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전통문화속에 담긴 조경 ; 조선시대 문헌 속에 기술된 조경
  • 환경과조경 1997년 9월
과거에 쓰여졌던 문헌들은 우리가 잃어버린 많은 역사적 사실들을 말해주고 있다. 조선시대에 쓰여진 문헌들 또한 그 당시 조경문화에 관한 많은 단서를 남겨놓고 있다. 조경유적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그 당시 조경양식과 시대별 변천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전통조경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찾아낼 수 있고, 나아가 현대조경에 반영될 수 있는 요소들을 추출해 낼 수 있다.
조선시대 편찬된 여러 문헌 중 ‘신증동국여지승람(1531)’이라는 지리지에는 당시 조경문화에 대한 기록들이 남아 있다. 특히 누정에 관한 기록을 많이 남겻다. 누정조의 기록을 보면 누정이 가지는 상징성이나 조성양식, 이용상황까지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누정조에 기록된 내용은 객관이나 동헌 또는 경승지에 조성된 누정은 물론 뛰어난 경치를 담고 있다고 생각되면 역원과 향교, 읍성의 문루까지 기록하였다. 산천조, 궁실조, 누정조 등에 남아있는 누정의 이름들, 누정을 중심으로 꾸며진 정원양식들은 현존하는 조경유적 조사와 더불어 조선시대 조경양식에 관해 많은 것을 밝혀줄 것이다.


※ 키워드 : 전통문화, 고문헌, 전통조경, 조경양식, 조경문화
※ 페이지 : 83-87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