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한국조경, 과연 철학이 깃들어 있는가? ; 한국전통조경에 내재하는 동양사상
  • 환경과조경 1997년 7월
우리나라 사람들은 예로부터 다양한 종교와 철학 및 사상성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의 고유한 문화를 일구어 왔다. 이 문화는 일견 중국의 문화와 흡사할지도 모르겠으나 그 심층 심성이 뚜렷하게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무엇이 과연 조경에서의 한국성인가라는 질문에 자주 접하게 된다. 조경에서의 한국성이란 한국인이 가진 종교, 철학, 사상적 내용이 조경작품에 내재되어 있으며, 그 형식에서는 한국인의 조형성이 표출된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갖게 된다. 중요한 것은 우리민족은 한국성을 보여줄 수 있는 조경문화를 지녀왔으며 그것은 질적으로 대단히 우수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조경작품에서 과연 우리의 전통성이 계승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가지 않을 수 없다. 전통의 창조적 계승을 위해서는 우리의 조상들이 작품에 담아 놓은 종교적, 철학적, 사상적 의도를 발견하여 그것을 어떻게 구체화시켜 나갔는가를 밝혀내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순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갖게 된다. 아무튼 우리나라의 전통조경에는 우리민족이 지녀온 종교성과 철학성 그리고 사상성이 분명히 내재되어 있었으며, 그것은 시대와 장소의 차이에 따라 독특한 경관형식으로 구체화 되었음은 틀림없는 사실인 것으로 생각된다. ※ 페이지: 홍광표, 한국조경, 전통조경, 철학, 사상, 별서, 사찰, 서원 ※ 페이지 : 80-87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