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경관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숲 가꾸기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8월 / 220
  • 스케치업 5.0을 이용한 3차원 디지털 모델링(1)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8월 / 220
  • 2006 대학생 옥상녹화 설계공모전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8월 / 220
  • 미국조경연수 현장르포(4)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8월 / 220
  • 광진광장
    위치 : 서울시 광진구 군자동 374-7번지 외 17필지면적 : 5,568㎡(1,684.32평)발주처 : 광진구청조경설계 : (주)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조경설계 이안조경시공 : 유오종합건설조형물설계 : (주)예술의 도시토목시공 : 율림건설사업비 : 196억사업기간 : 2005. 8 ~ 2006. 6사진 : 김태우 실장 낡음에서 새것으로의 변신도깨비 광장. 지난 6월 2일 개장한 광진광장의 별칭이다. 광장이 위치한 곳은 원래 노후불량주택이 밀집했던 곳으로 그 소유도 불분명하고 음산하기까지 해 사람들이 도깨비 건물이라고 부르던 곳이다. 광장이 위치한 곳은 광진구의 발전계획인 도시문화 생활형 걷고 싶은 거리(능동로)와 자연체험형 걷고 싶은 거리(광나룻길)의 주요 지점으로 주변의 건국대학교와 세종대학교 등 대학문화와 상업지역, 도심내 대규모 위락공원인 어린이 대공원과도 중첩되어 있어 새로운 공간으로의 탈바꿈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마치 낡은 옷을 벗어버리고 새 옷으로 갈아입는 것처럼 말이다. 이렇게 해서 긴 세월이라는 옷을 입은 도시 내 낡은 공간은 광장이라는 옷을 입고 새롭게 태어나게 되었다.부유(浮遊)하는 광장광진광장은 공간의 성격에 따라 크게 3개의 단으로 구분되는데, 상징공간과 이벤트마당, 부유하는 광장으로 구분된다. 상징공간에는 광진구를 상징하는 환경조형물이 놓여 있으며, 이벤트 마당은 다양한 이용계층의 여러가지 행위를 수용한다.낡은 건물들이 밀집해 있던 이곳은 전체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고 면적도 그리 넓지 않아 광장으로 조성하기에는 부적합한 곳이었다. 이러한 공간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광장의 성격을 부여하기위해 도입된 것이 데크형 광장, 즉 부유하는 광장이다. 광장을 들어 올림으로써 하부에 주차장을 도입하여 지역주민들의 주차난을 해결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내고 있다. 부유하는 광장 위에는 휴식을 위한 앉음벽과 쉘터 등이 설치되어 있고 지하주차장으로 통하는 나선형의 연결통로가 있다. 도시와 소통하기광진광장은 그리 크지 않은 면적의 광장이지만 주변의 대학교와 어린이 대공원, 화양동 상권과 인접해 있는 부지가 가지고 있는 장소성을 고려해 본다면 큰 잠재력을 가진 공간이다.이렇게 중첩된 주변의 다양한 사회, 문화, 경제적 측면의 지역적 성격은 다양한 이용형태로 나타나게 될 것이며, 도시민의 삶과 소통하는 생활속의 광장이 될 것이다.특히 의도된 들어올림은 이러한 잠재력을 수용하며 광장의 변화를 수월하게 만들 것이다. 향후 지하 주차장과 지하몰 개발 계획을 고려한 부지의 들어올림은 광장의 과도한 훼손 없이도 새로운 모습으로 변신할 준비를 하고 있다. 물리적으로는 한정되어 있는 공간이지만 이용자들의 공간에 대한 요구 변화와 계속해서 성장해가는 도시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이다. (글 : 손석범 기자, 자료제공 : (주)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 / 2006년08월 / 220
  • 창너머 세상구경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8월 / 220
  • 일산 롯데백화점 옥상생태공원
