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낙동강 생태·문화 답사기
  • 에코스케이프 2007년 01월

출발에서 을숙도까지
2006년 9월 1일 오전 7시 15분. 부산행 KTX가 대전역에서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승합차로 부산까지 내려가서 낙동강 하구에서부터 태백 황지 발원지까지 답사하고 대전으로 돌아올 계획을 세웠다. 그렇지만 너무 무리인 듯싶어 부산까지는 쾌속열차인 KTX를 이용하고 부산에서 차량을 빌려 태백까지 갔다가 다시 안동, 구미, 대구까지 내려와 동대구역에서 KTX로 대전까지 돌아오는 코스를 선택했다.

다대포 아미산 정상에서 내려다보면 낙동강 하구를 한눈으로 살펴볼 수 있고, 23,860㎢의 유역, 1300리 물길 속에 퇴적과 축적과 충적으로 만들어진 보배 같은 모래섬ㆍ삼각주ㆍ기수지대를 볼 수 있다. 땅에는 갈대가 솟아 있고 물에는 온갖 생명들이 찾아들고 철새 날개 짓과 더불어 생명의 어울림을 만들어내는, 그러면서 서로가 바닷물이 되고, 강물이 되는 공존의 기회로서 새로운 순환을 시작하는 땅이 바로 ‘낙동강하구’이며, 1300리 낙동강 전체의 건강상태를 단번에 체크할 수 있는 1번지라 했다.

잠시후 우리는 낙동강의 맨 마지막 땅 을숙도에 도착했다. 을숙도는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1동과 하단2동에 걸쳐 있으며, 부산시청에서 서쪽으로 7㎞ 지점에 위치한다. 낙동강 하구에 토사가 퇴적되어 형성된 하중도(河中島)로, 갈대와 수초가 무성하고 어패류가 풍부하여 한때는 동양 최대의 철새도래지였으며, 1966년 천연기념물 제179호로 지정되었다. 대부분이 저습지대로 홍수 때는 수몰될 위험이 컸기 때문에 섬 크기에 비하여 주민이 적었다. 그러나 1987년 4월 낙동강 하구둑의 완공으로 섬 전역이 공원화되면서 대부분의 갈대밭이 훼손되고, 사람들의 발길이 잦아지자 철새가 줄어드는 등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되었다. 이에 부산시는 을숙도 개발계획을 백지화하고 이 일대를 핵심보전구역으로 지정하는 등 을숙도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김상화 대표는 이곳에서 새를 관찰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그곳 발아래가 10톤짜리 트럭 50만대 이상 부산의 쓰레기를 날라다 매립한 땅이라는 걸 모르고 있다고 했다. 약 570만톤 정도가 이곳에 묻혀 둥글 높다랗게 마치 야산 같은 구릉지 형태로 바뀌어 버린 것이다. 급속히 줄어든 철새들, 동양최대의 철새도래지였던 이곳이 지금은 매캐한 냄새와 쓰레기 침출수가 흘러나와 또다른 기막힌 현상이 생기지는 않을 지 걱정하게 되는 이상한 섬으로 변모한 것이다. 우리는 낙동강 답사를 시작하자마자 민감한 환경 현장으로부터 출발한 셈이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월간 에코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