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PREV 2006 Year NEXT           PREV 08 August NEXT

환경과조경 2006년 8월

정보
출간일
이매거진 가격 무료

기사리스트

경관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숲 가꾸기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스케치업 5.0을 이용한 3차원 디지털 모델링(1)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06 대학생 옥상녹화 설계공모전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미국조경연수 현장르포(4)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광진광장
위치 : 서울시 광진구 군자동 374-7번지 외 17필지면적 : 5,568㎡(1,684.32평)발주처 : 광진구청조경설계 : (주)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조경설계 이안조경시공 : 유오종합건설조형물설계 : (주)예술의 도시토목시공 : 율림건설사업비 : 196억사업기간 : 2005. 8 ~ 2006. 6사진 : 김태우 실장 낡음에서 새것으로의 변신도깨비 광장. 지난 6월 2일 개장한 광진광장의 별칭이다. 광장이 위치한 곳은 원래 노후불량주택이 밀집했던 곳으로 그 소유도 불분명하고 음산하기까지 해 사람들이 도깨비 건물이라고 부르던 곳이다. 광장이 위치한 곳은 광진구의 발전계획인 도시문화 생활형 걷고 싶은 거리(능동로)와 자연체험형 걷고 싶은 거리(광나룻길)의 주요 지점으로 주변의 건국대학교와 세종대학교 등 대학문화와 상업지역, 도심내 대규모 위락공원인 어린이 대공원과도 중첩되어 있어 새로운 공간으로의 탈바꿈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마치 낡은 옷을 벗어버리고 새 옷으로 갈아입는 것처럼 말이다. 이렇게 해서 긴 세월이라는 옷을 입은 도시 내 낡은 공간은 광장이라는 옷을 입고 새롭게 태어나게 되었다.부유(浮遊)하는 광장광진광장은 공간의 성격에 따라 크게 3개의 단으로 구분되는데, 상징공간과 이벤트마당, 부유하는 광장으로 구분된다. 상징공간에는 광진구를 상징하는 환경조형물이 놓여 있으며, 이벤트 마당은 다양한 이용계층의 여러가지 행위를 수용한다.낡은 건물들이 밀집해 있던 이곳은 전체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고 면적도 그리 넓지 않아 광장으로 조성하기에는 부적합한 곳이었다. 이러한 공간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광장의 성격을 부여하기위해 도입된 것이 데크형 광장, 즉 부유하는 광장이다. 광장을 들어 올림으로써 하부에 주차장을 도입하여 지역주민들의 주차난을 해결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내고 있다. 부유하는 광장 위에는 휴식을 위한 앉음벽과 쉘터 등이 설치되어 있고 지하주차장으로 통하는 나선형의 연결통로가 있다. 도시와 소통하기광진광장은 그리 크지 않은 면적의 광장이지만 주변의 대학교와 어린이 대공원, 화양동 상권과 인접해 있는 부지가 가지고 있는 장소성을 고려해 본다면 큰 잠재력을 가진 공간이다.이렇게 중첩된 주변의 다양한 사회, 문화, 경제적 측면의 지역적 성격은 다양한 이용형태로 나타나게 될 것이며, 도시민의 삶과 소통하는 생활속의 광장이 될 것이다.특히 의도된 들어올림은 이러한 잠재력을 수용하며 광장의 변화를 수월하게 만들 것이다. 향후 지하 주차장과 지하몰 개발 계획을 고려한 부지의 들어올림은 광장의 과도한 훼손 없이도 새로운 모습으로 변신할 준비를 하고 있다. 물리적으로는 한정되어 있는 공간이지만 이용자들의 공간에 대한 요구 변화와 계속해서 성장해가는 도시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이다. (글 : 손석범 기자, 자료제공 : (주)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창너머 세상구경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일산 롯데백화점 옥상생태공원
위치 : 고양시 일산구 장항동 784번지 (정발산역 부근) 10층 생태공원면적 : 1,987㎡(약 602평)발주 : 롯데쇼핑 일산점조경설계 및 시공 : (주)한국도시녹화공사기간 : 2006. 3.21~ 2006. 4. 20사업비 : 3억7천8백만(경기녹지재단 10%지원금 포함)사진 : 박광윤 기자 일산 롯데백화점에 조성된 옥상정원은 인근에 위치한 정발산과 호수공원을 이어주는 생태연결축의 역할을 하는 생태공원으로 조성된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이름도 ‘옥상생태공원’이라 붙여졌다. 일산의 중심상업지역인 정발산역에 위치하고, 특히 롯데백화점이라는 상업건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고객들이 잠시 쉴 수 있는 휴식 공간을 조성하는 것은 불가피하였으며, 따라서 전체 공간은 이용자 휴게공간과 생태공간으로 크게 나누어진다.