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밀레니얼의 도시공원 이야기] 새로운 도시의 정체성을 찾아
  • 환경과조경 2024년 3월

지겹고 신비로운 아이콘, 옴스테드

‘밀레니얼의 도시공원 이야기’라는 제목이 무색할 정도로 3개월째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 이야기 만 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털어놓지 못한 내용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그의 개인사부터 성장 과정, 공원과 도시에 대한 글까지 옴스테드의 열정은 논문 수 편이 나올 정도로 복잡하고 흥미롭다. 무엇보다 이 흥미로움을 돋우는 건 21세기―요즘 많이 쓰는 말로는 인류세―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19세기 중반을 살았던 사람의 견해와 사고방식, 인생의 목적과 정체성이 신기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칸트 미학의 용어를 적용하자면, 옴스테드의 삶과 정신이 우리의 일상으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있기에 무관심성(disinterestedness)이라는 미적 대상의 조건을 충족한다고도 볼 수 있지 않을까.

 

identity 02.jpg
그림 2. 뉴욕시 5번가와 42번가, 1900~1910

 

 

에피소드 1. 정체성

감사하게도 지난 몇 년간 ‘외국어를 얼추 잘하는 박사과정’으로 해외 조경가나 설계가의 통역을 맡거나 해외 학술대회 발표를 통해 중간자의 위치에서 한국을 조망할 기회가 종종 있었다.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이 하나 있다. 용산공원을 비롯한 이전 적지에 관한 구두 발표 후에 웬일로 질문이 나왔다.

“공원 설계안을 설명하면서 정체성 이야기를 왜 그렇게 많이 하는 건가요?”

“공원의 정체성이 굉장히 첨예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대체 왜죠?”

“지금 전부 설명해 드리긴 힘들 것 같은데요. 세션 끝나고 따로 말씀드리겠습니다(19세기 말 시작된 한국의 식민지 역사와 그 이후 냉전과 한국 전쟁을 겪으며 생겨난 현대 한국인의 국가관과 사회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이 자

리에서 대답하려면 그냥 논문을 하나 새로 쓰는 게 낫지 않을까요? 아니, 아예 박사학위를 하나 더 해야 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한영사전에 입력하면 identity라고 바로 나오는 정체성. 우리가 오픈스페이스를 설계하고 설명하며 쉽게 쓰고 있는 ‘공간 정체성’은 직역하면 spatial identity가 되는데, 이처럼 모호한 단어가 또 없다(자연이나 본질로 번역되는 nature, 경관부터 현황까지 모조리 아우르는 landscape 수준의 모호함이다). 다시 말해, 우리 안에서는 충분히 설명되므로 굳이 그 의미를 따지지 않고 외부에서 사용할 때는 어디서부터 그 의미를 설명할지 머리 아픈 단어란 거다.

 

우리는 왜 도시에서, 공간에서 정체성을 논하게 되는가. 여기에 대해서는 여러 학자가 의견을 제시해왔다. 하지만 개인의 힘으로 좌지우지되지 않는, 그 자체로 유기적 생명력을 지닌 도시를 삶과 일상으로 삼은 사람들에게 그 정체성을 찾는 여정이 자아실현의 차원에서 필요하지 않았을까 싶다.


 

환경과조경 431(2024년 3월호수록본 일부

 

 

*그림 출처

그림 2. Detroit Publishing Company 컬렉션, 미국 국회도서관

 

신명진은 뉴욕대학교에서 미술사를 공부한 뒤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학과와 협동과정 조경학전공에서 석사와 박사를 마친 문어발 도시 연구자다. 현재 예술, 경험, 진정성 등 손에 잡히지 않는 도시의 차원에 관심을 두고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의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도시경관 매거진 『ULC』의 편집진이기도 하며, 종종 갤러리와 미술관을 오가며 온갖 세상만사에 관심을 두고 있다. @jin.everywhere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1)
이이세 2024-03-04 (21:01)
댓글삭제
비밀번호 입력 해당 댓글을 수정/삭제하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 합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옴스테드가 센트럴파크를 만든게 아니라 센트럴파크가 옴스테드를 만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