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절개지 비탈면 녹화공법의 평가 ; 비탈면 녹화용 자재의 현황과 전망
  • 환경과조경 1999년 2월

일반적으로 흙깎기·땅깎기공사(切土工事) 또는 흙쌓기공사(盛土工事)에 의해서 인공적으로 형성된 사면(斜面)을 비탈 또는 흔히 비탈면이라 한다. 인공적으로 형성된 비탈은 비탈어깨(法肩), 비탈면(法面), 소단(小段), 비탈밑(法尻) 등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비탈조경, 비탈안정, 비탈녹화라고 해도 충분한 사항을 보통 비탈면조경, 비탈면녹화 등으로 면(面)자를 첨가해 쓰고 있다.
비탈조경녹화기술은 주로 비탈조경녹화공사에 채용하는 자재의 선택능력과 선택된 자재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시공기술로 평가할 수 있으므로 비탈조경녹화공사에서 시공자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은 매우 중요한 성공요인이 되는 것이다. 비탈조경공사, 안정 및 녹화공사에 사용하는 주요한 시공자재·재료 중에서 지면관계상 자재를 제외한 녹화공사용 재료에 대해서 재료별 주요 특징을 검토하고자 한다.

비탈 녹화 기초공사용 자재
시멘트·콘크리트 제품 : 주요한 비탈 안정 및 조경공사용 시멘트·콘크리트제품에는 관모양제품, 기둥모양제품, 타일모양제품, 기와모양제품, 인조석, 그리고 벽돌모양제품 등이 있다.
합성수지제품 : 합성수지제품은 내부식성이고 성형이 자유로워야 하며 변형 및 탈색이 안되고 자연미가 나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합성수지의 열적 성질에 따라 열경화성수지와 열가소성수지로 구분한다.

비탈 녹화용 자재
최근에는 녹화공간의 확대, 다양화에 따라서 식물의 생육환경이 아주 좋지 못한 대상지가 증대하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불량한 곳에 적응할 수 있는 녹화자재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상황에 놓여 있다. 광의의 녹화목적에 사용하는 식물을 총칭하여 녹화식물·녹화용식물이라 하는데, 목본, 교목, 관목, 덩굴식물, 지피식물, 초화류, 초류, 초본류 등 분류·명칭이 매우 다양하다. 녹화식물은 분류학적으로 식물의 형상 및 성질, 환경저항성 및 경관적 활용성, 또는 사용하는 목적, 용도, 공간 등에 따라서 구분·유형이 매우 다양하므로 사용하는 식물에 대한 다면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토양은 식물과 토양동물 및 토양미생물의 활동으로 발달된다. 특히 표층부분의 표토에는 유기물이 분해되어 생성된 부식질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토양동물과 토양미생물 및 매토종자(埋土種子)도 많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표토(表土)를 토공공사때에잘 보전했다가 녹화의 기반으로 재사용하는 것이 표토보전의 기술인 것이다. 표토는 가장 자연친화적인 녹화재료인 것이며, 특히 목본류의 도입에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토목기술자들은 표토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채취·보전·재활용기술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회사들이 경쟁적으로 각종 비탈녹화자재를 개발하고 시판·상품화하려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여러 관련회사들이 서로 협력하여 신소재·신재료의 시험시공을 통한 충분한 검증기간을 갖도록 개발·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키워드 : 비탈면 녹화용 자재, 비탈면 녹화
※ 페이지 : p126~p133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