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생태관광
  • 환경과조경 1996년 7월
생태관광은 환경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관광개발과 생태계수용능력을 초과하는 과도한 관광활동으로 인한 폐해를 극복하여 자연과 환경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생태계의 조화를 추구할 수 있는 보전적 “대안관광”의 형태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생태관광의 개념은 1980년대에 와서 흔히 쓰이게 되었으며, 넓은 의미에서는 관광의 맥락에서의, 생태학적 맥락에서 생태학적 사고로서 무엇보다도 집단관광에서의 최소한의 환경적 영향을 강조한다. 따라서 생태관광은 환경의 영향이 적은 수준에서 여행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개발을 실천하고 자연자원과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여행하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최초로 1965년 Hetzer가 문화, 교육 그리고 관광을 제고하여 ‘생태적 관광’이라고 언급하였고 이후 Jacobson과 Robels는 생태관광을 자연에 근거된 관광으로서 여행동기를 자연의 역사에 대한 일반적인 관심에 초점을 두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그러나 좀더 엄격하게 정의한다면 어떤 특정 자연지역인 매력이 있는 평온하고 오염되지 않은 지역에서 자연을 경험하는 행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생태관광의 본질적인 특징은 야외휴양지역, 국립공원, 야생지역 등의 자연환경을 방문하는 것이며 기본자원으로서의 자연환경을 보전하도로 사람들을 고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생태관광의 특성 및 기대효과 1990년대에 들어 전통적인 관광지의 지속적 성장으로 혼잡이 증가되면서 대안적 관광지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었는데, 이와 더불어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의 증가. 관광 기간중 교육적 경험에 대한 요구 증대, 생태적 여행기회의 수적 증가, 매체를 통한 생태관광 개념의 확산 등의 이유로 생태관광에 대한 수요는 크게 증가되었다. 생태관광 부문의 성장으로 말미암아 관광은 자연환경보전과 공생하는 관계로 성정할 기회를 갖게 되었다. 경제적 효과 하나는 생태관광으로 말미암아 자연보전지역은 생태계 보전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인정받게 된다는 점이다. 보전 지역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고자 실시한 최근 연구를 보면, 자연생태계 보호지역에서 이루어지는 ‘생태관광’으로 인한 수입이 보호지역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는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생태관광을 자연보전지역에서 이전에 이루어지던 개바 양식에 비해 지속가능한 형태의 수입원이 된다는 점이다. 코스타리카의 국립공원에서 lfndj지는 생태관광은 이전의 생태계 파괴적인 경제활동에 비해 지속가능한 형태의 개발 방식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 키워드: 생태관광, 생태 ※ 페이지 150 ~ 155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