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서해 5도서 약용자원 ‘층층갈고리둥굴레’ 자생 확인
국립수목원, 어린 개체부터 개화한 성숙 개체까지 200여 포기가 고루 섞여 서식
  • 입력 2023-11-14 10:57
  • 수정 2023-11-14 10:57
층층갈고리둥굴레 개화 개체.jpg
층층갈고리둥굴레 (사진=국립수목원 제공)

 

 

[환경과조경 신유정 기자] 국내에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던 층층갈고리둥굴레(Polygonatum sibiricum)의 자생지가 서해 5도 지역에서 확인됐다.


14일 국립수목원에 따르면 이번에 확인된 층층갈고리둥굴레는 밝은 낙엽활엽수림 아래 드문드문 자라고 있었고, 어린 개체부터 개화한 성숙 개체까지 200여 포기가 고루 섞여 서식하고 있었다. 


그동안 층층갈고리둥굴레 국내 자생지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충북(단양, 제천)과 강원(태백) 등 전국 각지에 층층갈고리둥굴레 재배지만 있었다.


층층갈고리둥굴레는 한반도 북부를 비롯해 중국, 몽골, 러시아의 온대림부터 한대림에 걸쳐 분포한다. 예로부터 1500년 이상 약재료로 이용되고 있는 층층갈고리둥굴레는 황정이라 해 둥굴레처럼 땅속줄기를 직접 생식하거나 차로 마시며 원기 회복과 체력 증강 식물로 알려져 있다.

  

국립수목원은 층층갈고리둥굴레의 국내 자생지가 확인됨에 따라 산림생물종 다양성의 분포와 유용물질 추출 등 다양한 활동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현탁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장은 “층층갈고리둥굴레에 대한 추가 조사를 포함해, 도서 산림에 대한 산림생물종 분포 탐사를 통해 좁은 분포면적을 나타내는 취약 생물종을 꾸준히 발굴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위치.jpg
서해 5도 지역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
  • 환경과조경 2023년 12월
  • 최신개정판 CONQUEST 조경기사·조경산업기사 필기정복
  • 조경의 미래를 묻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