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현 ([email protected])

[환경과조경 이현 기자] 부산시가 ‘영도 노후공업지역 시범사업’이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에 통과했다고 7일 밝혔다.
이에 따라 북항 3단계 항만재개발 사업과 영도 영블루벨트 조성사업 추진에도 물꼬가 터졌다.
‘영도 노후공업지역 시범사업’은 2019년 국토교통부의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이후 사업시행자인 LH가 2021년 토지비축사업을 통해 조기에 부지를 확보하면서 급물살을 탔다.
부산시는 공동시행자인 LH, 영도구와 함께 2021년부터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해왔으나 주력산업인 조선업 등의 침체로 인한 주변 공업지역의 유휴화와 원도심권 인구감소에 따른 산업·상업 시설의 수요부족으로 인해 지연돼왔다.
시범사업 대상지는 영도구 청학동에 위치한 8만9578 ㎡ 규모의 옛 한국타이어 부산공장 부지로, 북항 3단계 항만재개발 구역에 포함돼 있다. 이곳은 청학동·동삼동에 위치한 노후 공업지역 재생사업(영블루벨트)을 위한 앵커 역할을 담당하는 핵심 부지이기도 하다.
부산시는 시범사업 추진으로 산업·주거·상업·문화·친수시설이 융합된 해양신산업 거점을 조성함으로써 영도 영블루벨트 조성사업의 성공은 물론 북항 3단계 항만재개발 사업의 조기 시행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산시는 앞으로 LH와 함께 시범사업 부지에 대한 실시설계와 산업혁신구역 등 행정절차를 2024년까지 추진하고, 2025년부터 2027년까지 부지조성을 완료하고 분양 절차에 들어갈 예정이다.
아울러 부산시와 LH는 시범사업 추진과 함께 지난해 6월부터 ‘영도 영블루벨트 조성사업 마스터플랜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영블루벨트의 난개발을 막고 산업구조 개편 및 업종전환, 입주업체의 지원 등 민간개발을 유도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영블루벨트 지역은 북항 전역이 내려다보이는 자연경관과 선박 접안시설, 도로 등 기반 시설을 두루 갖춘 천혜의 입지 여건을 가지고 있다”며, “단순한 공업지역 재생사업의 한계를 넘어 정보 기술(IT), 해양신산업과 영도지역에 특화된 커피산업, 문화·관광산업, 주거, 상업지역이 공존하는 일·생활 균형의 15분 도시로 조성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