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토마스 제퍼슨 “대학마을”의 이상적 개념
    제퍼슨 디자인의 독특한 형태-중앙에 초점으로서 위치한 구조물을 가진 건물들이 늘어선 몰(mall)-는 이상하게도 미국의 대학 계획에 뒤늦은 영향을 미쳤다. 1890년대까지 그 디자인은 다른 대학의 계획에 눈에 뛸만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그러나 1900년경 제퍼슨의 디자인은 재인식되었고 대학 계획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그때부터 버지니아대학교 캠퍼스의 매력은 끊임없이 커져갔으며 특히 거대한 대학의 시대에 비인격적인 교육의 위협 속에서 제퍼슨의 “대학마을”은 학생과 선생사이의 친밀하고 교화된 대화의 이상을 완벽하게 구현한 것 같다. ※ 키워드: 토마스 제퍼슨, 물결모양의 담, 버지니아대 캠퍼스 ※ 페이지:106~111
  • 부천 중앙공원 춘의지구 조성설계
    - 춘의지구 조성계획 및 설계 : 춘의지구는 1991년말 완공된 중앙공원의 우선사업대상지역으로서 중앙공원내에서는 북측으로 운동경기장과 남측으로 삼림욕장이 인접하고 있다. - 조성현황 / 조성이전현황 · 위치 및 세력권 : 중앙공원 서측 도시 계획도로(25m)변에 입지하고 있으며, 인접 춘의동, 원미동을 포함한 부천 중심지역을 세력권으로 함 ·지형,지세 : 반월형으로 위요된 서향,남서향의 계곡지로서 가용지면적 협소. · 수문,수계 : 강우기를 제외하고는 건천인 소규모 계곡이 부지 중앙을 관통하며 고지 대에 기존 약수터 1개소가 이용중임 · 식생 : 울폐도가 낮은 경작지가 대부부을 차지하고 있으며 산악지의 식생은 리 기다소나무, 아까시나무, 참나무 등의 혼효림을 형성 · 경관 : 지형에 의해 위요된 내부경관과 산정에서 조망되는 시가지경관이 주경관 요소. · 토지이용,동선 : 대부분 밭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도시계획도로에 의해 양부된 부지특성 상지하도의 개설이 필요 · 공원시설 및 이용 : 본 대상지는 약수터 및 산책로가 자연발생적으로 조성, 이용되고 있 으나, 그 이용도는 대단히 미미함 -조성현황/조성이후현황 춘의지구는 1993년 현재 신축중인 도서관을 제외한 모든 시설이 조성 완료되어 공원으로서의 기능을 수행중인. 지구 내 조성시설은 도시계획도로(25m)를 중심으로 서측 진입부의 운동시설지구, 남측 교통공원지구, 북측 교양시설지구, 동측 휴양시설지구 등으로 세분된다. ※ 키워드 : 부천 중앙공원, 춘의지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 페이지 : 161~167
  • 군산 나운 어린이공원
    e-메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대전 EXPO 주거단지 조경설계
    본 엑스포 아파트 부지는 대전직할시 유성구 전민동 일원의 대덕연구단지내 373,163㎡의 부지를 주택지로 개발한 것으로, 1993년 대덕연구단지내에서 개최될 국제무역산업박람회와 관련하여 박람회 기간 중에는 운영요원 및 관람객 숙소로 활용하고 박람회 이후에는 대덕연구단지내에 입주한 연구기관 종사자들의 주택부족난 해소에 기여함을 배경으로 한다. 조경계획의 목적EXPO 주거단지에 대한 효과적인 조경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아름답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함은 물론 단지조경의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기존의 여러 주거단지와의 차별화, 고급화를 도모하여 대전EXPO 주거단지로서의 독자성을 확보하도록 함. ※ 페이지: 168~173※ 키워드: 대전 엑스포, EXPO, 주거단지 조경설계, 전민동, 프로젝트
  • 평촌 현대아파트 수로공원
    기본계획_현대산업개발 실시설계_아람조경 분수설비공사_레인보우 식재공사_삼덕조경개발 어린이 놀이터와 같이 동적인 물놀이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접근과 안전에 주안점을 두고 계획된 이 공원의 주제는 수로이다. 수로내부에는 일반 호박돌과 오석 호박돌로 무늬를 넣어 변화를 줌과 동시에 물이 흐르지 않아도 호박돌 자체의 색상대비로 하나의 그래픽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유도 하였다. 이 수로공원은 1천8백세대의 주민들에게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해 주고자 만들어진 공간이다. 이러한 공간이 제대로 활용되지 않아 조성의 본래목적이 무색해진다면,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 페이지: 44~48 ※ 키워드: 평촌 현대아파트, 수로공원, 현대산업개발, 호박돌, 레인보우, 삼덕조경개발, 아람조경
  • 안산도로공원