이용자 휴게공간옥상생태공원으로 들어가는 진입부에는 5m 높이의 시설물이 우측으로 위치하고 있어, 위압감을 주는 직선형의 긴 진입로가 형성되어 있다. 설계자는 이러한 불리한 여건을 완화하고자 좌우측에 화단을 조성하고 아치형의 관문을 설치하여, 이용자의 시선을 전면 직선으로 유도하는 동시에 새로운 공간에 진입하는 기대감과 신비감을 높였다.긴 진입로를 벗어나면 나타나는 Amenity Garden은 인위적인 라인의 플랜터가 중앙을 위요하듯이 조성되어 있다. 이용자들이 담소와 휴식을 취하는 공간이다. 중앙의 원형 플랜터, 점토벽돌포장, 벤치 등이 정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생태공간휴게공간에서 생태공간으로 들어가는 경계에는 개구리 형태로 구멍을 낸 출입문이 놓여있어서 새로운 공간의 시작을 알린다. 야생동물의 시선으로 바라보자는 디자인적 의도가 숨겨져 있다.생태공간은 일반적인 옥상정원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30평이나 되는 큰 규모의 습지가 조성되어 있는데, 각종 수목과 초화류들이 대단한 성장력을 보여주고 있어, 이용자 동선을 걷는 내내 옥상이라는 것이 전혀 느껴지지 않을 정도이다. 목재브릿지를 습지 위로 놓아 습지의 식물들을 관찰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작은 계류를 조성하여 수경관의 재미를 한층 높이고 있다.시공시에는 경량토와 함께 인근의 흙을 사용하여 지역생태에 대한 배려를 하였으며, 식재는 18종의 교관목과 52종의 초화류가 심겨졌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디이파트너스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리조트 ; 리조트 개발 절차 및 방식
관광지와 리조트며칠 전에 용평리조트에서 한국관광학회 학술심포지엄이 있었다. 학술심포지엄을 하는 ‘리조트’에서 제자 학생이 뜬금없이 질문을 했었다. “교수님, 관광지와 리조트는 같은 것입니까 다른 것입니까?” 제법 나이와 경력이 있는 박사과정 학생의 질문이라 놀라면서도 어지간히 답답해 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결론적으로 필자는 관광지(tourism destination)와 리조트(resort)는 다르게 보고자 하면 다르고 같다고 보면 같다고 본다. 기본적으로 관광지(또는 관광단지)는 관광진흥법에 의한 법적 용어이지만 리조트는 법률적 용어가 아니다. 따라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리조트는 법률적으로 보면 관광진흥법에 의한 ‘관광(단)지’의 경우가 많고 ‘파크’(Park)라고 부르는 몇몇 스키리조트의 경우도 법률적으로는 ‘관광단지’인 경우가 많다. 또, 법률적으로 도시계획시설에 해당하는 ‘유원지’는 영문으로는 거의 대부분 ‘리조트’라고 부른다. 이러한 점에서 필자는 관광지와 리조트를 다르게 구분하지 않는다.혹자는 관광지는 경승을 감상하는 당일 경유형 휴양지이고 리조트는 숙박과 체류를 기본으로 하는 장기 체류형 휴양지라고 구분하여 강조하기도 한다. 그러나 관광지는 관광목적지(tourism destination)의 의미에 기초하고 있고, 법률적으로도 관광지가 일정요건의 숙박 등의 시설과 면적을 갖추는 경우에는 ‘관광단지’가 되고 장기 체류형 휴양지가 되어 말 그대로 리조트에 해당된다. 또, 최근에 도시 규모의 대규모 관광도시를 ‘관광레저도시’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기업도시개발특별법에 의한 ‘관광레저형 기업도시’를 지칭하는 용어로 리조트 도시(resort city)라고 불러도 무난할 것이다.아울러, 관광(단)지 개발이 대체로 공공주체형이고, 공공복지의 차원에서 접근하여 공공공간의 조성을 추구하는데 반해 리조트 개발은 대부분 민간주체형이고, 사업성을 우선하는 상업화된 공간의 조성을 도모한다고 할 수 있으나 (그러한 경향은 인정되지만) 이 또한 절대적 구분의 기준이 되지는 못한다. 소위 리조트법으로 불리는 종합보양지역정비법(綜合保養地域整備法, 1987)에 의한 일본의 공공부문의 리조트 공급 정책에서 보면 이 구분은 한계를 가진다. 또, 국내의 많은 민간주도형 리조트 개발의 경우에도 관광진흥법에 의한 관광단지로 지정을 받아 시행하기도 하며, 이는 사업허가의 의제(擬制)와 법률적 공신성을 도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리조트의 개념이나 유형에 대한 논고는 필자의 범위 밖에 있으니 리조트에 대하여 정의하는 것은 더욱 조심스럽다. 리조트(resort)의 어원은 불어의 ‘다시(: re) 모인다(: sortier)’는 의미로 ‘사람이 모이는 곳’, ‘다시 찾는 곳’, ‘사람이 많은 번화한 곳’ 임을 고려할 때, 필자는 리조트를 ‘사람들이 일상생활을 벗어나 여가, 휴양, 스포츠, 관광, 위락 활동 등을 복합적으로 할 수 있도록 각종 시설을 집단화한 관광 휴양지’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때 리조트는 수용하고 있는 활동 및 시설의 종류와 규모 등에 따라 리조트(resort land), 리조트 타운(resort town), 리조트 단지(resort complex), 리조트 도시(resort city)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일반 대중이 보다 쉽게 접근 및 이용할 수 있는 리조트의 개발은 사회복지 및 복지관광(social tourism)의 관점에서 대체로 공공부문(public sector)이 주체가 되고 도입 활동 및 시설의 선정은 공공성이 최고의 기준이 되는데 국내에서는 리조트라고 부르지 않는 경향이 있다. 