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포스트 코로나, 도시의 안녕을 묻다] 도시의 안녕인가, 도시여 안녕인가
  • 환경과조경 2020년 10월
kch01-2.jpg
2020년 5월 24일 「뉴욕타임즈」는 “100,000명에 이른 미국 사망자, 헤아릴 수 없는 손실”이라는 헤드라인과 함께 코로나 사망자들의 이름, 나이, 간단한 약력으로 신문 1면을 가득 채웠다. 더욱 놀라운 점은 기사에 실린 사망자 수는 천 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1%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An Incalculable Loss’, The New York Times, www.nytimes.com/interactive/2020/05/24/us/us-coronavirus-deaths-100000.html, 2020년 9월 10일 접속.

 

2020, 코로나19와 우리

어느덧 20209월이다. 가을 하늘이 유독 더없이 맑고 파랗다. 연초부터 시작된 코로나19와 함께 올해의 3/4을 보냈다. 세계사 책에서나 나올 듯한 인류의 위기 한복판에서 마스크로 입을 가리고, 소독제로 손을 씻고, 서로에게서 멀어지며 지금껏 지내왔다. 이제 코로나19가 언제 끝날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넘어 초연함과 함께 살아가는 것 같다. 다만 내가, 내 가족이, 그리고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이 백신이나 치료제가 나오기 전에 코로나19에 걸리지 않기만을

소망할 뿐이다.

 

안녕(安寧)이라는 말은 정말로 오묘하다. 본래 안녕은 개인적으로는 편안便安(comfort), 사회적으로는 평안平安(peace)을 뜻하는 말이다. 하지만 신기하게도 한국에서는 만나고 헤어질 때 모두 안녕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다시 말해, 안녕은 영어로 하자면 헬로우(hello)이자 굿바이(goodbye)인 것이다. 그렇다면 오늘날 코로나19로 위기에 처한 도시에 우리는 어떤 의미의 안녕이라는 말을 써야 할까? 오늘날의 도시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많고, 건물이 많으며, 중심지 역할을 하는 공간이다. 이 같은 도시에 대해, 여전히 도시의 안녕hello을 위해 노력해야 할까. 아니면 이제 그만 도시에게 안녕(goodbye)을 고해야 할까?

 

익숙한 데자뷔

필자는 작년 한 해 동안 환경과조경공간의 탄생, 1968~2018”을 연재했다. 그 대단원의 마무리로 대한민국 공간의 미래를 다뤘다. 당시 다가올 2020년을 내다보며, 초등학생 시절 본 공상 과학 애니메이션 ‘2020년 우주의 원더키디’(이하 원더키디)를 떠올리며 다음과 같은 말로 논의를 시작했다. “원더키디에서 서기 2020년은 인구의 폭발적 증가, 자원 고갈의 위기, 환경오염의 문제 등으로 인류가 새로운 행성을 탐사하는 시기로 묘사되었다.”1 그런데 정말 놀랍게도, 지난 9개월은 원더키디에서 그려진 지구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다. 어쩌면 이제 원더키디에서처럼 지구를 버리고 새로운 행성을 찾아야 할 때가 된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를 바로 현실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우리는 여전히 도시의 안녕(peace)”도시여 안녕(farewell)”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코로나19와 직면한 우리는 매일 실시간 뉴스를 듣고, 하루에도 수차례 확진자 관련 문자 메시지를 받고 있다. 코로나19는 역사적으로 전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전 세계에 빠른 속도로 전파됐으며, 선진국과 후진국의 차이를 발견하기 힘들 정도로 전 세계에서 고르게 확진자와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자타 공인 세계 최강대국임에도 불구하고, 이번 코로나19에 유독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사망자의 이름으로 신문 1면을 도배한 2020524뉴욕타임즈는 제2차 세계대전에 죽은 미군 전몰자의 2배를 상회하는 사망자 수를 여과 없이 보여주었다.2 마치 1981년 마야 린Maya Lin이 설계한 워싱턴 D.C.의 베트남 참전 용사 메모리얼Vietnam Veterans Memorial을 연상하게까지 한다. 하지만 더욱 놀라운 사실은 미국의 코로나19 사망자는 이후 계속 늘어서 현재는 20만 명에 이르고 있다는 점이다.3 ...(중략)

 

각주 정리

1. 김충호, “대한민국 공간의 미래는”, 공간의 탄생, 1968~2018, 『환경과조경』 2019년 12월호, pp.104~105.

2. 조현지, “美, 코로나19 사망자 10만명 돌파… 제2차 세계대전 전사자 2배 수준”, 「쿠키뉴스」 2020년 5월 28일. 

3. ‘COVID-19 Dashboard’, Johns Hopkins University, coronavirus.jhu.edu/map.html, 2020년 9월 10일 접속. 

 

* 환경과조경 390호(2020년 10월호) 수록본 일부 

 

김충호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도시설계 전공 교수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워싱턴 대학교 도시설계·계획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삼우설계와 해안건축에서 실무 건축가로 일했으며, 미국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와 워싱턴 대학교, 중국의 쓰촨 대학교, 한국의 건축도시공간연구소에서 건축과 도시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했다. 인간, 사회, 자연에 대한 건축, 도시, 디자인의 새로운 해석과 현실적 대안을 꿈꾸고 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