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몽마르트 언덕에서 부른 ‘헤이쥬드’
  • 환경과조경 1997년 5월
런던의 건물들은 이제껏 보아왔던 우리의 건물들과는 매우 달랐다. 도시전체의 건물들이 최소한 1백년은 된듯해 보였고 역사책에서나 보아오던 그런 건물들이었다, 물론 대부분 유럽의 건물들이 이와 같겠지만 처음 접하는 건물의 이런 외향적 차이는 우물안 개구리였던 나의 눈을 휘둥그레 만들기에 충분했다. 다음날 아침 주말마다 영국여왕 일가가 기거한다는 원저성으로 향했다. 이성은 서계 최대규모를 자랑하는 곳으로 여왕이 기거할 때면 라운드 타워에 국기를 꽂아둔다고 한다, 유로스타라는 기차를 타고 브뤼셀로 향했다. 브뤼셀에 이어 암스테르담에서는 안네 프랑스의 집을 방문했다, 그녀가 살던 다락방과 책장으로 위장한 문, 그리고 자유를 향한 그녀의 의지를 보며 전쟁의 참혹함에 대해 다시금 생각했으며 독일의 통일처럼 우리의 통일에 대해 깊은 열망을 가지게 되었다. 암스테르담에서 베를린으로 갈 때는 처음으로 야간 열차를 타게 되었다. 대부분의 야간열차는 콤파트먼트라는 객실열차로 되어 있는데 한 객실안에 6~8명이 타게 된다. 그러나 6명이 타게 되면 부척 비좁아 지므로 보통 2~3명이 타고 문을 닫아 버리는 얌체들이 많다. 독일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곳은 디즈니랜드성으로도 유명한 퓌센의 노인 슈반테인성이다. 이성을 지은 왕은 바그너의 음악에 심취되어 음악속에 나오는 환상의 성을 실제로 짓고자 험한 계곡위에 성을 지으면서 엄청남 세금을 거두어 들였다고 한다. 이 일로 주위사람들로부터 미움을 산 그는 성이 완성되고 얼마되지 않아 정신병자로 몰려 쓸쓸히 죽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 키워드: 유럽, 몽마르트, 헤이쥬드 ※ 페이지 164 ~ 165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