대체로 국내에서는 민간부문(private sector)이 개발주체가 되고 도입하는 관광휴양 활동 및 시설을 대규모화, 집단화하고 숙박과 체류를 기반으로 고도로 상업화된 관광휴양공간을 리조트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아무튼 최근의 민간주체의 리조트 개발과 관련해서는 공간의 상업화(commercialization of space), 가상실재(hyper reality), 낭만적 백일몽(romantic day-dreaming), 시뮬라시옹(simulation), 시뮬라크르(simulacre) 문화적 소비(cultural consumption), 리미널리티(liminality), 리미노이드(liminoid), 코뮤니타스(communitas), 경험의 소비(consumption of experience), 분류로서의 소비(consuming as classification), 보보스(BOBOS: bourgeois and bohemian) 등 포스트모더니즘 내지는 포스트구조주의의 몇몇 개념들을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이 역시 본고에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단은 리조트 개발에서 공간의 상업화나 사업성의 측면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 동 완 Ko, Dong Wan경기대학교 관광개발학과 교수(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리조트 ; 해외 리조트의 최근 경향 및 조성 사례
현재 세계의 여러 나라에서는 꾸준히 늘어나는 관광객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관광 및 리조트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태평양의 최대 휴양지중 하나인 하와이의 리조트 디자인의 최근 경향과 사례 그리고 최근 세계 최대 건설붐의 중심이자 소비형 휴양지 및 리조트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아랍 에미레이트의 두바이를 중심으로 몇몇 주변 국가들의 휴양지 및 리조트 개발 경향과 사례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최근 디자인 경향 및 조성 사례 : 하와이매달 대략 55만명이 찾아오는 태평양 최대의 휴양목적지중 하나인 하와이는 1960년대초 Jet Aircraft의 소개로 장거리 여행이 보편화되면서 지구상의 마지막 파라다이스라는 명성을 얻게한 아름다운 비치들과 훌라로 대표되는 독특한 폴리네시아 문화가 돋보이는 관광 휴양지 및 비치 리조트로 미국은 물론 세계인의 주목을 받는 그 명성을 알리기 시작했다. 관광객들에게 가장 유명한 와이키키비치는 1960년대에서 1980년대 초반까지 많은 호텔과 리조트의 개발이 이루어 졌으며 핑크색의 로얄 하와이언 호텔이나 하와이 최초의 호텔인 쉐라톤 모아나 서프라이더 등 몇몇 유명 리조트와 호텔들은 그 경관의 독특함이나 특유의 호텔 디자인으로 지금까지 많은 관광객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다. 하와이의 대규모 리조트 단지들은 Mauna Lani와 Hualalai Resort Community를 시작으로 1970년대와 1980년대를 거치면서 관광붐을 타고 조성됐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서며 다른 나라들로부터 벤치마킹을 당하기 시작한 하와이의 관광산업은 멕시코의 칸쿤리조트 관광단지, 인도네시아의 발리리조트 단지, 태국의 푸겟리조트 단지 등 더 현대적이고 저렴한 가격의 여름 휴양 리조트들의 도전에 방문객들을 점차 잃기 시작했다. 또한 가격의 경쟁에서 밀리면서 방문객이 감소되기 시작한 호텔이나 리조트 단지는 새로운 도전과 경쟁보다는 시설에 투자를 줄이게 됨으로써 하와이의 호텔 및 관광산업 전반에 걸친 퇴보를 가져왔다.1990년후반에는 아시아로부터의 경제위기 때문에 하와이 관광객의 주 대상이었던 일본관광객의 수요가 감소되면서 경제의 침제기가 지속됐으며 2000년대 초반에 있었던 9.11테러는 본토 관광객의 숫자를 줄였고, 이로 인해 하와이의 관광업계는 극심한 관광경제의 불황으로 많은 수의 관련 비지니스들을 파산으로 몰아넣었다. 