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92 IFLA 한국총회 참관기
    이번 한국총회의 의의는 여러 시각에서 또는 각자의 체험 속에서 규정될 수 있을 것이다. 나름대로 몇 가지 간추려 보면 먼저 우리 조경계가 20여년간 쌓아온 그간의 성과와 업적을 우리 스스로 헤아려 보는 기회를 제공한 행사였다는 점이다 즉 바깥으로 보여주기만을 위하거나 자만심을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가 해 왔던 일들을 정리하여 세계적 차원에서 이를 점검해 볼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행사 자체가 아니라 우리의 전부를 외부에서 또한 스스로 어떻게 평가할지 자뭇 궁금해진다 애초에 우리의 모든 것을 보여줄 수 있었는지는 모를 일이다. 아뭏튼 횡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는 것은 스스로의 자기인식을 위하여 큰 전환기를 맞이 하였다고 하겠다 이런 뜻에서 한국총회는 자기를 돌아보는 거울을 제공하였다. ※ 키워드 : IFLA, 제29차 IFLA 한국총회 ※ 페이지 : 106 - 111
  • 만나고 싶었습니다
    92 IFLA 한국총회는 예상보다 훨씬 많은 조경인들이 자리를 함께하여 더더욱 의미있는 행사가 되었는데 조직위에 의하면 300여명의 외국 조경인들이 이번 IFLA 총회에 참가했다고 한다. 여기 소개하는 인물은 우리들에게 잘 알려진 조경계획가들로서 인터뷰한 내용이다. ※ 키워드 : IFLA, 제29차 IFLA 한국총회 ※ 페이지 : 112 - 122
  • 제 1회 국제학생 잼버리
    IFLA 총회에 참여하는 국내 외 학생들을 위해 마련된 국제 학생 야영대회가 9월 2일부터 4일까지 경주 보문단지내 도투락 월드에서 열렸다 이 야영대회는 학생들을 IFLA 한국 총회에 좀더 많이 참여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지난 2월 조직위원회와 전조련(전국조경학회 학생연합회) 측의 협의에 의해 구상되었다. ※ 키워드 : IFLA, 제29차 IFLA 한국총회 ※ 페이지 : 123 - 125
  • IFLA ; 학술행사는 무엇을 얻었는가
    이번 총회의 주제가 ‘전통과 창조’ 였기 때문에 8월 31일부터 9월 4일까지 개최된 학술회의는 총회 주제에 따라 4개의 분과별 워크숍이 구성되어 진행되었다. 학술분과A는 ‘전통문화와 조경’ 이라는 주제로 민경현 교수의 기조연설과 10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학술분과 B는 ‘농경문화와 조경 ’이라는 주제로 일본의 사다토시 타바타 교수의 기조연설과 10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학술분과 C는 ‘도시와 조경’ 이라는 주제로 캐나다의 퍼터 제이콥스 교수의 기조연설과 12편의 논문이 학술분과 D는 ‘21세기 조경의 방블’을 주제로 미국의 아모스 라포포트 교수의 기조연설과 13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 키워드 : IFLA, 제29차 IFLA 한국총회 ※ 페이지 : 42
  • 신설 골프장 잔디조성 공사의 경험적 고찰
    골프장에 있어서 그린은 꽃이며 그린의 유지 상태 정도에 따라 명문도를 평가할만큼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조성 초기는 물론 조성 후에도 가장 집약적인관리를 요구하고 있다. Green 조성을 위한 양잔디의 파종, 법면 녹화를 위한 홈합종자의 파종. 코스관리, 공사준공, 준공계의 제출, 준공검측, 준공확정, 추가공사, 현장사무소해체 ※ 키워드 : 골프장, 시공, 잔디 ※ 페이지 : 156 - 160
  • IFLA ; 새롭게 태어나는 세계의 조경
    한국총회에서 채택된 경주선언을 계기로 세계조경계는 새롭게 태어나고 크게 변화될 것이다 함께 인류의 미래를 생각하고 그 문제들을 풀어나가게 될 것이다 그리하여 좁게는 조경인들의 단합과 교류를 꾀하게 될 것이고 넓게는 보다 나은 지구 환경을 이룩하는 데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 키워드 : IFLA, 제29차 IFLA 한국총회 ※ 페이지 : 45
  • 행사의 이모저모
    제 29차 세계조경가협회 한국총회(IFLA) 개막식이 8월 31일 서울호텔롯데월드 크리스탈볼룸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노태우 대통령은 개회식에서 유종탁 산림청장을 통해 지구의 환경은 날로 파괴 『훼손되어 인류의 생존환경을 위협하는 최대의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고 지적하고 『이러한 시대적 공통의 문제에 대처키 위해 서구식 개발우선의 사고방식을 반성하면서 자연에 순응하며 자연과 더불어온 선조들의 슬기를 본받아야 할 것』 이라고 메세지를 전했다 ※ 키워드 : IFLA, 제29차 IFLA 한국총회 ※ 페이지 : 94 - 105
  • IFLA ; 조경인이여 우리 모두 뭉칩시다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1,500명 규모의 거대한 총회를 치르게 된 것을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주택공사, 도로공사, 토지개발공사, 관광공사 그리고 서울시 경주시에 대하여 외곽에서 적극적으로 도와주고 성원해 주신 것을 감사하게 생각하며 무엇보다도 각 단체의 추천을 받아 각 단체를 대표해서 개인적인 희생을 무릅쓰고 노력을 아끼지 않았던 우리 조경계의 핵심인 집행 운영위원들과 자원봉사단 여러분들의 노고를 치하합니다 . ※ 키워드 : IFLA, 제29차 IFLA 한국총회 ※ 페이지 : 47
  • IFLA ; 모두가 한마음으로 꾸민 성공적인 대회였다
    본 대회가 서울 경주 그리고 무주에서 개최되는 관계로 서울조직위원지 영남조직위원회 호남조직위원회가 각각 구성되어 대회 준비에 임해왔으며 조직위원회 임원 53명 사무국 요원 22명 자원봉사자 103명 등이 준비 및 진행 업무에 헌신적으로 참여해왔다. ※ 키워드 : IFLA, 제29차 IFLA 한국총회 ※ 페이지 : 43
  • 이팝나무 참오동나무
    이팝나무 _ 우리나라는 중부이남의 곳곳에서 자라고 있으며 특히 경남 북 및 전남 북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수직적으로는 50~1000m까지 자라며 어청도와 포항에 있는 대집단의 자생지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몇나무씩 소수의 나무가 곳곳에 흩어져 있다. 지리적으로 한국과 중국은 물론 일본 및 대만에도 분포되어 있는데 중국에는 북경에서 영파 복주 운남등에 자생하고 있다. 참오동나무 _ 황해도 이남의 농촌 집주위나 밭둑가에 많이 재식되고 있으며 수직적으로는 50~400m까지 자라고 있다. 최근에 들어 참오동나무 재목의 우수성이 인정되면서 그 수요가 늘어나 곳곳에 대단지로 조림한 곳이 많다. 원래 중국과 우리나라가 원산지라고 하는 설과 어떤 학자는 울릉도가 원산지란 설도 있으나 명확하지 않다 중국에는 산동, 강소, 복건, 호북등 제성이 이 나무의 자생지로 알려져 있다. ※ 키워드 : 수목, 식물, 이팝나무, 참오동나무 ※ 페이지 : 78 -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