus Lighting Design,Biederman Redevelopment Ventures, Gensler 585Location _ Dallas, Texas, USAClient _ Woodall Rodgers Park Foundation ※이 기사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의 법률적 소유권은 The office of James Burnett에 있습니다(All images provided are legally owned property of The Office of James Burnett).
크로싱즈
The Crossings텍사스 힐 컨트리Texas Hill Country의 210에이커의 유약지(fragile land: 황폐화에 민감한 토지, 토양유실이 심한 토양)에 위치한 크로싱즈는 아름다운 트레비스 호수가 내려다보이는 곳에 자리 잡은 스파 및 건강센터이다. 단지 내에는 8개의 별장을 비롯해 70개의 게스트 룸, 차고, 환영센터, 안식처, 다이닝 홀, 건강센터 등 다채로운 경관 어메니티(landscape amenities)가 마련되어 있다. 대상지가 이미 가지고 있던 녹색 디자인 요소는 우선적으로 따라야 하는 상위 조건이었다. 조경가는 애드워드 대수층(Edwards Aquifer: 모래, 자갈, 실트, 점토 등 공극량이 많은 것으로 구성된 지하수를 함유한 지층)으로 스며들 수 있는 빗물의 양을 최대화하기 위해 대상지를 가로지르는 포장을 투수성으로 제한하였다.빗물과 오수를 모아 부지의 관개시스템으로 활용하였고 대상지에 가장 많이 활용된 소재들은 모두 주변지역에서 가져온 것들이다. 예외적으로 방문자센터 주변 두 곳만 매우 깔끔하게 정비되었으며, 부지에는 자생식물 또는 내건성이 강한 식물이 대량으로 식재되었다. Located on 210 acres of fragile land in the Texas Hill Country, the Crossings is a destination spa and wellness center overlooking beautiful Lake Travis. With 70 guest rooms distributed in eight lodges, the Crossings campus features a carriage house, a welcome center, a sanctuary, a dining hall, a wellness center and numerous landscape amenities. Incorporating green design elements was a high client priority. The landscape architect limited pervious paving across the site to maximize the amount of rainfall that percolates through to the Edwards Aquifer. Both rainwater and effluent are harvested on-site to feed the irrigation system and most materials on the site are locally sourced. With the exception of the two highly-manicured areas near the visitor center, the site is planted extensively with native or drought tolerant material. Landscape Architect _ The Office of James BurnettTeam _ Hatch Partnership ArchitectsLocation _ Austin, Texas, USAClient _ Joyce and Ken Beck, Omega InstitutePhotographer _ Matt McKinney※이 기사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의 법률적 소유권은 The office of James Burnett에 있습니다(All images provided are legally owned property of The Office of James Burnett).
엔터프라이즈 광장
Enterprise Plaza어메니티가 결여되었던 1980년대 건물의 전면 광장을 새로운 진입로이자 활기찬 광장으로 재창조하는 것은 일종의 도전이었다. 더우기 광장은 기존의 주차장 구조물 상부에 위치했기 때문에 디자인 또한 큰 기술적인 문제와 마주쳤다. 그러나, 광장에 넓은 수관이 주는 나무그림자와 시원한 수경시설, 편안한 시설물과 식재를 더하여 야외 모임 장소로 부각되면서부터 건물 방문자와 입주자 모두에게 환영받는 곳이 되었다. 커다란 타원형의 분수는 주요 기능 공간과 현관으로 가는 보행로 사이를 구분해 준다. 여러 단의 월류(越流)형 수반(overflowing basins)에 설치된 분수는, 원형으로 배열된 노즐에서 20초 동안 물이 솟아올라 시각적 초점이 되고 있다. 맞춤형으로 디자인된 플랜터에는 다 자란 참나무가 식재되어 있는데, 앉음벽이 되기도 하며, 매설되어 있는 LED등이 악센트 조명이 되기도 한다. 광장에 마련된 이동식 테이블과 의자는 매일 매일 변화하는 광장 이용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킨다. Faced with an open plaza that lacked amenities, The Office of James Burnett was challenged by the client to create an active plaza that provides a new entry for the 1980’s building. The plaza welcomes visitors and tenants through the creation of an outdoor gathering space with canopy shade trees, cooling water features, comfortable furniture and fascinating plantings. Because the plaza is located above an existing parking structure, the design also faced significant technical challenges. A large elliptical fountain basin defines both the primary function space and the primary pedestrian path to the entry. The fountain features a series of overflowing basins, concentric rings of bubblers and a focal with a choreographed display of jets shooting up to 20’ in the air. Custom-designed planting structures accommodate mature Oak trees, provide seating and conceal LED accent lighting. Movable furniture at the plaza provides additional flexibility as the needs of site users change throughout the day. Landscape Architect _ The Office of James BurnettTeam _ Gensler, WET DesignLocation _ Houston, Texas, USAClient _ EPCO Inc., HinesPhotographer _ Paul Hester ※이 기사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의 법률적 소유권은 The office of James Burnett에 있습니다(All images provided are legally owned property of The Office of James Burnett).
