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문화의 시대, 조경을 넘어] 관심을 가져야 할 우리의 전통조경문화
  • 에코스케이프 2008년 09월

'조경’은 말 그대로 ‘풍경을 만드는 일’이다. 필자는 도시든 시골이든 상관없이 풍경이라는 이름하에 눈에 보이는 것들의 질적인 집합 미를 추구하는 것을 조경이라고 생각한다. 한쪽에 치우친 왜곡된 생각이라 치부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시대 우리가 추구하여야 할 조경의 본질은 빈 곳을 채우는 것이 아니라, 부실하고, 해체되어가고 덜 채워져 헐거워 보이는 것들에 새로운 에너지를 공급하여 다시 어울릴 수 있도록 하는 일이다. 그 에너지가 생태적인 것일 수도 있고 첨단적인 것일 수도 있다. 또 본 글의 주제처럼 새로운 에너지가 전통이라면 그 결과물은 사람과 시간에 의해 보태지고 다듬어진 ‘문화화 된 풍경’일 수밖에 없다.

안타깝게도 우리의 현실은 건축과 조경을 엄격히 나누어 생각한다. 그러다 보니 다루는 영역을 건물과 오픈스페이스로 구분한다. 더 안타까운 것은 건물은 오픈스페이스를 묶으려하고 이러한 숨은 속내를 자꾸 펼쳐 가는데 오픈스페이스는 건물로 들어가질 못한다. 이런 현실이다 보니 조경은 건물과 함께 조화와 공존을 추구하기 보다는 별도의 빈 공간에만 관심이 많다. 아무도 참견하지 않고 독불장군 식으로 자기 생각만을 펼칠 수 있는 쉬운 곳들만 찾는다. 그러다 보니 풍경을 만드는 조경의 역할이 자꾸 좁혀지고 있고, 진정 조화와 공존을 논할 수 있는 자리에서 힘을 잃어가고 있는 것이다.

불행한 일은 또 있다. 풍경을 만들고 가꾸는 일이 문화적 풍경을 만드는 좋은 일이 아니라, 규제의 대상이고 내 것(재산)을 잃게 할 수도 있다는 귀찮고 두려운 일이 되어 버렸다는 것이다.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경관보전적 차원에서 녹지를 지키고 조성하기 위해 사람들을 귀찮게 하고 두렵게 하다 보니 옛 풍경이나 낙후된 생활풍경들을 지키거나 남기는 일은 얘기조차 꺼내기가 어려운 현실이 되어 버렸다.

도시의 문화적 조경은 ‘골목길의 풍경’에서 시작한다

도시에서의 길은 그 도시의 문화적 생활풍경을 전할 수 있는 최적의 대상이다. 새로 만든 길도 그럴 수 있지만, 조금 오래되고 허름한 길들이 그 도시의 문화를 느끼게 하는 데에 제격이다. 이런 길들은 갑자기 생긴 길이 아니다. 모두가 수 십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지역민들에게 살아있는 기억을 매일 베풀어 주는 길이다.옛 정취를 담고 있는 골목길도 있고, 힘들었던 과거의 기억을 담고 있는 계단길도 있고, 사람들만 다니는 보행길도 있고, 먹고 쉬며 볼 수 있는 문화공간들이 모여들며 만들어 가는 문화길도 있다. 도시에서의 길은 쉽게 생겨나기도 하지만 없어지기도 한다. 현대인의 생활과는 동떨어진 조건을 가진 좁은 뒷길이나 골목길, 계단길은 지금 이 순간에도 사라져 가고 있다.

'마을 풍경'은 전통조경문화의 바탕이다

도시의 골목길에서 만나는 풍경은 근대기 이후 생활풍경의 기억과 흔적이라 할 수 있지만, 조경문화가 바탕이 된 진정한 한국적 풍경이라 하기에는 어렵다. 조경문화를 느낄 수 있는 한국적 풍경은 없을까?
마을, 특히 역사마을(하회마을, 양동마을 등 전통적인 분위기와 문화적 풍경을 담고 있는 보호대상의 마을을 의미한다)의 풍경은 근대 이전의 생활풍경을 전할 수 있는 진정한 대상이다. 물론 마을에서의 조경 대상은 정원도 있고 숲과 산도 있고 마을을 흐르는 하천도 있다. 그러나 필자는 마을에서 가장 중요한 문화적 조경의 대상은 ‘마을풍경’이라 생각한다.
마을풍경이라는 모호한 개념 속에는 마당, 돌담길, 숲, 정자목, 그리고 자연과 조화된 가옥과 주민 등 모두가 포함된다. 그러니 마을풍경은 전통조경적 시각에서 마을을 맘대로 얘기할 수 있는 요술방망이나 마찬가지다.

전통조경문화는 일상 속에 살아있다

‘전통’의 자체적 의미만으로는 매우 무거운 얘기다. 무겁다 못해 힘겨운 얘기다. 그래서 전통을 지키는 일은 일상보다는 특별한 상황에서만 가능하다. 그런데 풍경을 만든다는 의미를 가진 조경을 더하면 상황이 조금 달라진다.
전통조경문화는 보편적인 민초들의 생활 속에서 찾아야 한다. 사람 냄새가 풀풀 나고 모두가 같은 생각을 할 수 있는 일상이어야 한다. 일상의 대상들 중 가장 쉽게 다가 설 수 있는 골목길과 마을의 풍경에 대해 잠시 생각을 정리했다.
모두 삶의 기억과 흔적들이 쌓이고 다져져서 남아있는 것들이다. 도시의 골목길 풍경을 지키고 가꾸기 위해서는 보다 따뜻하고 넓은 포용력을 가져야 하고, 마을의 풍경을 지키기 위해서는 마을에 담긴 조화롭고 다양한 선조들의 지혜를 존중해야 한다. 
전통이라는 딱딱한 굴레 때문에 전통조경에 대한 논의가 딱딱하게 굳어 있는 이상에 머물고 있는 경우가 많다. 건축과 달리, 조경의 바탕은 우리의 일상 속에서 매일매일 변하고 자란다. 전통조경에 대한 관점도 일상으로 들어와 함께 움직여야 한다. 사람의 살아있는 문화와 결합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깊어지고 넓어진 전통조경문화를 항상 곁에 두고 싶은 사람들이 늘어날 것이다.

상상을 해 본다. 전통조경적 도시디자인, 전통조경적 마을디자인, 전통조경적 지역디자인, 전통조경적 커뮤니티디자인을 맘껏 할 수 있는 미래의 그날을.


<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월간 에코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