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베란다 및 옥상 비오톱 조성과 관리 2
  • 에코스케이프 2008년 09월
유네스코 옥상생태
공원의 접근 방법에 있어서 가장 큰 특징은 도시 생물권 보전지역의 개념을 실험적으로 도입한 것이다. 이 개념에 따라 옥상생태공원의 진입부는 사람의 출입과 이용이 가장 활발한 공간으로 전이지역으로 설정하였으며, 사람의 이용이 가장 적은 대상지의 가장 안쪽은 핵심지역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전이지역과 핵심지역 사이에는 완충지역을 구상하였다.
이러한 전체적인 공간의 틀 속에서 각각 세부 공간들을 마련하였는데, ‘핵심지역’에 해당하는 곳은 습지생물종의 서식 및 관찰지역으로 하고, 여기에 수생식물, 수서곤충, 양서파충류 등의 서식처를 조성하였다. ‘핵심지역’과 ‘완충지역’에 해당하는 숲관찰지 및 조류관찰지에는 교목, 관목, 초화류, 조류, 곤충 등의 서식처를 도입하였다. 그리고 관목숲 생물종 관찰지에는 관목, 초화류, 곤충의 서식처를, 초화류 및 곤충관찰지에서는 초본류, 나비, 잠자리 등 곤충류의 서식처를 도입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이지역’에 해당하는 곳에는 휴게 및 주변 환경 관찰지를 조성하였는데, 퍼골라, 벤치, 해설판을 설치하고, 퍼머컬처 공간에는 과채류, 엽채류 등을 도입하였다.

기본계획
지형계획 _ 지형계획은 식재계획을 고려하면서 함께 수행하였다. 초화류, 관목, 교목류 등 각 수종별 요구 토심이 다양한 점을 고려하여 이를 감안한 지형계획을 수립하였다. 다양한 생물서식공간의 조성을 위해 토심도 10 ∼ 60cm로 다양하게 조성하여 식재계획에 반영하였다. 초본류 식재공간은 10 ∼ 20cm, 관목류 식재공간은 20 ∼ 40cm, 교목류 식재공간은 40 ∼ 60cm의 토심을 확보하는 것을 원칙으로 설정하였다.
식재계획 _ 식재계획은 지형계획을 고려하면서 자연서식처를 하나의 모형으로 적용하였다. 특히, 식재종의 선정은 도입할 서식처의 기능과 서식환경에 따라서 이루어졌다. 도입할 서식처가 갖는 기능을 고려하여 식물종을 선정하였는데, 도입할 식물종이 토양환경, 물 환경, 지형 및 경사 등의 환경 조건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질 것인지를 고려하였다. 한편, 최근에 많이 조성되고 있는 옥상 습지의 효율적인 조성을 위한 식재설계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옥상습지에 도입되는 식물은 일반적으로 지상에 조성되는 것과 크게 다를 것은 없지만, 가급적 번식력이 빠르지 않은 식물종을 권고하고 있다. 수생식물의 왕성한 성장력으로 인해 개방수면이 없어지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우수와 태양에너지를 활용한 습지계획 _ 유네스코 옥상생태공원은 자연자원과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는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서 우수를 집수하여 습지의 주요 공급원으로 활용하였으며, 태양에너지 집열판을 설치해 습지의 물순환에 활용되는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하는 계획을 하였다. 이상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서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월간 에코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