9-11 추모 정원
9-11 Reflection Garden]원래 두 오피스 건물 사이의 차량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된 곳이었던 이 정원은 현재 건물의 진입부이자 두 건물에 근무하는 사람들의 모임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정원은 120피트 정도의 긴 수경시설을 둘러싸고 있는 딱딱한 기하학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강석 판석에 의해 4개의 작은 섹션으로 구분된다. 각각의 섹션마다 떠있는 화강석 수반에서는 양쪽으로는 물이 흘러넘쳐 하얀 포말을 일으키며 못으로 떨어진다. 못 안에는 주황, 노랑, 흰색의 무늬로 장식된‘코이잉어(koi: 일본에서 주로 많이 키우는 비단잉어의 일종)’가 노닐고 있다. Originally intended as a vehicular drive between two office buildings, this garden now functions as the entry threshold and public gathering space for employees in both buildings. The courtyard is organized around the crisp geometry of the 120-foot long water feature, which is divided into four smaller sections by panels of granite paving. A granite basin rises from each courtyard, spilling water over two sides and filling the courtyards with the white noise. A mature population of koi fills the pool with an ever-changing display of orange, yellow and white. Landscape Architect _ The Office of James BurnettTeam _ GenslerLocation _ The Woodlands, Texas, USAClient _ The Woodlands Operating CompanyPhotographer _ Paul Hester※이 기사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의 법률적 소유권은 The office of James Burnett에 있습니다(All images provided are legally owned property of The Office of James Burnett).
우드랜드 수로 1+2
Woodlands Waterway 1+2원래 두 오피스 건물 사이의 차량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된 곳이었던 이 정원은 현재 건물의 진입부이자 두 건물에 근무하는 사람들의 모임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정원은 120피트 정도의 긴 수경시설을 둘러싸고 있는 딱딱한 기하학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강석 판석에 의해 4개의 작은 섹션으로 구분된다. 각각의 섹션마다 떠있는 화강석 수반에서는 양쪽으로는 물이 흘러넘쳐 하얀 포말을 일으키며 못으로 떨어진다. 못 안에는 주황, 노랑, 흰색의 무늬로 장식된‘코이잉어(koi: 일본에서 주로 많이 키우는 비단잉어의 일종)’가 노닐고 있다. Originally intended as a vehicular drive between two office buildings, this garden now functions as the entry threshold and public gathering space for employees in both buildings. The courtyard is organized around the crisp geometry of the 120-foot long water feature, which is divided into four smaller sections by panels of granite paving. A granite basin rises from each courtyard, spilling water over two sides and filling the courtyards with the white noise. A mature population of koi fills the pool with an ever-changing display of orange, yellow and white. Landscape Architect _ The Office of James BurnettTeam _ GenslerLocation _ The Woodlands, Texas, USAClient _ The Woodlands Operating CompanyPhotographer _ Paul Hester ※이 기사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의 법률적 소유권은 The�office of James Burnett에 있습니다(All images provided are legally owned property of The Office of James Burnett).
코노코필립스
ConocoPhillips코노코필립스사의 업무단지 리노베이션 작업으로 진행된 이 프로젝트는 62에이커의 대상지를 사무공간과 의료시설, 피트니스, 공공공지의 기능을 갖춘 새로운 코어로 조성하는 것이다. 기존의 소극적이고 평범한 단지의 경관을 새로운 디자인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집약된 공간으로 변모시켰다. 기존에 자라고 있던 참나무들은 보존하여 새로운 단지의 입구부와 연속된 캐스케이드형 수경시설 주변에 정형식으로 식재하였다. 안뜰에 마련된 조그마한 정원은 중앙의 식당과 프라이빗 다이닝 테라스, 1,000명의 사람들을 수용할 수 있는 이벤트 잔디마당과 같은 일부시설들로 발걸음을 유도한다. 또한 2마일의 조깅코스와 축구장 등을 갖춰 근로자들의 건강을 촉진시키고 있다. The renovation of this corporate campus creates a new core of office, medical, fitness and public space on the 62-acre project site. Originally developed as a passive suburban landscape, the new design integrates a variety of programmed areas throughout the campus. Sited to preserve existing specimen live oaks, the new campus entry features a formal auto court and a series of cascading water features. Smaller garden courtyards lead to the central Commons, which features a number of private dining terraces and an event lawn that accommodates 1,000 people. To promote employee wellness, the site also features a 2-mile jogging path and a soccer field. Landscape Architect _ The Office of James BurnettTeam _ Pickard Chilton Architects, Kendall/Heaton Associates, PDRLocation _ Houston, Texas, USAClient _ ConocoPhillipsPhotographer _ Paul Hester※이 기사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의 법률적 소유권은 The office of James Burnett에 있습니다(All images provided are legally owned property of The Office of James Burnett).