    위치 : 고양시 일산구 장항동 784번지 (정발산역 부근) 10층 생태공원면적 : 1,987㎡(약 602평)발주 : 롯데쇼핑 일산점조경설계 및 시공 : (주)한국도시녹화공사기간 : 2006. 3.21~ 2006. 4. 20사업비 : 3억7천8백만(경기녹지재단 10%지원금 포함)사진 : 박광윤 기자 일산 롯데백화점에 조성된 옥상정원은 인근에 위치한 정발산과 호수공원을 이어주는 생태연결축의 역할을 하는 생태공원으로 조성된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이름도 ‘옥상생태공원’이라 붙여졌다. 일산의 중심상업지역인 정발산역에 위치하고, 특히 롯데백화점이라는 상업건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고객들이 잠시 쉴 수 있는 휴식 공간을 조성하는 것은 불가피하였으며, 따라서 전체 공간은 이용자 휴게공간과 생태공간으로 크게 나누어진다.이용자 휴게공간옥상생태공원으로 들어가는 진입부에는 5m 높이의 시설물이 우측으로 위치하고 있어, 위압감을 주는 직선형의 긴 진입로가 형성되어 있다. 설계자는 이러한 불리한 여건을 완화하고자 좌우측에 화단을 조성하고 아치형의 관문을 설치하여, 이용자의 시선을 전면 직선으로 유도하는 동시에 새로운 공간에 진입하는 기대감과 신비감을 높였다.긴 진입로를 벗어나면 나타나는 Amenity Garden은 인위적인 라인의 플랜터가 중앙을 위요하듯이 조성되어 있다. 이용자들이 담소와 휴식을 취하는 공간이다. 중앙의 원형 플랜터, 점토벽돌포장, 벤치 등이 정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생태공간휴게공간에서 생태공간으로 들어가는 경계에는 개구리 형태로 구멍을 낸 출입문이 놓여있어서 새로운 공간의 시작을 알린다. 야생동물의 시선으로 바라보자는 디자인적 의도가 숨겨져 있다.생태공간은 일반적인 옥상정원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30평이나 되는 큰 규모의 습지가 조성되어 있는데, 각종 수목과 초화류들이 대단한 성장력을 보여주고 있어, 이용자 동선을 걷는 내내 옥상이라는 것이 전혀 느껴지지 않을 정도이다. 목재브릿지를 습지 위로 놓아 습지의 식물들을 관찰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작은 계류를 조성하여 수경관의 재미를 한층 높이고 있다.시공시에는 경량토와 함께 인근의 흙을 사용하여 지역생태에 대한 배려를 하였으며, 식재는 18종의 교관목과 52종의 초화류가 심겨졌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 2006년08월 / 220
  • 디이파트너스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2006년08월 / 220
  • 리조트 ; 리조트 개발 절차 및 방식
    관광지와 리조트며칠 전에 용평리조트에서 한국관광학회 학술심포지엄이 있었다. 학술심포지엄을 하는 ‘리조트’에서 제자 학생이 뜬금없이 질문을 했었다. “교수님, 관광지와 리조트는 같은 것입니까 다른 것입니까?” 제법 나이와 경력이 있는 박사과정 학생의 질문이라 놀라면서도 어지간히 답답해 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결론적으로 필자는 관광지(tourism destination)와 리조트(resort)는 다르게 보고자 하면 다르고 같다고 보면 같다고 본다. 기본적으로 관광지(또는 관광단지)는 관광진흥법에 의한 법적 용어이지만 리조트는 법률적 용어가 아니다. 따라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리조트는 법률적으로 보면 관광진흥법에 의한 ‘관광(단)지’의 경우가 많고 ‘파크’(Park)라고 부르는 몇몇 스키리조트의 경우도 법률적으로는 ‘관광단지’인 경우가 많다. 또, 법률적으로 도시계획시설에 해당하는 ‘유원지’는 영문으로는 거의 대부분 ‘리조트’라고 부른다. 이러한 점에서 필자는 관광지와 리조트를 다르게 구분하지 않는다.혹자는 관광지는 경승을 감상하는 당일 경유형 휴양지이고 리조트는 숙박과 체류를 기본으로 하는 장기 체류형 휴양지라고 구분하여 강조하기도 한다. 그러나 관광지는 관광목적지(tourism destination)의 의미에 기초하고 있고, 법률적으로도 관광지가 일정요건의 숙박 등의 시설과 면적을 갖추는 경우에는 ‘관광단지’가 되고 장기 체류형 휴양지가 되어 말 그대로 리조트에 해당된다. 또, 최근에 도시 규모의 대규모 관광도시를 ‘관광레저도시’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기업도시개발특별법에 의한 ‘관광레저형 기업도시’를 지칭하는 용어로 리조트 도시(resort city)라고 불러도 무난할 것이다.아울러, 관광(단)지 개발이 대체로 공공주체형이고, 공공복지의 차원에서 접근하여 공공공간의 조성을 추구하는데 반해 리조트 개발은 대부분 민간주체형이고, 사업성을 우선하는 상업화된 공간의 조성을 도모한다고 할 수 있으나 (그러한 경향은 인정되지만) 이 또한 절대적 구분의 기준이 되지는 못한다. 소위 리조트법으로 불리는 종합보양지역정비법(綜合保養地域整備法, 1987)에 의한 일본의 공공부문의 리조트 공급 정책에서 보면 이 구분은 한계를 가진다. 