다행히 2002년부터 낮은 금리로 인해 활성화되기 시작한 부동산 경기는 베이비붐 세대들의 콘도 및 휴양지 부동산 투자로 인해 하와이를 미국에서 가장 강력한 부동산 투자 대상지 중의 하나로 만들었으며 현재는 본토 및 전세계 투자 자금의 꾸준한 유입으로 인해 하와이의 유명 호텔과 리조트 단지들은 재개발이나 리노베이션, 증축 및 콘도로의 전환을 통해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최근 하와이의 리조트 경향은 1세대의 리조트 및 호텔 단지들을 업그레이드하여 재개발하거나 리노베이션하는데 집중하고 있으며 여기에 나타나는 리조트 디자인 경향을 보면 과거의 관광붐으로 숙소 개발에 급급했던 틀에서 벗어나 더욱 하와이적이면서 현대적인 그리고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과 함께 조화를 이루며 보다 하와이적인 장소성, 즉 ‘Hawaiian Sense of Place'의 재인식에 촛점을 맞추고 있다.먼저 건축 및 인테리어를 보면 호텔의 외장은 하와이 역사를 서술하는 전통 하와이의 문양이나 화산석을 이용한 외장처리가 주를 이루며, 인테리어는 하와이의 레이(Lei : 꽃으로 장식된 목걸이) 컬렉션이나, 우쿨렐레(작은 기타 모양의 하와이 전통 악기) 전시, 하와이 전통 티키 조각품, 카누 또는 전통 그림들을 전시함으로써 관광객으로 하여금 다양한 하와이 및 폴리네시안 문화를 경험하게 하는 것에 촛점을 맞추고 있다. 호놀룰루에 본사를 둔 리조트 호텔 전문설계 건축회사인 WATG의 디렉터인 데브라 로슨블럼 씨에 따르면 WATG의 디자이너들은 최근 끝난 Marriott Vacation Club International's Ko Olina Beach Club에 하와이의 레이 문양과 하와이의 전통 역사를 서술하는 표지 등을 로비 인테리어에 포함하여 방문객으로 하여금 하와이의 역사를 접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또한 최근에 재단장을 마친 ResortQuest Waikiki Beach Hotel은 외장과 내부를 1940년대와 1950년대의 우쿨렐레로 대표되는 하와이 음악과 당시 미 본토의 재즈음악 문화를 섞은 디자인을 주제로 선보여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하와이 관광에서 관광객들이 가장 기대하는 것은 아마도 석양의 비치에 앉아서 열대 칵테일을 마시며 붉은 노을을 보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최근 리조트 및 호텔의 재단장에 들어간 많은 리조트에서 가장 많은 비용을 할애하는 분야는 역시 이국적인 비치를 중심으로 한 야외 조경 및 외부 단장이라고 본다. 최근 리조트의 조경디자인 트랜드는 건축과 마찬가지로 ‘Hawaiian Sense of Place'를 만들어 내는 것이지만 여기에 더해 더욱 하와이다운 Outdoor Space를 만들어 방문객들로 하여금 하와이의 풍부하고 아름다운 야외 자연경관을 경험토록 하는 것이다. 수백종의 다양하고 독특한 하와이 이름을 가진 Native Plants를 이용하여 호텔이나 리조트내의 정원이나 외부 공간에 다양한 식물과 주변 경관과 어울리는 열대 경관을 만들어 냄으로써 방문객으로 하여금 접해보지 못했던 새로운 식물군 및 경관과의 만남을 주선하도록 하고 있다. 주변 자연경관의 보전과 조화로운 경관의 창조는 하와이의 조경 설계가들이 가장 신경을 쓰는 분야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김 용 기 Kim, Yonggi Belt Collins Hawaii, 본지 미국리포터(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의정부 녹양 현대홈타운
위치 : 경기도 의정부시 녹양동 355번지대지면적 : 41,800m2조경면적 : 12,615m2규모 : 1,196세대발주처 : 녹양주공 국민아파트 재건축조합(조합장 박용철)시공사 : 현대건설주식회사(대표 이종수, 현장소장 좌태훈, 조경담당 최광)조경설계 : 인터조경기술사사무소 (대표 선우성, 대리 권창모)조경식재·시설물 : (주)부여조경(대표 이수근, 과장 이동희) "場”은 우리 작품의 대상이 되는 아파트 외부공간을 의미하며, “綠”은 지명의 첫음을 차용했는데, 녹양동은 조선시대 녹양평(綠楊坪)이라는 군마 사육목장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水”는 단지내 보행, 녹, 물의 흐름을 의미한다.전체적으로 “場綠水”는 말과 버드나무로 대변되는 지명이 갖고 있는 역사성과 단지내 흐름이 무리없고 아름답고 쾌적한 공간의 연속성을 갖춘 곳을 의미이며, ‘여인 장녹수’에 비유하여 ‘고거 참 잘 빠졌네’라는 카피를 사용하게 되었다. 'MISS'는 크게 4개의 계획요소를 뜻하는 영문 이니셜이다.‘Madang'은 4개의 주거동으로 둘러싸인 중정형 공간을 일컫으며, 장송숲과 어린이놀이터, 바닥분수, 잔디들로 구성되어지고 인근 건강마당과 유기적으로 연계된다.‘In forest'는 단지내 주요공간을 수식하고 있는 숲을 일컫는데, 입구의 어귀숲, 경계부의 동구숲, 주거동 측벽의 사이숲이 커다란 녹지벨트를 형성한다.‘Stroll'은 단지내 보행의 흐름을 일컫는데, 부출입구를 연계하며 광장을 관통하는 중심보행몰이 있으며, 단지내를 순환하는 산책로가 있다.‘Stream'은 초기 계획안에서는 잔디들을 가로지르는 실개천이었지만 설계과정에서 일부 변경되어 바닥분수와 커널형 폰드가 되었다.공간별 계획 내용녹양마당(중앙광장)4개의 동에 둘러싸인 중정형의 정원 스타일의 마당이다. 북측의 주진입구와 동측의 건강마당을 향해 주거동 1층에 피로티가 확보되어 시각적, 기능적으로 열려 있다. 