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하천환경복구(재생)진단 ; 일본의 하천 환경정비 사례
  • 환경과조경 1996년 8월
재래식 하천정비 기법이 하천구조물의 안전성에 일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나고 자연생태계의 황폐화를 초래한다는 국내외 지적에 따라 새로운 하천정비기법의 활로를 모색하게 된 것이 ‘다자연형 하천 가꾸기’사업이다.
다자연형 하천 가꾸기가 하천구조물의 부분적 안정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자연보전기능의 향상이라는 측점에서 언론과 환경단체를 포함한 국민들로부터 전례 없는 높은 호응을 얻고 있어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하천에서 자연생태계이 배려가 곧바로 치수안전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아니라 오히려 치수안전성을 크게 해치는 경우도 없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생태계, 친수성, 경관 등 하천환경요소의 고려와 치수안전도 확보라는 두 가지 사항을 어떻게 조화해 나가느냐 하는 것이 ‘다자연형 하천 가꾸기’의 현안 문제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중점적으로 예산지원을 하고 있다. ‘다자원형 하천 가꾸기’사업이 본격화됨에 따라 하천공학 및 하천정비기술상 그동안 정체성에서 벗어나 활발한 연구 및 기술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평가도 아울러 얻고 있는 상황이다. 일본에서 ‘다자연형 하천 가꾸기’사업을 추진하는데 특히 주목할 사항은 다양한 전문가들이 함께 궁리하면서 더 바람직한 공법의 개발을 위해 내실 있는 노력을 한다는 것이다.


※ 키워드 : 일본 하천환경정비, 다자연형 하천 가꾸기
※ 페이지 : p129~p134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