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오피스박김] 일상의 극화
  • 환경과조경 2020년 5월

새벽 1시 반에 시작된 하버드 GSD 교수 회의에 참석한 후, 연이어 3시부터 스튜디오 강의를 시작했다. 아침 7시에 스튜디오 크리틱이 끝났고, 9시경 출근한 오피스박김의 디자이너들과 일상의 업무를 시작했다. 서울과 보스턴을 오가며 진행한 하버드 리서치 프로젝트는 사회적 거리를 최대한 늘리며 줌(Zoom) 화상 연결을 통해 3년 차를 맞이했다.

 

2018년 하버드 GSD의 초청으로 시작된 오피스박김의 디자인 리서치는 서울 산수山水의 상대역이라 할 수 있는 DMZ 연구에서 출발해, 2019년에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를 주제로 동아시아의 황무지를 다루었다. 이 과정에서 김정윤 대표가 하버드로부터 정규 교원 제안을 받게 되었다. 김 대표가 하버드 GSD의 교수로 임용되면서 오피스박김의 연구 활동은 서울 사무실에서의 프랙티스와 더불어 공식적인 영역으로 자리잡았다.


서울에서의 프랙티스는 여전히 만만치 않다. 허나 클라이언트의 직설적 요구와 한정된 예산, 공사 현장의 투박함이 만들어낸 설계 문맥은 역설적으로, 아주 작은 생산 행위라 할지라도 시대적 상황과 문화적 인식을 관통하게 만들어 현재 우리의 모습을 발굴하게 한다. 즉 매출은 크지 않을 수 있으나 만듦을 통해 얻는 지적 성취는 풍족할 수 있다.

 

2017년 이후 오피스박김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를 반추해본다. 우선 송도에서 소셜 미디어 시대를 맞은 광장의 흥행과 성공을 경험했다. 가장 경제적인 재료로 셀피어블(selfiable), 개인을 가장 돋보이게 만드는 배경을 만들었다. 집단의 아우성이 아니라 개개인 하나하나가 중요해지는 광장의 새로운 민주주의를 기대할 수 있었다.


송도 광장에서의 비움(emptiness)은 에어부산 김해 사옥 옥상에서도 실험되었다. 개방된 공간을 빈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경계가 필요하며 그 재료는 가늘고 미묘해야 한다. 남천의 모습을 닮은 가볍고 긴 구조물의 처짐을 현장에서 실험했고, 완성된 빈 공간은 일기와 경관을 초대하는 스펙터클이 되었다. 물론 현장 구조 실험이라는 도박과 같은 초긴장의 순간도 있었지만. ...(중략)

 

환경과조경 385(2020년 5월호수록본 일부 

 

박윤진은 하버드 GSD의 설계 담당 교수로 활동하고 있으며, 오피스박김을 총괄한다. 네덜란드 바헤닝언(Wageningen) 대학에서 강의를 했고,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Ohio State University) 글림처 특훈 교수(Glimcher Distinguished Visiting Professor)로 선정됐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