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조경기사시험 예상문제
    조경사, 동양조경사, 식재계획, 시공구조, 조경미학 등의 과목을 예상문제를 통해 조경기사시험을 준비해보자. ※ 키워드: 조경기사, 조경사, 동양조경사, 식재계획, 시공구조, 조경미학 ※ 페이지: p89~93
  • 조경설계용역부문의 전문화를 위해 노력하는 정림개발주식회사
    정림개발주식회사는 조경설계전문회사로서 발돋움한지 1년 남짓되는 새로운 회사이지만 강한 집념과 노력으로 알찬 성장을 하고 있다. 식구가 작은만큼 각자의 역할분담 몫도 크고 벅찬 것도 사실이지만 일을 사랑하는 이들이라서 그동안 연륜에 비해 다양한 성격의 여러가지 프로젝트들을 수행하였다. ※ 키워드: 정림개발주식회사, 조경설계회사, 정림개발 ※ 페이지: p106~108
  • 베르사이유 궁원
    베르사이유 궁원의 각 공간별로 소개를 하고 있다. 이번호에서는 많은 조각상을 가진 북측 자수화단, 북측 자수화단으로부터 용의 분천에 이르는 그늘진 산책로는 물의 가로 혹은 Marmoset의 가로라고 불리우는 장소와 용의 분천과 넵튠의 분천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궁원의 북측에 있는 4개의 총림과 궁원의 주 가로에 의해서 형성되는 4결절점에 각각 위치하는 4개의 분천도 설명하고 있다. 아폴로의 욕장, Enceladus, 돔의 총림, Colonnade, 무도장 그리고 여왕의 총림까지를 공간별 내용과 어떠한 장식과 식물들이 있는지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 키워드: 베르사이유 궁원, 용의 분천, 여왕의 총림 ※ 페이지: 42~47
  • 쌈지(마당)공원조성 기본계획
    쌈지의 사전적 의미가 "종이헝겊, 가죽따위로 만들어 담배, 부시 따위를 담는 주머니"라고 표현되고 있는 상황임에 비추어 쌈지공원은 외국의 소공원을 지칭하는 Vest Pocket Park의 순수 한국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쌈지(마당)공원 조성계획은 기본적으로 외국소공원의 장점을 수용하면서 마당과 같은 한국인의 공동생활의 장소와 문화적 향수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의 제공을 목표로 한다. ※ 키워드 _ 서인엔지니어링, 쌈지공원, 마당, 공동생활의 장소 ※ 페이지 _ 120~125
  • 종묘
    임진왜란으로 불타버린 종묘 중건은 불탄지 10여년이 지난 선조 37년(1604)부터 논의되어 불길한 해라 하여 선조 41년(1608) 1월에 중건공사를 시작, 5개월만인 광해군 원년 5월에 완공되었다. 이때 종묘정전은 11칸이었으며 영령전도 재건되었다. 영조 2년에는 공신당을 중건하였다. 그후 헌종 2년 정전을 2칸 증축하고 고종 7년에는 정전 영령전이 개축되어 현재 정전이 19실 19칸에 이르게 되었다. ※ 키워드: 종묘, 종묘정전, 영령전, 공신당 ※ 페이지: p156~159
  • 원야
    대저 수석을 채취하려 하면 수석의 유래를 알아야 하고, 산의 원근에 대해 파악해야 한다. 수석은 산속에 그대로 있을 적에는 아무 가치도 없는 것이요, 그 가치란 인공을 어떻게 더하느냐에 달려있다. 이곳저곳 산을 타고 정상까지 뒤져 돌울 찾아다니고, 높고 낮은 언덕을 넘어 길을 뚫으면서 수석을 조사한다. 수석을 선택할 때 영롱한 모양만을 보는 것으로 그쳐서는 안 되고 단독으로 수석을 배치했을 경우에도 어울리는 것으로 골라야 한다. ※ 키워드: 선석, 수석, 차경, 원야 ※ 페이지: p112~119
  • 소정원 가꾸기
    채소밭은 주택정원에 있어 가장 기초적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비록 아주 작은 규모의 채소밭일지라도 신선한 야채를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야채들은 가끔 수입원이 되기도 한다. 또한 이 야채시렁들은 차폐의 기능도 해주며 생산성과 더불어 시각적인 효과도 부여하므로 그 종류를 선택함에 있어 충분히 고려한다. ※ 키워드: 채소밭, 과수정원, 키친가든 조성 ※ 페이지: p172~175
  • 입면녹화의 중요성과 그 방안
    인구의 도시집중으로 인해 이와같은 도시지역은 여러 가지 도시문제를 가지게 되었고, 건물의 밀집화와 고층화로 인하여 녹지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도시경관은 점점 무미건조해져 가고 있다. 도시민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경감하기 위하여 공원녹지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수단이나 지가의 상승으로 인하여 그 용지의 확보가 대단히 곤란한 현 시점에서는 시각적 임팩트가 큰 각종의 입면을 녹화의 장으로 이용하는 것이 도시녹지의 확보는 물론 한정된 국토의 재이용이라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 키워드: 입면녹화, 도시경관, 도시녹지 확보 ※ 페이지: p148~153
  • 가로수 식재 및 관리방법에 대한 제언
    가로수는 도시미관을 형성하는 중요한 경관요소이며 도시생활에 좋은 환경을 제공하는 필수불가결한 것이나 현재 서울시의 가로수는 식재방법의 잘못으로 관리에 있어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지금의 가로수 문화는 현재 실정에 맞게 실용적이고 융통성있도록 보완·개선되어야 하는 바 15년간 조경일선에서 느낀 문제점과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키워드: 가로수 식재, 가로수 관리방법, 가로수, 가로수문화, 도시미관 ※ 페이지: p145~147
  • 모형과 세상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세상을 알고 싶어한다. 그것이 인식론이 있게 된 동기이고 또 과학철학이 있게 된 동기인데, 세상은, 그러나, 우리의 내적기억용량의 한계 때문에 쉽게 알기에는 너무 복잡하고 단편적이다. 모형은 그러한 복잡한 세상사를 단순하게 대표하는 단순성을 지닌다. 그얘기는 어떻게 보면 우리가 모형으로써 세상사를 이해하고 싶어한다는 의미도 된다. 또 그이야기는 우리의 두뇌와 수용능력의 한계가 우리로 하여금 복잡한 세상사를 축약하는 추상을 찾게하고 그 추상의 한 형태가 모형이라는 의미도 알려준다. ※ 키워드: 모형, 계량증후군, 모형론자, 과학철학 ※ 페이지: p10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