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연재, 끝나지 않은 이야기] ‘겉바속촉’의 도시를 향하여
  • 환경과조경 2021년 7월

 

SEH09.jpg
유휴 철도 부지를 따라 연속된 보행로, 공원 녹지, 문화·여가 공간과 대중교통 허브를 조성하고 이를 주변의 도시 개발과 연계했다. ⓒalans1948/flickr(CC BY 2.0, https://flic.kr/p/Rgexfx)

 

그들이 꿈꾼 도시, 우리가 사는 도시연재를 통해 좋은 도시란 무엇인가를 묻고 독자들과 함께 답하고자 했다. 이 질문은 아직도 진행형이다. 좋은 도시를 꿈꾸는 일은 여전히 어렵고 위험천만하다. 관행의 벽은 높고 이해관계자를 설득하기는 힘들다. 예산은 항상 부족하다. 배정한 편집주간의 말처럼 도시의 설계와 경영은 난제”(도시에서 도시를 찾다추천사)임에 틀림없다.


연재가 끝난 후 도시의 속살을 조금 더 들여다볼 기회가 있었다. 성남시 민선 7기의 핵심 정책 사업인 아시아실리콘밸리 성남 프로젝트를 통해 도시의 미래를 기획하는 데 참여했고, 총괄 코디네이터라는 낯선 옷을 입고 도시재생 현장에서 사람들을 만났다. ‘동탄2신도시 문화디자인밸리를 통해 공간 설계와 사업 실행의 간극도 느꼈다. 나아가 집값 폭등의 우려 속에서 3기 신도시 조성을 포함한 정부의 주택공급 대책 발표와 이에 대한 국민적 불신도 안타까운 마음으로 보았고,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도시 행태 변화를 바라보며 과연 좋은 도시는 무엇인지 다시 고민했다. 이를 바탕으로 지난 연재에서 못다 한 이야기를 좀 더 꺼내고자 한다.

 

겉바속촉의 도시

좋은 도시란 다양한 변화에 활짝 열려 있는 도시다. 비록 과거에 개발이 완료되어 구조와 외관, 즉 겉면은 바삭하지만 안을 들여다보면 충분히 말랑말랑해 지금보다 좋아질 여지가 큰 겉바속촉의 도시랄까. 이런 도시에서는 크고 작은 도시 공간에 개선과 소규모 정비사업, 외부 공간 활성화와 관련한 노력도 자주 일어난다. 성공적일 경우 큰 사회적 호응을 받고, 실패할 경우 불만의 목소리도 크다. 하지만 애정이 있기에 호응도 불만도 큰 법이다. 도시 변화를 통해 끊어진 도시 조직을 잇고 다양한 주거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면 이를 마다할 이유는 없다. 오히려 기회를 적극적으로 움켜쥐어야 한다. (후략)


환경과조경 399(2021년 7월호수록본 일부 


김세훈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미국 하버드 GSD를 졸업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로서 도시설계연구실(Urban Studies and Design Lab)을 이제승 교수와 함께 운영 중이고, 2018년 다섯 명의 동료와 어반랩 도시기획협동조합을 공동 창업했다. 도시에서 도시를 찾다(한숲, 2017) 외 다수의 저서가 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