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전통조경의 계승과 현대화 계획 ; 초월과 극복의 개념과 현상 - 한국전통조경의 현대적 계승방안
  • 환경과조경 1997년 6월
나의 논지는 학술적인 접근을 통한 전통 디자인의 텍스트를 살펴내는 것에 거의 집중되어 있다. 이를 실제 적용 활용함은 디자이너의 작품행위상의 태도 및 극히 주관적인 문제라고 본다. 전통조경의 현대적 계승은 일련의 계획원리와 밀접히 관련되어 수행되었던 설계접근으로부터 가늠되는 디자인적 해결에 놓여있을지 모른다. 이것은 문제 해결을 위한 실마리가 되는 것이며 그로부터 파생되어가는 현대적 원용은 디자이너의 교유영역이 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전통디자인의 텍스트를 살펴내고 이것의 디자인 실무에서의 적용을 가늠해본 것으로 정리해 볼 때 우리가 계승하고 현대화시켜 가조가 하는 전통조경에 관한 것은 전통조경 및 조형물에서 발견되는 디자인 텍스트 - 기본계획에서 세부설계에 이르는 일관성 - 에 주목하고 그로써 디자인 방법론상의 사고전환을 꾀함에 핵심이 있어 보인다. 전통조경의 디자인 텍스트에서 돋보이는 점은 계획과정상의 일련성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변과의 상관성, 타 대상과의 관계에 의하여 소위 의타기적으로 설정되고 결정됨으로써 매우 자연스럽게 주변 상황 내지는 기존조건과의 상호조화가 이루어지게 된다는 결과적 현상에 있음이다. 그로부터 초극 논리에 의한 디자인적 현대화의 실마리가 잡혀갈 것임을 생각해보았다. ※ 키워드 : 한국전통조경의 현대적 계승방안 전통조경의 디자인 텍스트 ※ 페이지 : p92~p97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