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전통조경 관리방법
    전통조경의 조성기법과 관리방법조경건축물(造景建築物苑)원(園)이나 자연 속에서 잠시 머물러 쉬면서 경관을 감상할 수있도록 조성된 건축물로 정(亭),..루(樓) 등이 있다. 정자(亭子)의 평면적 행태는 매우 다양하나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이 쉬운 사각형이 가장 일반적이고 주로 원림 내의 지당(池塘)이나 계류(溪流),..강변,..산기슭,..바닷가 등에 위치하고 있다. 조경건축물로서의 루와 정자는 지당(池塘)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지당과 관련된 정자의 위치는 지당과 인접한 곳에배치하는 경우와 지당의 경계부에 배치하는 경우,..중도내(中島內)에 배치하는 경우로 대변할 수 있으나 지당의 경계부에 입지시키는 것이 보통이다...그러나 창덕궁 비원지역의 부용정(芙蓉亭),..애련정(愛蓮亭)..등은 경계부에 입지하면서도 기둥(기초)의 일부가 지당에 내딛고 있어 인공시설인 지당과 바깥 자연과의 상호결합감을 느끼게 하여 더욱 조화롭다.루(樓)는 규모적으로 정자보다는 크고 위치적으로도 苑(園)내부뿐만 아니라 외부 자연경관까지도 조망(眺望)하기에 편리하도록되어 있으며...경복궁은 경회루에서 북악산,..인왕산,..남산 등 외부경관을 자연스럽게 조망할 수 있어 차경기법(借景技法)이 잘 적용된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이러한 건축물은 지붕이 기와로 되어 있어 빗물이 새지 않도록해야 하며 내부는 난방시설이 없어 환기가 필요하다...따라서 지붕의 기와를 수시로 점검하여 훼손되는 즉시 손질해야 하며 내부에는 청소와 함께 문을 열어 충분히 환기가 되게 해 주어야 한다. ※ 키워드 : 전통조경, 관리, 전통조경관리.※ 페이지 : 70 ~ 75
  • 다목적 빗물 저류조 시스템
    우리나라의 경우를 살펴보면 국민 한 사람 당 필요한 일일 생활용수가 173리터이며, 그중 89리터가 빗물로 대체할 수 있는 양이라고 한다. ‘빗물이 지상에 남아 있는 시간만큼 수자원 부족에 대한 고민을 멈춰도 된다’고 말해도 될 법하지 않은가. 여기 소개하는 한수그린텍㈜의‘다목적 빗물 저류조 시스템’은 이러한‘빗물 재활용’을 통한 수자원 절약의 구체적인 대안으로 주목할만하다.<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이끼에 의한 옥상 녹화
    이끼에 의한 옥상 녹화- 박층화·경량화가능한 녹(綠)의도료(塗料)이끼에 의한 옥상 녹화(2) - 녹(綠) 도료(塗料)의 뜻밖의 능력창조의 언덕 - 옥상의 들판, 시즈오카(靜岡) 문화 예술 대학의 교사(校舍) 옥상 ※ 키워드 : 옥상녹화※ 페이지 : 72-73
  • 청계천의 조경관리
    e-매거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청계천 복원 공법 및 관리
    청계천 복원이 막바지로 치닫고 있다. 우여곡절 끝에 지난 2003년 7월 1일 시작된 청계천의 복원이 시공 기간의 촉박함을 비롯한 숱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드디어 10월 1일 시민들의 품으로 다시 돌아오는 것이다. 청계천은 그동안 복원구간 3개공구 5.84km와 하류 정비구간 2.28km를 합쳐 총 8.12km의 공사를 진행했고, 지금은 각 공구별로 최종 점검과 장마 후유지 보수를 하는 중에 있다.이번 청계천 복원은 규모 있는 하천 복원 프로젝트임에도 불구하고 조경이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갔다는 점에서 더욱 애착이 가는 공사였고, 더불어 역사에 남을 기념비적인 사업이라는 점때문에 설계자, 시공자, 감리자 모두가 최선을 다한 사업이었다. 물론 사업을 이끌어나간 서울시 청계천복원추진본부의 담당자들 역시 밤잠을 설쳐가며 좋은 결과물을 남기기 위해 최선을 다했을 것이다.이에 본지에서는 준공의 목전에,하천 복원을 위해 새롭게 시도된 공법들에 주목하게 되었다. 비슷한 사례가 없었기에 비록 힘들었지만 실험적이면서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안전 시공이 이루어졌다는 것이 담당자들의 설명이다. 특집에는 1,2.3공구에 시공된 신공법 및 준공 후 관리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더불어서 1,2.3공구 감리자 및 시공자들과의 인터뷰를 간략하게 실음으로써 그간 힘들게 복원현장을 지켜온 현장담당자들의 모습을 지면에 남기고자 한다.<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일본의 병원 옥상녹화 사례
    저배수(貯排水) 기능을 가진 3㎝두께의 ‘α·웨이브 시스템’이 재배지 전면에 사용되었다.이 ‘α·웨이브’시스템은, 현재 공공 건축협회 평가 인정을 받고 있다. 바닥면에 저배수층,또 점적식(点滴式)의 자동 관수장치를 병용해,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통해 옥상 정원을 전체적으로 서포트하고 있다.<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청계천 복원 공법; 제3공구
    e-매거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조경적산과 품셈(14)
    조적공사는 여러가지 벽돌(보통벽돌,시멘트벽돌,내화벽돌 등)을 사용하여 벽돌쌓기와 벽돌 바닥깔기 등을 시행하는 공사를 말한다. 과거 조경재료가 다양화되기 전에는 많이 시공되었으나, 점토블록 등 다양한 조경재료가 개발되어 시공량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플랜터와 담장 등은 벽돌로 많이 시공되고 있으며, 최근 전통공간의 재현과 다양한 형태의 가벽 등에 벽돌이 사용되고 있어 이에 대한 적산이 필요하다.<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정원만들기 ; 포장
    블록, 판석, 콘트리트를 이용하여 포장을 하게 되면 외부공간 이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포장재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각 재료가 갖는 장·단점을 고려해야 하는데, 대표적으로 표면질감, 외관, 유지관리, 내구성, 시공용이성 등을 검토하여야 한다.<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제38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핀란드 헬싱키) 조경직종 참가기 경험부족이 아쉬웠지만 추후 대회 출전자들이 충분한 준비만 한다면 메달도 가능
    나중에 들은 이야기이지만, 우리가 안전수칙에 신경을 쓰고 식재만 좀더 깔끔히 했더라면 메달도 가능하였다는 말을 듣고 정말 아쉬움을 크게 느꼈다. 그런 것이 모두 경험부족으로 허둥대느라 저지른 실수이기에 다음 대회에는 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참가하여 충분한 시간을 두고 차분히 준비한다면 더욱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되돌아보면 못질, 톱질 하나 제대로 하지 못했던 우리들이 국제기능올림픽 조경부문에 출전한 대한민국 최초의 국가대표로서 국제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하고 돌아왔다는 자부심을 평생의 영광으로 기억할 것이며, 오늘의 영광까지 있게 해준 조경이라는 직업울타리를 지키는 데에 작은 힘을 보태리라 다짐해 본다.앞으로 최고의 조경가가 되기 위해 힘쓸 것이며 다음 39회 일본 시즈오까에서 경연할 우리 후배들을 위해서도 가능하다면 최선을 다해 도움을 주고 싶다<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