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명사들의 정원 생활] 고산 윤선도, 늙은 어부 혹은 신선으로 살기
  • 환경과조경 2017년 4월
PSYOON-04.JPG
세연정에서 열린 국악 공연

 

한국 최고의 정원가

고산 윤선도는 역사상 최고의 시조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가 최고의 정원가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 이는 의외로 많지 않다. 그를 한국 최고의 정원가라고 할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역사상 그만큼 많은 정원을 만든 이를 찾아보기가 어렵다. 전 생애에 걸쳐 머무는 곳마다 정원을 짓고 즐겼다. 현재 흔적이 남아 있는 곳만도 해남 삼승三勝이라 불리는 수정동ㆍ문소동ㆍ금쇄동, 해남 윤씨 종가 녹우당과 백련지, 보길도 부용동, 강진 덕정동의 추원당, 남양주 수석동의 해민료와 명월정 등 여러 곳이 있다. 유배지였던 함경도 경원과 삼수, 경북 기장과 영덕 등에도 그가 즐긴 정원 관련 지명이 있다. 둘째, 그가 만든 정원들은 한결같이 한국의 대표 정원으로 내세울 만한 걸작이다. 그의 정원은 대체로 바위와 물이 절묘하게 어우러진 자연 경승지에 있다. 고산은 자연 요소와 경치를 탁월한 안목으로 읽어내 과학적ㆍ생태적 지식과 기술은 물론 예술적 감각이 충만한 정원으로 만들었다. 셋째, 그는 만드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정원을 이용하고 즐기는 데에도 탁월한 감각과 수준을 과시했다. 아름다운 산수간에 만든 정원에서 그는 시, 음악, 무용 등 다양한 예술 활동을 즐김으로써 정원이 단순히 휴식이나 완상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문화 예술을 생산하고 체험하는 장임을 실제로 보여준 셈이다.

 

대표 정원들

고산은 51세 때 보길도에서 처음으로 정원 생활을 시작했는데, 그 출발이 순전히 자기 뜻만은 아니었다. 병자호란으로 조선이 청나라에 굴욕적으로 항복하게 되자 부끄러워 하늘을 볼 수 없어 탐라에라도 가 은거하겠다고 결심한 고산이 도중에 잠시 들렀다가 아예 정착하기로 마음먹은 곳이 보길도였다. 이후 그가 죽기 전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완성해 나간 보길도 부용동芙蓉洞 정원의 면모는 후손 윤위가 쓴 『보길도지』에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 탁월한 풍수 안목으로 섬 중앙 계곡부를 중심으로 혈처(낙서재), 안산(동천석실), 외수구(세연정) 등의 요지에 각기 다른 성격의 정원을 조성하고는 그곳들을 오가며 즐겼다. 요처에 최소한의 인위로 정원을 만들고 섬 전체를 자신의 왕국인양 즐긴 호방한 공간 사용 전략을 잘 구사했다. 하지만 불과 1년도 안 되어 2차 유배를 당하면서 보길도의 첫 정원 생활은 낙서재 등 극히 일부만 완성한 상태에서 중단되고 만다. ...(중략)...

 

성종상은 서울대학교에서 조경을 공부한 이래 줄곧 조경가의 길을 걷고 있다. 연구소와 설계사무소에서 기획부터 설계, 감리에 이르는 실무를 두루 익힌 후 지금은 서울대학교에서 조경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93 대전세계엑스포 조경계획 및 설계, 인사동길 재설계, 용산국립중앙박물관 조경설계, 신라호텔 전정 설계 및 감리, 선유도공원 계획 및 설계, 용산공원 기본구상, 201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장 마스터플랜, 천리포수목원 입구정원 설계 등이 있다. 최근에는 한국 풍토 속 장소와 풍경의 의미를 읽어내고 그것을 토대로 풍요롭고 건강한 삶을 위한 조건으로서 조경 공간이 지닌 가능성과 효용을 실현하려 애쓰고 있다.

 

환경과조경 348(2017년 4월호수록본 일부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