또, 국내의 많은 민간주도형 리조트 개발의 경우에도 관광진흥법에 의한 관광단지로 지정을 받아 시행하기도 하며, 이는 사업허가의 의제(擬制)와 법률적 공신성을 도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리조트의 개념이나 유형에 대한 논고는 필자의 범위 밖에 있으니 리조트에 대하여 정의하는 것은 더욱 조심스럽다. 리조트(resort)의 어원은 불어의 ‘다시(: re) 모인다(: sortier)’는 의미로 ‘사람이 모이는 곳’, ‘다시 찾는 곳’, ‘사람이 많은 번화한 곳’ 임을 고려할 때, 필자는 리조트를 ‘사람들이 일상생활을 벗어나 여가, 휴양, 스포츠, 관광, 위락 활동 등을 복합적으로 할 수 있도록 각종 시설을 집단화한 관광 휴양지’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때 리조트는 수용하고 있는 활동 및 시설의 종류와 규모 등에 따라 리조트(resort land), 리조트 타운(resort town), 리조트 단지(resort complex), 리조트 도시(resort city)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일반 대중이 보다 쉽게 접근 및 이용할 수 있는 리조트의 개발은 사회복지 및 복지관광(social tourism)의 관점에서 대체로 공공부문(public sector)이 주체가 되고 도입 활동 및 시설의 선정은 공공성이 최고의 기준이 되는데 국내에서는 리조트라고 부르지 않는 경향이 있다. 대체로 국내에서는 민간부문(private sector)이 개발주체가 되고 도입하는 관광휴양 활동 및 시설을 대규모화, 집단화하고 숙박과 체류를 기반으로 고도로 상업화된 관광휴양공간을 리조트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아무튼 최근의 민간주체의 리조트 개발과 관련해서는 공간의 상업화(commercialization of space), 가상실재(hyper reality), 낭만적 백일몽(romantic day-dreaming), 시뮬라시옹(simulation), 시뮬라크르(simulacre) 문화적 소비(cultural consumption), 리미널리티(liminality), 리미노이드(liminoid), 코뮤니타스(communitas), 경험의 소비(consumption of experience), 분류로서의 소비(consuming as classification), 보보스(BOBOS: bourgeois and bohemian) 등 포스트모더니즘 내지는 포스트구조주의의 몇몇 개념들을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이 역시 본고에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단은 리조트 개발에서 공간의 상업화나 사업성의 측면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 동 완 Ko, Dong Wan경기대학교 관광개발학과 교수(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 2006년08월 / 220
  • 리조트 ; 해외 리조트의 최근 경향 및 조성 사례
    현재 세계의 여러 나라에서는 꾸준히 늘어나는 관광객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관광 및 리조트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태평양의 최대 휴양지중 하나인 하와이의 리조트 디자인의 최근 경향과 사례 그리고 최근 세계 최대 건설붐의 중심이자 소비형 휴양지 및 리조트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아랍 에미레이트의 두바이를 중심으로 몇몇 주변 국가들의 휴양지 및 리조트 개발 경향과 사례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최근 디자인 경향 및 조성 사례 : 하와이매달 대략 55만명이 찾아오는 태평양 최대의 휴양목적지중 하나인 하와이는 1960년대초 Jet Aircraft의 소개로 장거리 여행이 보편화되면서 지구상의 마지막 파라다이스라는 명성을 얻게한 아름다운 비치들과 훌라로 대표되는 독특한 폴리네시아 문화가 돋보이는 관광 휴양지 및 비치 리조트로 미국은 물론 세계인의 주목을 받는 그 명성을 알리기 시작했다. 관광객들에게 가장 유명한 와이키키비치는 1960년대에서 1980년대 초반까지 많은 호텔과 리조트의 개발이 이루어 졌으며 핑크색의 로얄 하와이언 호텔이나 하와이 최초의 호텔인 쉐라톤 모아나 서프라이더 등 몇몇 유명 리조트와 호텔들은 그 경관의 독특함이나 특유의 호텔 디자인으로 지금까지 많은 관광객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다. 