서측 주거동의 발코니가 마당을 향해 있기 때문에 마운딩과 소나무숲을 조성하여 시각적인 차폐와 경관적인 보완을 고려했다.마당의 중심에는 화강석포장과 더불어 바닥분수를 설치하였고 남북축으로 커널형 폰드를 조성하였다. 물갈기마감을 한 마천석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내어 물이 흐를때 생기는 자그마한 포말을 즐길 수 있도록 고안했다.마당 좌측의 어린이놀이터는 정원같은 마당의 일부처럼 기능하도록 인공적인 느낌이 다소 약한 인조잔디를 사용하여 주변과 조화롭게 했다.마당 우측의 잔디들은 중정이 답답한 느낌이 들지 않도록 하기위해 도입되었다. 바닥분수의 포장패턴에서 시작한 사선형의 검은 화강석 띠는 잔디들과 마당의 일체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사이숲정원(휴게소 공간)주거동의 측벽에 의해 생겨난 위요된 공간이며, 이 공간을 각각의 주거동으로 접근하는 주요한 동선의 결절점으로 설정했으며 아울러 휴게소의 넉넉함과 아늑함을 부여하기 위해 각 공간별로 테마수종을 선정하여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했다.테마수종으로는 자작나무, 대나무, 청단풍, 느티나무를 선정했으며, 벤치와 자연석을 배치했고 화강석포장으로 공간에 고급스러움을 부여했다.장수원(전통형정자 정원)측벽공간 특화방안의 하나로서 다른 부분보다 열악한 공간에 대해서 형평성을 맞추는 전략의 일환으로 옛멋을 살린 전통정원을 선택했다. 조그마한 분수역할을 담당하는 물확과 기와가 얹혀진 전통정자, 철평석 포장과 낮은 전통문양담장이 색다른 멋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기능할 것이다.그 외의 공간들전술했듯이 본 아파트단지는 전면보도를 포함하여 단지 전체를 순환할 수 있는 보행시스템이 갖추어져 있다. 하지만 그 보도가 1층세대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기 때문에 트랠리스와 장미덩굴, 청단풍 식재를 통하여 시각적인 차폐를 시도하였다.또한 순환보도의 결절점에 체력단련시설을 설치하여 조깅과 함께 웨이트트레이닝도 겸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본 단지는 휴게소와 놀이터가 별도로 구획되어지지 않는다. 보행로의 결절점마다 간이 휴게쉼터가 있고 그 쉼터에는 조그만 놀이시설을 설치하여 주거동 가까이에서 기본적인 휴게와 놀이행위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글 : 선우성 · 인터조경기술사사무소 소장)(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리조트 ; 리조트관광 산업의 변화
리조트 산업의 의미리조트와 여행은 우리의 생활공간을 떠난다는 의미에서는 같은 뜻을 내포하고 있지만 이동의 대상지역의 이미지와 인식의 질적인 차이가 있다. 여행은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세계에 대한 기대가 큰 반면 리조트는 예상되는 체험을 기대한다는 것이다. 즉 리조트는 같은 장소를 방문하거나 한곳에 장기간 체류하는 것을 주류로 하기 때문에 그동안 여행형 관광에 익숙한 우리나라의 경우 리조트를 보편적인 관광의 개념으로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리조트는 여행에 비해 충분하게 계획·설계된 공간에서 마음의 평온을 유지하고 만족스러운 여가시간을 보낼 수 있는 장소를 의미한다. 그래서 리조트의 유형은 리조트가 위치하고 있는 지정학적인 특성이나 도입된 시설이나 프로그램에 의해 자연친화적인 유형에서부터 시설중심의 인위적인 유형까지 다양할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 다분히 인공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리조트 산업에 대한 조경의 의미리조트 개발사업에서 조경의 역할은 계획수립단계에서 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사업의 수주와 직결되며, 리조트 건설사업의 과정에서는 옥외공간 조성과 관련된 조경시공분야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리조트 개발계획은 일종의 단지계획으로 일반적인 관광단지 조성계획과 별로 차별화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관광지 조성사업이나 지역관광개발계획 수립과 같이 리조트 조성계획수립은 조경분야의 중요한 분야이다. 전통적인 공간배치계획이나 조경계획과 더불어 관광체험 프로그램까지 폭넓게 수용할 수 있는 조경분야의 새로운 영역으로 보다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하며 리조트 산업의 발전여부는 조경산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볼 수 있다. 