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편집자가 만난 문장들] 행복하세요. 저도 행복할게요.
  • 환경과조경 2023년 12월

시침과 분침이 하나의 직선이 되는 순간, 저녁 여섯 시는 세상 모든 직장인을 설레게 한다. 특히 평일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금요일이면 더더욱. 주말의 정확한 정의는 토요일과 일요일이지만, 사실 마음속에서는 금요일 사무실 문밖을 나가는 찰나부터 휴일이 시작된다. 자판을 열심히 두드리고 있는 지금은 금요일 오후 다섯 시 반, 삼십 여 분 쯤 뒤면 집으로 달아날 수 있다. 그 발걸음이 둥둥 떠다니는 풍선처럼 가벼워야 하는데 조금 묵직한 까닭은, 내일 있을 연례행사 때문이다. 김장철이 돌아왔다. 집에 가면 갓과 쪽파를 다듬고 반으로 갈라 적당한 크기로 잘라야 한다. 벌써 어깨가 뻐근해지는 기분이지만, 일 년 내내 무사히 김치를 얻어먹기 위해, 또 모든 게 끝나면 식탁에 오를 따끈한 수육을 생각하며 조금만 참기로 한다.

 

생전 관심도 없던 김치 만드는 방법을 유심히 살펴보게 된 건, 내가 아무리 흉내 내려 해도 엄마가 만든 김치찌개를 따라 끓일 수 없다는 걸 알게 됐기 때문이다. 똑같은 재료를 사용해도, 엄마가 알려준 방법대로 해도 그 맛이 도무지 나지 않는다. 그나마 찌개는 두 스푼, 물 두 컵 같이 나름의 계량법이라도 있는데 김치처럼 그 양이 커지면 따라 할 엄두도 나지 않는다. 갓하고 쪽파는 대야에 이만큼 찰 정도로, 고춧가루는 이만치, 액젓은 대야 가장자리를 따라 서너 바퀴 돌려서, 새우젓은 숟가락에 봉긋하게 올려서 짭짤하겠다 싶을 만큼, 설탕은 탈탈탈……. 뭐 어쩌라는 거지. 온갖 모호한 표현들을 듣고 있으면 그냥 평생 엄마 옆에서 살아야지 그런 결심이나 든다. 과학자들은 대체 저런 감을 익히는 방법은 개발 안하고 뭐하는지 모르겠다. 그런데 또 이런 막연한 표현을 계량화해주는 기술이 개발되면 반가울까? 편하기야 하겠지만, 입맛을 돋우는 효과는 좀 적을 것 같다. 나는 “김장 끝나면 김치 칼로 자르지 말고 길게 죽죽 찢어서 삶은 돼지고기 요만하게 잘라서 싸먹자”는, 친근한 단어들로 무장된 표현에 침을 꼴깍꼴깍 넘기는 사람이니까.

 

트위터리안(트위터에서 엑스로 이름이 바뀌었지만 영 입에붙지 않는다) 중에 마포농수산쎈타(@mapo_nongsusan)를 참 좋아한다. 주로 올리는 건 해 먹은 음식의 사진. 날이 추울 때 순두부찌개, 비 오는 날에 파전 같이 딱 침샘을 자극하는 음식을 올려 날 미치게 만든다. 더불어 구수한 말투로 곁들이는 레시피가 일품이다. “미나리 돌돌돌 만두도 돌돌돌 버섯도 돌돌돌 맛 좋은 한돈 앞다리살루다가 뭐든 돌돌 말아 데굴데굴. 냄비에 숙주 듬뿍 깔구 액젓 쪼로록 다진 마늘 퐁 10분만 끓여주셔요. 요건 뭔가 싶다가도 스윽 갈라 보면은 짜란. 고기쌈도 사람도 속을 봐야 알지요. 밥 챙겨먹어요. 행복하세요. 저도 행복할게요.(각주 1)” “야채의 자연스러운 단맛은 마음을 살살살 풀어주고 그래요. 맑은 국물에 양배추 숭덩숭덩 돼지완자 동그르르 퐁당. 참깨드레싱에다진 마늘 요만치 땡초 대파 쫑쫑쫑 라조장 찔끔. 참깨 소스 퐁 찍어다가 덥석. 요게 아주 그냥 끝도 없이 들어가거든요. 밥 챙겨먹어요. 행복하세요. 저도 행복할게요.” 어떻게 따라 만들지 막막하지만 그래도 각종 숫자와 단위로 무장한 요리법보다 저런 표현들을 따르고 싶어진다. 조금은 다른 맛이 나더라도 심지어 실패하더라도, 레시피 말미에 붙은 말처럼 나름대로 행복할 것 같다는 근거 없는 자신감이 생긴다. 

 

인기에 힘입어 레시피북(『밥 챙겨먹어요, 행복하세요』, 세미콜론)도 출간한다는 소식에 바로 들었던 생각은 혹시 내가 좋아하는 그 말맛이 평범한 요리책처럼 정제되는 과정에서 사라졌으면 어쩌나 하는 걱정이었다. 다행히도 기우였지만 말이다. 조현진과의 인터뷰(94쪽)에서, 여리고 아름다운 식물의 예쁨에 대해 말하다보니 내 손길에 의해 사라져버린 문장들이 떠올랐다. 조경설계를 다루는 전문지 특성 때문에, 가끔 식물에 대한 여러 수식어는 문장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사라져버리곤 한다. 예를 들어, ‘하늘하늘 바람에 흔들리는 가녀리고 가느다란 초화류’는 ‘바람에 흔들리는 가녀린 초화류’와 같이 정돈된다. 완전히 뜻이 같진 않지만 비슷하다는 이유로 사라져버린 표현들이 어쩌면 누군가에게 지루함을 느끼게 하진 않을까. 조경의 주요 소재인 식물에 대한 관심을 꺼트리지는 않을까. 식물에 대한 낭만적 언어를 그대로 살릴 수 있는 꼭지를 하나 마련해도 좋을 것 같다. 조금 이르게 새해에 해야 할 일 목록의 한 줄을 채운다.


각주 1. 이 지면과 딱 어울리는 문장은 아니지만, 2023년을 행복하게 마무리하기를 바라며.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