라이스대학교 브로스타인 파빌리온
Brochstein Pavilion at Rice University2010 ASLA Professional Awards General Design 부문 Honor Awards 수상작“200년을 향한 비전”의 핵심 요소로 개발된 브로스타인 파빌리온은 라이스대학교 캠퍼스의 대화와 소통의 장인 쿼드랭글(quadrangle: 학교나 대학에서 건물이 사방으로 둘러싸고 있는 사각형 안뜰)로 변화되었다.약 557제곱미터 규모의 파빌리온은 간단한 식사를 제공하며, 약 929제곱미터의 포장된 야외테라스 시설이 있다. 바닥에는 화강암 쇄석이 깔려있고, 조그만 숲에는 건물의 기준선에 맞춰 48그루의 Allee Lacebark Elm(느릅나무의 일종, 학명은 Ulmus parrifolia ‘Allee’)이 격자형으로 심겨 있으며, 파빌리온과 근처 폰드렌 중앙도서관 사이의 정비된 공간으로 구성되었다. 두 개의 낮은 콘크리트 수경시설은 수목캐노피 아래의 공간을 명확하게 해주며 이동식 의자는 학생들과 교수들의 즉흥적인 모임을 가능하게 해준다. 더불어 생명력 있는 참나무와 개선된 보행로는 쿼드랭글의 기존 체계를 더욱 공고하게 해준다. Developed as a key element of the “Vision for the Second Century” strategic plan, the Brochstein Pavilion has transformed the Central Quadrangle into the social center of the Rice University campus.The 6,000 SF pavilion offers light refreshments and features a 10,000 SF covered outdoor terrace. Set in a field of decomposed granite, a grove of 48 Allee Lacebark Elms respond to the grid of the building and organize the space between the Pavilion and the adjacent Fondren Library. Two low concrete fountains define the space under the canopy and movable seating accommodates impromptu gatherings of students and faculty. Additional plantings of Live Oaks and improved pedestrian paths reinforce the existing framework of the Quadrangle. Landscape Architect _ The Office of James BurnettArchitect _ Thomas Phifer & PartnersLocation _ Houston, Texas, USAClient _ Rice UniversityPhotographer _ Paul Hester※이 기사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의 법률적 소유권은 The office of James Burnett에 있습니다(All images provided are legally owned property of The Office of James Burnett).
여주 황학산수목원
Hwanghaksan Arboretum in Yeoju지난 5월 1일 임시 개장한 황학산수목원은 생명 중심의 녹색도시 여주를 상징하고,“숨 쉬는 자연의 숲”“, 테마가 있는 정원”,“자연을 느끼는 체험”을 모토로 자연과 인간이 교감하는 공간으로 조성되었다. 항아리정원, 강돌정원, 석정원, 미로원 등 14개의 테마정원으로 이루어졌으며, 멸종 위기에 처한 단양쑥부쟁이와 층층둥굴레 군락을 복원하는 등 목본류 350여 종과 초본류 750여 종을 옮겨 심었다. 앞으로 더 많은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갈 예정이다.Hwanghaksan Arboretum, which temporarily opened on May 1st, symbolizes the green city, Yeoju, centralized the life and makes-up “breathing natural forest”, “having themes in gardens”, and “feeling experience for nature” for sharing sense with nature and human. There are 14 theme gardens: Jar garden, River stone garden, Rock garden, Maze garden, and species of 350 trees and 750 plants including extinction species such as Fig Marigold and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owicz for the restoration. The environment of Hwanghaksan arboretum will be formulated for more native plants to grow.조경설계 _ KG엔지니어링조경시공 _ 우성조경건설(주)시행처 _ 여주군위치 _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매룡리 282번지면적 _ 272,922㎡준공일 _ 2009.11.16사진 _박상백
탄천 물재생센터 공원
Tancheon Water Treatment Center Park 탄천물재생센터는 악취로 인해 지역 주민의 민원이 끊이지 않았던 혐오시설에서 다목적 휴식·놀이공간인 친환경 녹색공원으로 새롭게 변화된 복합문화체육공원이다. 이번 개장은 2004년 7월에 완성된 10,283㎡ 규모의 1단계 사업과 2007년 10월에 완성된 15,600㎡ 규모의 2단계 사업에 이은 3단계 사업으로 49,700㎡ 규모의 기존 하수처리장 위에 공원을 조성한 것이다. 공원은 하수처리장 위 기초 자리에 철골 기둥을 세워 슬래브를 조립하고 그 위에 흙을 덮고서 들어선 것이지만 기존에 물재생센터였던 것이 무색할 정도로 주민들과의 교류가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Tancheon water treatment center, which was an abhorrence facility with bad strong smells given serious discomfort to residents, is newly reformed Eco-friendly Park as multi cultural sports park for taking a rest and playing. It was planned for 3 stages: the first was constructed 10,283㎡ in July, 2004, the second was 15,600㎡ in October, 2007 and the third was 49,700㎡ followed by the second stage on an existed sewage disposal plant. Although Tancheon water treatment center was given to discomfort long time ago, it was made of steel columns to be assembled as the fundamental site which is covered soil being with residents.조경설계 _ 한국종합기술발주 _ 서울시위치 _ 서울시 강남구 일원동 580번지 일대 탄천물재생센터복개구간 _ 상부 49,700㎡공사기간 _ 2007.9.1.사진 _ 박상백