    위치: 경기도 안산시 성포동 수인국도변면적: 514,700㎡기본계획 및 실시설계: 한국종합조경(주)시공: 서해개발(주) 계획목적안산시 진입부 수인산업도로변에 공원시설 및 녹지를 조성함으로써 도로이용객의 편의제공 및 안전성, 쾌적성을 도모하고, 안산시민 생활환경의 질적향상 및 휴식공간 증대에 그 목적이 있다. 기본구상· 다양한 기능의 충족 -간선도로와 주택지 사이가 대상부지인 점을 고려하여 도로변에는 완충과 유도기능을, 주택지 인접부는 휴게·모임·산책·운동공간 등의 다양한 공원기능을 부여한다· 이용의 극대화 유도 -건강과 사회체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에 부응하는 시민건강증진을 위한 운동 및 체력단련시설을 유도한다. -도로 통과자들에게 비상시를 위한 휴식 및 대피의 장소를 제공한다· 개발의 합리화 도모 -주변의 인접공원 및 가로와 연계되는 공원녹지체계를 수립한다. -이용자의 접근방향을 고려하여 안전하고 능률적인 동선체계를 수립한다. -기존 시설의 최대한 활용으로 경제성과 관리의 효율성을 도모한다. ※ 키워드: 도로공원※ 페이지: 166~172
  • 자연에 다가서는 정원
    위치 : 경기도 과천시 장군마을 부지면적 : 807㎡(244.1평) 조경면적 : 579㎡(175.1평) 설계·시공 : 효록원 서울의 외곽, 경기도 과천시의 중심에서 그리 멀지 않은 거리에 있는 이 주택정원은 관악산 끝자락을 잘 활용하여 형성된 공간이다. 정원전체가 산능선과 이어져 쾌적하고 조용하며, 대지의 위치가 외부보다 높기 때문에 조망범위가 크고 시원하다. 대문에서부터 이어지는 좌우양쪽에는 소나무들이 둘러져 있고, 진입부는 보행에 불편이 없도록 마천석으로 포장했다. 진입부분의 공간이 협소하고 경사가 급하여 답답함이 없지 않으나, 관목과 자연석을 조화있게 배치하여 주정원으로 올라가는 계단으로 시선을 유도하였으며 상단에 하나인 듯 한 두 그루의 목백일홍으로 흥미를 부여했다. 처음부터 설계의 난점이 되었던 산과 정원의 연결은, 소나무 사이로 노출된 암반과 산에서 흘러내린 물을 이용한 작은 폭포가 해결해준다. 폭포가 떨어지는 곳에서 확대한 연못은 주위와 조화를 이루도록 호박도로 마감했으며, 시원한 물을 감상할 수 있도록 목재데크를 놓아 사람들이 머무를 수 있도록 했다. ※ 키워드: 자연스러운 정원, 산과 연계된 정원 ※ 페이지: 44~48
  • 호텔 신라 전정조경과 환경조각물
    호텔 신라의 로비 앞 전정 개조작업은 원래 있던 조각을 새로운 모뉴멘트로 대체하고 조경을 통해 호텔의 발전적 변화 모습을 보여주며 국제적인 호텔로서의 면모를 갖추자는 데 있었다. 과연 조경이 기업의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을까. 한점의 모뉴멘트로 기업의 이미지 메이킹이나 기업의 지향하는 바 목표가 전달될 수 있을까. 설계를 시작하기 전에 가장 오랜 시간을 두고 생각한 점은 호텔 로비부근의 전정, 즉 얼굴을 만듦으로서 이러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까 하는 점이었다. 또한 원래 있던 조각작품주을 호텔의 보다 자연스러운 조각공원 쪽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대체할 작가와 작품이 세끼네의 무지개로 이미 결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 조각작품에 대한 해석이 선행되어야 했다. 이상적인 프로세스로 말한다면 조경가가 외부공간을 총체적으로 다루면서 대지와 조각과의 관계를 설정하고 작가와 작품이 선정되어야겠지만 이 경우는 선정 된 조각을 배치하는데서 부터 일체의 표현을 조경디자이너에게 맡긴 것이므로 조각작품의 이해가 중요할 수 밖에 없었다. ※ 키워드 : 작품, 환경조각물, 호텔, 전정 ※ 페이지 : 46 - 50
  • 프랑스 동유럽선 고속철도 조경
    경부고속전철의 건설을 계기로 고속철도 사업이 한국에서 시작단계에 있고 토목 조경 도시계획 국토개발 등 관련 전문분야뿐 아니라 전 국민적 관심속에 있는 현재 이 부문에서 세계제일을 자부하는 프랑스의 고속철도사업 중 필자가 최근에 직접 참여 하였던 동유럽선 프로젝트 가운데 2개의 사례지역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 키워드 : 고속철도, 프랑스 ※ 페이지 : 162 - 171
  • 사당역 수경공원
    사당역 수경공원은 관악구 남현동 1060-1 사당역에서 남서쪽 방향에 있는 590㎡의 녹지에 만들어진 것이다. 본래 이 수경공원의 계획목적은 지하철 역내에서 하수도로 배출되는 지하수를 이용하여 수경시설과 다목적 저수조를 설치, 가로경관 조성 및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기여하는 것이다. 공간구성을 보면 푸르름을 배경으로 하여 물이 벽천, 수로를 따라 다이나믹하게 흘러가고 공간감을 주기 위해 프레임과 장식벽이 도입되었다. 수로에는 징검다리도 놓여있다. 이 공원의 핵심이랄 수 있는 수경시설은 물의 동적처리에 주안점을 두었다. 즉 피라밋 모양의 벽천을 따라 떨어지는 낙수와 완만한 경사의 단차처리한 수로를 따라 흐르는 유수로 대변될 수가 있다. ※ 키워드 : 공원, 수경시설, 벽천, 지하철역 공원 ※ 페이지 : 4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