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지피식물의 현주소와 활성화방안 ; 외국의 지피식물 이용현황
  • 환경과조경 1995년 10월
-일본에서의 지피식물 이용
근대에 이르러 일본에 자생하는 야생초화류들의 생리적인 특성이 연구자들에 의해 구명되면서 소재가 다양해지고 식재방법을 비롯한 다채로운 이용법도 개발되었다. 특히 생활 형태나 주거공간이 점차로 서양화됨에 따라 서양정원과 같은 넓은 지피식물 식재지도 나타나게 되었으며, 녹화대상도 도로 및 철도변의 절단 경사지, 하천변 녹지 등으로 식재대항이 다양해졌다.
따라서 매년 지피식물의 생산량도 증가되고 있다. 최근에는 컴퓨터를 도입하여 지피용 식물류의 생리적인 특성 및 형태에 따라 필요한 소재의 손쉬운 검색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화를 비롯하여 지피식물에 의한 피복후의 경관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소프트의 개발 작업이 이루어져 식재계획을 비롯하여 발주, 생산, 납품, 식재공사 및 유지 관리가 한결 용이하게 되었다.

-유럽지역의 지피식물 이용
지피식물은 목축 민족의 모습을 보여주는 가장 자연스러운 경관이다. 양이 한가롭게 뛰어노는 목초지 경관이 현재의 우리들이 추구하는 가장 이상적인 경관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도 지피식물의 선진국은 대부분이 유럽의 전통적인 목축국가들이 차지하고 있다. 지금 현재도 이들 국가에서는 잔디를 비롯하여 다양한 지표면 녹화에 적합한 지피식물 개발에 힘쓰고 있다.

-미주지역의 지피식물 식재
이들 지역에 식재되고 있는 지피식물류를 크게 3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A그룹에 속하는 식물들은 미주지역에서 식재되고 있는 지피식물 식재면적의 60~70%를 차지하고 있다. 우선 이들의 대부분은 목본성 식물이다. 이와 같은 목본성 지피식물류는 식재시 적절한 관리에 의하여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할 수 있고 내한성을 비롯한 내공해성, 내염성 등의 내성이 다른 식물에 비해 뛰어난 장점이 있다. B그룹에 해당하는 지피식물류는 주로 재배종의 화훼류를 비롯한 야생의 초본류들이다. 이들은 주로 경사면의 녹화나 자연경관을 연출할 대 식재하는 재료로 주로 식재하나 아직까지는 생산량 및 소비량이 많지 않다. C그룹은 주로 잔디류이다. 난지형 잔디류를 비롯하여 한지형 잔디류의 대부분은 미국의 여러 농업시험장과 캐나다의 연구기관에서 육종되어진 것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을 광대한 면적의 토지에 식재하여 목초지가 아닌 경관 조성용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 키워드 : 외국 지피식물 이용현황, 외국의 지피식물
※ 페이지 : p73~p79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