엘우드 해변
Elwood ForeshoreASPECT Studios는 포트 필립Port Phillip 시와 엘우드Elwood 해변을 재개발하는데 착수하였다. 이 부지는 여느 해변이나 대중을 위한 공공공간과 같이 어지럽게 배치된 주차장과 커뮤니티 및 보트클럽들의 공간의 남용, 배수시설 문제, 수목덮개의 부족 등으로 이용이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더욱이 공간을 무질서하게 점유하는 자동차나 보트는 자전거를 타거나 조망을 하는 사람, 소풍이나 일광욕을 즐기러 오는 사람, 그리고 휴식을 즐기려는 인근 거주민들의 자유를 방해함으로써 공공공간과 해안가, 그리고 바다 사이에 만들어지는 기본적이면서도 수평적인 관계를 깨트리게 된다. 포트 필립Port Phillip시와 Aspect Studios는 해변의 다양한 클럽과 레스토랑에 설치될 물탱크와 보수된 주차장에 적용되는 WSUD1의 계획과 설치로 물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을 하였다. 특이사항Elwood 산책로는 그리 크지 않았던 반면에 St Kilda2의 새로운 산책로가 엘우드를 대표하는 주요 공간으로 거대한 스케일의 차별화된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시작된 것이다. 그래서 기존의 것들과 엮으면서 좀더 중립적인 접근을 하였고 적은 예산으로 효과적인 접근이 되도록 하였다. 이 디자인은 적은 예산과 작은 규모의 프로젝트였음에도 불구하고 정결함과 지속성을 보여주었다. Aspect Studios는 현대적인 방식으로 해변의 토착성을 그려내듯이 포트 멜버른Port Melbourne과 엘우드Elwood 사이에서 최근의 해변 언어들에 한한 설계를 하는데 신중한 선택을 하였다. 1. SUD(Water Sensitive Urban Design) _각종 도시 개발 시 빗물 혹은 오수를 재활용하는 설계의 예로 호주에서 흔하게 찾아 볼 수 있다.2. St Kilda는 호주 멜버른에 위치한 세계적인 명소로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이 이 해변을 찾는다. 그밖에 해마다 F1 포뮬러 자동차 경기가 열리는 지역으로 유명하다.ASPECT Studios in conjunction with the City of Port Phillip undertook the redevelopment of the Elwood foreshore precinct. This site like many foreshores and their public spaces, have been wilted away by inappropriate car parks, community and boat clubs exceeding their limits, inappropriate drainage and lack of tree cover. Such that the primary,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the foreshore public spaces and the beach and sea were dislocated; with the car and boats dominating the freedom of pedestrians, sunbathers, picnickers, bike riders and views. The City of Port Phillip and ASPECT Studios keenly pursued an integrated approach to water, with planning and installation of water tanks for the various clubs and restaurants in the foreshore and full WSUD for the renovated car park. Special FactorsIt was clear from the onset of the project that the new promenade at St Kilda was the main, large scale and differentiated promenade for the City, while the Elwood promenade was a significantly smaller project, and the approach was more to weave together the existing and a more neutral, and let’ be honest cost effective approach. The design provides elegance and sustainability within the limits of its scale and budget. Importantly ASPECT Studios chose to design within the current foreshore languages between Port Melbourne and Elwood, i.e. drawing on the vernacular of the foreshores in a contemporary manner.Landscape Architect _ ASPECT Studios Pty Ltd(Lead Consultants)Client _ City of Port PhillipLocation _ Ormond Esplanade, Elwood, Victoria, AustraliaArea _ 21,000 sqmTraffic Consultants _ Ration TrafficLighting Design _ Martin Butcher Lighting DesignCivil & Structural Engineering _ Cardno Grogan RichardsCompletion _ 2008Cost _ 2.5 million AUDPhotographer _ Andrew Lloy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