리조트 산업의 현황여가시간이 증가하고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다양한 여가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관광리조트 산업의 투자는 무공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지역경제에 활력을 줄 수 있는 지역개발사업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우리나라의 리조트 산업은 외환위기 이후 매년 20%이상 성장을 하다 2001년 18.8%로 약간 주춤하였으나 주5일 근무 시대가 열린 이후 다시 종전의 성장세를 회복하였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6개의 리조트의 경우 2003년도 평균 연매출액은 448여억원으로 2001년 370여억원에 비해 20.6% 증가하였다. 부분별로는 스키장 매출 비중이 전체의 32.1%로 가장 높았고, 객실이용과 골프장 이용의 비율은 22.9%와 12.1%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외환위기를 겪었던 98년도와 비교해서 2003년도의 리조트 매출액은 2배 이상 증가한 결과인데 이것은 스키와 골프인구의 증가와 같이 리조트이용 관광객의 증가와 더불어 리조트 업체들의 리조트 요금인상도 주요한 원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기도 한다. 국민들의 소득증가와 함께 여가활동의 질적 수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광리조트 산업은 앞으로 더욱 발전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리조트 산업의 문제점미래에 대한 기대가 큰 리조트 산업은 성공한 산업이라 하기엔 아직 초기단계라고 볼 수 있다. 리조트 개발은 초기투자가 큰 산업이고 자금의 회전율이 떨어져 단기적으로는 적자경영을 하고 영세한 관광시설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다. 콘도에 스키장과 골프장을 갖춘 종합리조트 한 곳을 개발하려면 1백만 평 이상의 부지를 확보해야 하며 3~5천억원 정도의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나 콘도나 골프장 등 회원권 분양만을 가지고 투자비를 회수하기 어려운 실정에서 자금력이 넉넉하지 못한 기업들이 사업을 시작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또한 이용객의 편중현상이 심한 산업이다. 여름휴가철과 겨울의 스키시즌에 이용객이 넘쳐나나 비수기에는 이용객이 거의 없다. 여름휴가철과 방학이 겹치는 7~8월 두 달 동안의 매출이 연간매출의 30%를 차지할 정도로 이용이 집중되고 또 이용예약을 하기도 무척 힘든 반면 비수기에는 콘도의 가동율이 40%에 불과하다. 리조트 개발 시 비수기 극복을 위한 이용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이용객은 많으나 분양이 저조한 양극화 현상이 심한 산업이다. 비수기에는 기업체의 연수, 세미나, 학회, 초중고등 학생들의 여행 중 숙박 등을 유치해서 약간의 리조트 경영에 도움을 받고 있다. 그러나 초중고등 학생들 유치는 리조트를 소란하게 만들어 순수한 리조트 이용객들의 만족도를 심하게 훼손하게 되고 그들의 재방문 의지를 꺾는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다.리조트라는 이름을 사업자가 맘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리조트가 갖추어야 할 적절한 시설의 수준을 리조트라는 이름만 가지고 평가하기는 어렵다. 법적으로 등급을 부여하고 있는 숙박업소하고는 다르게 콘도만 있고 이용편의시설이 거의 없는 무늬만 리조트인 외화내빈의 리조트가 많이 있어 리조트 산업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리조트는 단지 중심의 개발로 외부와 단절된 고립된 관광지로 인식되고 있으며, 부동산 투기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분양이 성공하면 개발이 성공한 것으로 오해하고 분양수익은 부지에 재투자되기 보다는 외부로 유출되어 결국 리조트 자체투자는 허술하고 빈약하게 짝이 없다. 계획은 화려하지만 실제 계획과 같은 수준으로 조성된 곳이 거의 없으며 소규모 투자에 잠식되어 허술하고 초라한 3류 리조트로 전략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분양에 치중하다보니 자연스런 자연지형의 형질을 과도하게 훼손하거나 주변 자연환경을 파괴하여 편하게 쉴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환경이 조성되지 못하고 있다. 김용근 Kim, Yong Geun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교수(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울란바토르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지금 여기, 김수근展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노영일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리조트 ; 리조트의 도입요소
