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해외시장 개방에 따른 국내조경업계의 대응책 ; 품종개발로 조경수목의 질적향상 꾀해야(식재분야)
  • 환경과조경 1994년 12월

세계적인 개방화의 물결이 일반 농산물 뿐만 아니라 국내조경업계에 끼칠 영향을 실로 크다. 외국조경회사나 조경수 생산업체들의 진출에 대한 대비책이 절실한 때이다. 지금까지 국내 경쟁력만으로도 무난하였던 조경업계가 다가오는 2000년대에는 세계의 선진국과 실력으로 경주하여야 한다. 막대한 자본과 기술을 앞세운 선진 외국기업과 당당히 맞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부단히 노력하여야 한다. 우리나라 고유의 조경소재를 개발하고 우리 현실에 맞는 조경기법을 계승 및 발전시켜야 한다. 조경공사의 설계 및 시공 뿐만 아니라 조경수의 생산 등 각 분야별로 국제 경쟁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질적 향상을 도모하여야 한다.

-조경수목의 ‘품종개념’의 도입 및 번식방법의 개선
조경수목은 그 이용목적에 따라서 한 수종이라도 품종이 다양하므로 이에 관한 새로운 조경수 개발을 위한 노력이 앞으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할 뿐만 아니라 한 수종을 특정 수형에만 국한하여 연상하는 지금까지의 생각에서 탈피하여 조경수목의 ‘품종’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신품종의 개발과 번식방법의 연구 및 보급으로 적재적소에 효과적으로 새로운 조경수를 이용하는 것이 조경수목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서 중요하다.

-조경수 이식 및 재배방법의 개선으로 콘테이너 재배(분재배)기술 도입 및 기계자동화
이식 및 재배방법의 개선방법으로 콘테이너 재배(분재배)기술 도입과 묘목생산 시설 재배 및 기계 자동화를 들 수 있다. 콘테이너 재배수목은 일반 노지재배 수목의 이식부적기인 하기(夏期)에도 이식이 가능할 뿐 아니라 연중 이식이 가능하며 뿌리의 활착률이 높다. 그리고 흉고직경 20cm인 나무를 이식한 후 원상회복되기까지는 10년이 걸리는데 콘테이너재배 수목은 전정이나 뿌리잘림 등으로 인한 수형이나 뿌리의 훼손없이 원래의 수형이 유지되므로 수목의 수형회복이 빠르고 조기녹화가 가능해진다. 컨테이너에 재배한 수목은 컨테이너에 식재 된 상태로 각종 행사장에 손쉽게 이용될 수 있어 활용 범위가 다양하다. 끝으로 컨테이너 재배수목은 단위 및 규격이 일정하게 되므로 상품의 규격화에 따른 기계화작업으로 경제적이다.

-컴퓨터를 이용한 전국 조경수목 생산 및 유통정보관리망 구축
우리나라 자생수종의 조경수로의 개발 및 이용 보급과 2000년대의 조경수목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조경업계가 착실히 수행하여야 할 것은 첫째, 컴퓨터를 이용한 전국조경수목 생산 및 유통정보관리망을 구축하는 것이다. 21세기는 정보와 지식의 시대이므로 정확한 정보와 지식이 없으면 도태당할 것을 각오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조경수 업계는 전국의 조경수 생산 및 보유현황에 대한 정확하고 빠른 정보를 확보하고 이들 정보를 필요한 곳에 곧바로 처리해 줄 수 있는 컴퓨터 전산망을 설치 운용하여야 할 때가 된 것이다. 둘째는 조경수목생산 관리법을 제정하여 생산업자를 보호하여야 하며 셋째는 외국수종의 종자수입과 외국수목품종 수입에 대한 사전 통제를 하여야 한다. 넷째는 조경수목 신품종개발을 위한 연구기금을 조성해야 한다. 이상의 역할을 조경업계에서 충실히 수행 할 때 우리나라 자생수목의 개발 및 보급을 위해 연구 노력하는 조경수목 생산업자를 보호할 수 있고, 다가올 21세기의 조경의 질적 향상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생각된다.


※ 키워드 : 품종개념, 번식방법 개선, 조경수 이식, 콘테이너 재배, 유통정보관리망
※ 페이지 : p89~p93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