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모던스케이프] 공원의 이면, 약물 중독자들의 쉼터
  • 환경과조경 2023년 06월

도시의 자연 대체제로서의 공원이, 근대 초기에 도덕과 문화, 윤리가 박탈당한 도시를 구원할 수 있는 이상적인 대상으로 간주되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생각처럼 공원이 순수하게만 이용된 것은 아니었다. 공원은 분명 회색 도시의 녹색 해독제 역할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근대 도시의 암울하고 야만적인 민낯을 보여주는 장소이기도 했다. 이는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근대 초기, 신문의 공원 관련 기사는 대체로 세 가지 주제로 분류된다. 첫째 도시 개발의 일환으로 조성된 도시 시설로서 공원의 지정, 계획, 조성에 관한 기사나 둘째 연주회, 야유회, 기념회 등 행사 개최지로서의 공원 소식이다. 셋째 비관, 소외, 갈등 등으로부터 비롯된 사건 사고 현장이 되는 이야기다. 당시 공원에서는 상해치사나 자살 같은 사고가 상상 이상으로 빈번하게 일어났는데, 이는 공원이 일찌감치 도시 문제를 담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경복궁 서쪽, 조선의 주요 제례처인 사직단을 품고 있는 사직공원(지금의 사직근린공원)은 자살이나 살해 사건 등이 자주 일어났으며, 아편과 모르핀 따위에 중독된 부랑자들이 유독 많이 이용한 곳이었다.

 

drug 01.jpg
사직단 폐지 직후의 전경 (출처: 조선총독부, 『朝鮮古蹟圖譜 十一』, 1931, 제공: 국립문화재연구원)

 

만해 한용운(1879~1944)은 소설 『박명薄明』에서 당시 사직공원의 모습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깨끗하지 못한 공기와 흐리터분한 티끌과 매연 사이에서 복잡한 생활을 계속하고 있는 도회지 사람들은 언제든지 신선한 공기와 맑은 바람을 그리워하는 것이지만, 만일 더운 때를 당하면 더욱 그러한 것이었다. 그리하여 서울 사람들은 여름만 되면 될 수 있는 대로 나무 밑이나 물가에를 찾아다니며, 땀을 개이고 정신을 맑히려고 하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경성 안의 작고 큰 공원에는 더위를 피하는 여러 종류의 사람들이 많이 있었지만, 그중에는 여름을 거기서 나다시피 하는 사람도 적지 아니하였다. 그런데 경성의 공원이라고 하는 것이 모든 설비에 있어서 아직 공원다운 공원이 없지만, 그중에서 그늘도 있고 물도 있고 발세1가 좋아서 사람들이 제일 많이 모이는 데는 사직공원이었다. 거기는 피서하기 위하여 임시로 드나드는 사람은 물론이고, 운동이나 유희를 위하여 오는 학생층의 사람들도 많으며, 혹은 셋집에서 쫓겨난 사람이라든지 오다가다 머무르게 되는 사람들이 나무 밑에 거적대기로 의지하고 단지 밥을 해 먹어 가며 임시로 살림하는 사람들도 있으며, 다른 데서 보기 드문 특별한 현상이라고 할 것은, 아편쟁이들의 도회청이 되다시피 한 일이었다. 그것은 아편쟁이 중에도 집도 절도 없는 사람들이 갈 데가 없어서 그런 데로 모여드는 것이겠지만, 허다한 빈 땅을 두고서 사직공원으로만 모이게 되는 것은, 여러 가지 형편으로 자기네의 생활에 편리한 점이 있는 까닭이니, 그들의 생활에 편리한 것이라는 것은, 첫째로 마약을 파는 곳이 가까운 것과, 그 주위의 집들이 많이 있어서 밥을 얻어먹기가 편리한 것과, 나무 밑에서 한둔하기가 좋은 중에, 만일 날이 궂을 때에는 사직 문간이 있어서 풍우를 피할 수가 있는 까닭인데…….”

 

각주 1. 발세: 산줄기의 형세(북한어)

 

환경과조경 422(2023년 6월호수록본 일부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