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한국도시의 옛숲 ; 서울의 옛숲
  • 환경과조경 1994년 8월

서울의 옛숲은 초기 서울의 도시입지를 결정해 주는 가장 중요한 지형적 요인이라 할 수 있는 사산숲과 도성안밖의 숲으로 대별해 볼 수 있다. 사산(四山)은 조선 600년에 걸쳐 소나무를 금양(禁養)해 오던 곳으로 사산 내에는 국가적으로 엄격한 관리가 이루어져 왔다. 더욱이 이를 수호하기 위한 금제 (禁制)가 있어서 이를 어기는 범법자에 대한 가혹한 처벌이 부과되었기 때문에 조선말기에 이르기까지 사산에는 울창한 송림이 유지되었다고 볼 수 있다. 도성 내의 옛숲은 서울의 오대궁궐의 숲, 종묘와 사직숲 등과 같이 왕실과 국가적 목적을 갖는 건물주변의 숲과 청계천변과 조산(造山, 가산) 숲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도성밖의 숲은 사대문밖에 조성됐던 사지 (四池)숲, 서울주변의 주요 도로숲, 선농단(先農壇)과 선잠단(先蠶壇)숲, 전곶(箭串)숲, 양화진(楊花津)과 망원정(望遠亭) 주변숲 등을 들 수 있다.
현재의 모습을 통해 보더라도 실재 궁궐숲은 현재의 사적공원으로 물리적 경관뿐만 아니라 그 기능을 유지하고 있고, 사산지역 역시 예 전과같이 송림의 물리적 보호는 사라졌지만 현재 개발제한구역으로 포함되거나 국립공원으로 속해 과거와 유사한 기능을 갖고 있다. 이렇게 현대적인 기능측면에서 옛숲들을 보면 가장 도시공원적 기능에 가까운 옛숲은 아마도 사지와 그 주변숲, 청계천 주변 숲들과 조산숲,선농단과 선잠단 주변숲,그리고 오늘날의 가로공원의 효시라 할 수 있는 각종 주요 도로변숲들 등으로 지적될 수 있다.


※ 페이지 : 73~83
※ 키워드 : 서울 옛숲, 궁궐숲, 사지숲, 양화진, 산잠단숲, 전곶숲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