하와이의 대규모 리조트 단지들은 Mauna Lani와 Hualalai Resort Community를 시작으로 1970년대와 1980년대를 거치면서 관광붐을 타고 조성됐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서며 다른 나라들로부터 벤치마킹을 당하기 시작한 하와이의 관광산업은 멕시코의 칸쿤리조트 관광단지, 인도네시아의 발리리조트 단지, 태국의 푸겟리조트 단지 등 더 현대적이고 저렴한 가격의 여름 휴양 리조트들의 도전에 방문객들을 점차 잃기 시작했다. 또한 가격의 경쟁에서 밀리면서 방문객이 감소되기 시작한 호텔이나 리조트 단지는 새로운 도전과 경쟁보다는 시설에 투자를 줄이게 됨으로써 하와이의 호텔 및 관광산업 전반에 걸친 퇴보를 가져왔다.1990년후반에는 아시아로부터의 경제위기 때문에 하와이 관광객의 주 대상이었던 일본관광객의 수요가 감소되면서 경제의 침제기가 지속됐으며 2000년대 초반에 있었던 9.11테러는 본토 관광객의 숫자를 줄였고, 이로 인해 하와이의 관광업계는 극심한 관광경제의 불황으로 많은 수의 관련 비지니스들을 파산으로 몰아넣었다. 다행히 2002년부터 낮은 금리로 인해 활성화되기 시작한 부동산 경기는 베이비붐 세대들의 콘도 및 휴양지 부동산 투자로 인해 하와이를 미국에서 가장 강력한 부동산 투자 대상지 중의 하나로 만들었으며 현재는 본토 및 전세계 투자 자금의 꾸준한 유입으로 인해 하와이의 유명 호텔과 리조트 단지들은 재개발이나 리노베이션, 증축 및 콘도로의 전환을 통해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최근 하와이의 리조트 경향은 1세대의 리조트 및 호텔 단지들을 업그레이드하여 재개발하거나 리노베이션하는데 집중하고 있으며 여기에 나타나는 리조트 디자인 경향을 보면 과거의 관광붐으로 숙소 개발에 급급했던 틀에서 벗어나 더욱 하와이적이면서 현대적인 그리고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과 함께 조화를 이루며 보다 하와이적인 장소성, 즉 ‘Hawaiian Sense of Place'의 재인식에 촛점을 맞추고 있다.먼저 건축 및 인테리어를 보면 호텔의 외장은 하와이 역사를 서술하는 전통 하와이의 문양이나 화산석을 이용한 외장처리가 주를 이루며, 인테리어는 하와이의 레이(Lei : 꽃으로 장식된 목걸이) 컬렉션이나, 우쿨렐레(작은 기타 모양의 하와이 전통 악기) 전시, 하와이 전통 티키 조각품, 카누 또는 전통 그림들을 전시함으로써 관광객으로 하여금 다양한 하와이 및 폴리네시안 문화를 경험하게 하는 것에 촛점을 맞추고 있다. 호놀룰루에 본사를 둔 리조트 호텔 전문설계 건축회사인 WATG의 디렉터인 데브라 로슨블럼 씨에 따르면 WATG의 디자이너들은 최근 끝난 Marriott Vacation Club International's Ko Olina Beach Club에 하와이의 레이 문양과 하와이의 전통 역사를 서술하는 표지 등을 로비 인테리어에 포함하여 방문객으로 하여금 하와이의 역사를 접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또한 최근에 재단장을 마친 ResortQuest Waikiki Beach Hotel은 외장과 내부를 1940년대와 1950년대의 우쿨렐레로 대표되는 하와이 음악과 당시 미 본토의 재즈음악 문화를 섞은 디자인을 주제로 선보여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하와이 관광에서 관광객들이 가장 기대하는 것은 아마도 석양의 비치에 앉아서 열대 칵테일을 마시며 붉은 노을을 보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최근 리조트 및 호텔의 재단장에 들어간 많은 리조트에서 가장 많은 비용을 할애하는 분야는 역시 이국적인 비치를 중심으로 한 야외 조경 및 외부 단장이라고 본다. 최근 리조트의 조경디자인 트랜드는 건축과 마찬가지로 ‘Hawaiian Sense of Place'를 만들어 내는 것이지만 여기에 더해 더욱 하와이다운 Outdoor Space를 만들어 방문객들로 하여금 하와이의 풍부하고 아름다운 야외 자연경관을 경험토록 하는 것이다. 수백종의 다양하고 독특한 하와이 이름을 가진 Native Plants를 이용하여 호텔이나 리조트내의 정원이나 외부 공간에 다양한 식물과 주변 경관과 어울리는 열대 경관을 만들어 냄으로써 방문객으로 하여금 접해보지 못했던 새로운 식물군 및 경관과의 만남을 주선하도록 하고 있다. 주변 자연경관의 보전과 조화로운 경관의 창조는 하와이의 조경 설계가들이 가장 신경을 쓰는 분야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김 용 기 Kim, Yonggi Belt Collins Hawaii, 본지 미국리포터(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 2006년08월 / 220
1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