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형주 ([email protected])
[환경과조경 이형주 기자]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한국고대사학회와 함께 오는 19일 오후 2시부터 20일 오후 6시까지 ‘6세기 금석문과 신라 사회’라는 주제로 경주 드림센터에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12일 밝혔다.
금석문(金石文)은 쇠나 돌에 새긴 글자나 그림을 뜻하는 말로, 정원의 흔적과 향유 기록을 살피는 정원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도 활용되는 등 전통조경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이번 학술대회는 현재까지 진행된 6세기 금석문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신라 왕경 연구의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마련됐다. 학술대회에는 학계 원로부터 젊은 학자들까지 다양한 경력의 연구자들이 발표자와 토론자로 나선다.
19일과 20일 양일간 기조 강연과 6개의 주제발표가 진행되며, 발표 내용을 바탕으로 한 종합토론이 이어진다.
첫째 날은 주보돈 경북대학교 교수의 ‘6세기 새로운 금석문의 출현이 신라사 연구에 끼친 영향’을 시작으로, ‘비석의 발견지와 고고학적인 환경’이라는 주제 아래 ▲이인숙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의 ‘4~6세기 포항과 울진 지역의 고고학적인 환경’ ▲하일식 연세대학교 교수의 ‘한국 고대 금석문의 발견지와 건립지’ 등 금석문 발견 지역을 탐구하는 발표들이 이어진다.
둘째 날은 ‘비문으로 본 신라의 정치와 사회’를 주제로 ▲여호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의 ‘6세기 초 신라 3비의 서사구조와 6부인의 천손의식’ ▲윤진석 계명대학교 교수의 ‘금석문을 통해 본 6세기 신라의 법제와 그에 따른 지방민에 대한 인식 변화’ ▲강나리 고려대학교 교수의 ‘문자자료를 통해 본 6세기 신라의 법제와 역역동원체계’ ▲최경선 연세대학교 교수의 ‘6세기 봉평비의 노인촌(妏人村)과 촌사인’ 발표가 이어진다.
주제발표가 끝나면 이문기 경북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지금까지의 논의 결과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모색하는 종합토론이 진행된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로 문의하면 된다.
올해는 울진 봉평리 신라비(국보 제242호)를 발견한지 30주년을 맞이하는 해다. 울진 봉평리 신라비는 1988년 4월 울진군 죽변면 봉평리에서 발견됐는데, 비문의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없다. 다만 524년(법흥왕 11년) 무렵, 신라의 영토 확장으로 이 지역을 새로 편입하면서 어떤 사건의 일어났고, 신라왕과 귀족들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내린 결정 사항과 주민들에게 그것을 알리는 내용이 담겨있다.
이 비석은 1989년에 발견된 포항 냉수리 신라비(국보 제264호)와 2009년에 발견된 포항 중성리 신라비(국보 제318호)와 더불어 6세기 신라 중앙의 정치구조와 지방민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으며, 6세기 신라사 연구를 활성화한 소중한 자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