들어가며21세기는 고령화 사회, 정보화 사회, 국제화 사회 등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변화와 더불어 여가시간의 확대는 관광패턴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관광패턴이 세분화되고 다양화되어, 과거의 단체관광에서 벗어나 가족단위의 레저활동이 일반화되고, 향후에는 부부단위, 동호회단위로 더욱 세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 열사람이 한가지의 취향(10人 1色)을 갖고 있었다면 최근에는 한사람이 한가지의 취향(1人 1色)을 갖게 되었고, 앞으로는 한사람이 열가지 취향(1人 10色)을 갖게 되는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기존의 스키장, 골프클럽 등의 시간적 제약이 따르는 단일시설형 리조트보다는 계절적 제약사항을 극복할 수 있고, 건강이나 문화를 강조하는 새로운 개념의 다양하고 차별화된 복합형 리조트가 이용객들로부터 각광받을 것이다. 리조트의 유형활동의 형태나 시설목적에 의한 리조트의 유형 분류는 리조트별 조성목적에 근거하여 그 종류가 결정되어지는 것으로 최근에 들어와 그 형태가 다양하게 변모하고 있다. 목적에 의한 분류는 그 시설의 주 목적이 무엇인가에 따라 다르게 구분되어진다. 수요자가 활동을 위하여 필요한 시설이 리조트의 중심이 되어 하나의 유형으로 확대되는 리조트이다. 주로 스포츠 위주의 시설이 이러한 유형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회의나 생태관광과 같은 비교적 새로운 유형도 나타나기 시작했다.따라서 여기에서는 리조트를 중심자원(입지적 특성에 따른 지형특성)에 의한 분류 보다 목적과 이용행태시설에 의한 분류를 기준으로 리조트 유형을 구분하도록 한다. 이러한 리조트의 분류는 도입되는 시설의 주된 기능을 명확하게 하고 있다.리조트 도입요소리조트단지를 조성하기 위하여 도입할 수 있는 요소는 건축물, 시설물 등의 물리적 시설을 중심으로 하는 시설적 요소와 이벤트, 연계관광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운영적 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시설적 요소는 계획, 설계, 시공 등의 단계별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수정 및 변경의 과정을 거치지만, 일단 공사가 완료된 이후에는 증·개축을 제외하면 변화의 폭은 제한적이다. 하지만 운영적 요소는 리조트단지가 존재하는 동안 끊임없이 다양한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개발하여 이용객에게 항상 새롭고 신선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한다. 두 요소 중에서 조경, 건축, 토목 등의 기술분야에서 주로 담당하는 부문은 리조트의 하드웨어 즉, 물리적인 시설을 다루게 되므로 시설적 요소를 중심으로 언급하고자 한다. 리조트 내 도입시설은 고객 유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관광추세에 맞춘 관련시설인 레저·상업시설 등은 현대 리조트 이용객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시설로 리조트 이용의 또 다른 매력을 주는 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체재형인 리조트에서 숙박시설은 기본적으로 갖추어져 할 시설이다.리조트를 구성하기 위하여 도입 가능한 시설은 리조트의 규모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으나, Manuel에 의하면 리조트의 시설유형을 숙박시설과 식·음료시설, 문화·위락시설, 스포츠시설, 상업시설로 구분하여 유형별 개념과 세부적인 구성요소를 설명하고 있다. 유 진 근 Yoo, Jin Guen건일엔지니어링 조경부(구, 도시연) 이사(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남간정사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영화를 통한 도시읽기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라 빌레뜨 공원 경관 읽기
느껴지는 라 빌레뜨 공원 경관 도파민적 라 빌레뜨 공원 경관의 허상 오감 중 시지각을 통해 접하는 사람의 감각은 특히 감흥(sensation)을 일으키는데 민감하다. 그 중에서도 ‘아름답다거나 특이하다는 느낌’은 때론 첫인상으로서 강한 메시지를 던지는데 기여하는 바 크다. 모든 생명체에 있어서 남녀 간의 주고받는 이 강한 이성적 첫인상의 메시지는 바로 사랑의 묘약으로 묘사되는데, 이 사랑의 묘약은 도파민이라는 뇌 호르몬의 생성에 의한 것임이 밝혀진 바 있다. 남녀가 처음 만나 마음이 흥분되고 몸이 달아올라 미치고 못사는 사랑 형국이 바로 도파민적 감흥이라고 할 수 있는데, 우리가 흔치않은 멋진 경관을 접하게 되었을 때도 이와 같은 도파민적 감흥은 나타나곤 한다. 앞서 리도 쇼를 빗대어 라 빌레뜨 공원 경관을 살펴 본 바, 공간구성, 폴리, 식재, 기타 구조물의 배치, 형태, 색상, 규모 등에서 우리는 라 빌레뜨 공원 경관의 도파민적 감흥을 느낄 수 있다. 그 감흥의 단서는 무엇보다도 기존 공원경관의 질서를 깬 ‘새로움에 있다고 할 수 있고, 이 새로움의 근본은 우리가 지금껏 전개해왔던 ‘전원적 자연공원’의 이미지를 ‘도시적 문화공원’의 이미지로 탈바꿈 했다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한 이미지로의 탈바꿈은 무엇보다도 설계자의 전공성 즉, 건축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서 비롯되었다고 아니 할 수 없다. 우리가 알고 있는 바와 같이, 라 빌레뜨 공원의 설계자는 건축가 베오나르드 츄미(Benardo Chumi)다. 라 빌레뜨 공원을 비판하는 사람들이 지적하듯이 그는 건축가이기에 건축물을 설계하듯이 공원을 설계하였다. 그렇기에 우리와 같은 전통적 조경가에게는 그만큼 새로울 수밖에 없고, 그것이 모든 면에서 특이함으로 우리에게 다가왔기 때문에 우리의 경관적 감흥을 유발 하였을 수도 있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우리에게 새롭고 특이하게 다가왔던 라 빌레뜨 공원 경관은 따지고 보면, 그가 디자인 아이디어로 도입했던 점, 선, 면의 그래픽적 설계모티브, 그리고 그에 의해 나타나는 분절과 단절 그리고 골절의 공간은 건축 디자인에 사용되는 건축설계방법론의 결과물이다. 또 이러한 설계방법론으로서의 건축적 스케일의 사고와 모델을 공원이라는 또 다른 차원의 특성(도시성. 자연성. 규모성 등) 공간에 적용하였기 때문에 그 결과물로서의 공원경관은 기존의 차원을 띄어 넘는 새로움의 산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새로움은 보는 시각에 따라- 특히 건축가들에겐- 적잖은 건축적 악평으로까지 내닫는다. 그러한 비평의 예로, 실제로 공원에서는 그가 디자인 모티브로 삼았던 점, 선, 면을 지각하기 어렵고, 건축적 모델에서나 볼 수 있는 그러한 작은 그래픽 스케일을 도시적 스케일로 단순 확산시켰기 때문에 건축에서 볼 수 있는 규모의 비례감을 느낄 수 없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도시를 단순 건축의 연장으로 바라본 시각은 규모와 비례의 관계를 무시한 사안이라는 것이다. 즉, ‘규모’는 반드시 ‘비례’를 수반하기 마련인데 츄미는 ‘작은 것의 연장을 곧 큰 것’으로 받아들이는 우를 범하고, 따라서 비례를 무시하고 건축적 모델의 스케일을 도시적 스케일의 공간에 단순 적용하였기 때문에 원래 의도하였던 공원의 조형성을 제대로 읽을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각에서 본다면 설계자가 구현코자 했던 강력한 공원 이미지(점. 선. 면)와 실현되는 공원경관의 현실사이에는 상당한 갭이 있을 수밖에 없다. 즉, 점, 선, 면의 그래픽적, 구성적 의미를 공원에서 읽을 수 없고 결국, 공원이 주는 단순 시각(감흥)과 의미(지각 또는 인지)의 일치를 보여주고 있지 못함으로써 공원에서 따뜻한 본연의 인간적인 면을 지각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결국, 라 빌레뜨 공원은 공원경관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구성물의 그래픽적 의미를 느낄 수도 없고, 또 공간구성과 구조물의 비율, 하모니 등의 공원 전체의 조형성을 찾아보기도 어렵다는 난맥상에 부딪히고 만다. 또 한편으론, 라 빌레뜨 공원의 건축적 접근은 전통적 공원의 자연성의 상실을 가져올 수 있다는 비평을 아끼지 않는다. 뉴욕의 센트럴 파크와 같은 근대적 공원이 갖는 근본적 자연성(비록 유사 자연이긴 하지만)의 부재도 이 공원을 비켜나게 보는 하나의 시각이랄 수 있다. 결국 라 빌레뜨 공원 경관은 자연을 그 나름대로의 하나의 질서로 보는, 짙은 자연관에의 전통을 찾아 볼 수 없는 애틋함이 서려 있다는 것이다. 라 빌레뜨 공원 경관을 처음 대하면서 치솟았던 도파민적 감흥은 이렇듯 건축적 비평에 이르러서는 그만 허상에 이르고 만다. 결국 라 빌레뜨 공원 경관은 부지를 활성화시키고 현실적으로 질서를 부여한 측면이라기보다는 도면에서의 그려진 그래픽적 형태들이 아무런 의미 없이 보여 질 뿐이고, 따라서 이것은 공간을 생각한 것이 아니라 종이위에 별 모양을 한 축에 그어 단지 별을 그린 것과 같은 단순 그리기 형국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라 빌레뜨 공원 경관은 디자인 의도에 의하여 계획된 것이지만 결코 건축언어, 공간언어에 의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호된 질책을 받는 입장에 서게 된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조경교육에 있어서 클래식의 가치에 대하여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영국에서의 주민참여(2)-프렌즈그룹이 필요하다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