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조경의 패러다임 모색 ; 조경업역의 변천과 미래
  • 환경과조경 1999년 1월

한국 조경업의 과거와 현재

조경업의 출발
우리 모두가 이미 잘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조경이 하나의 전문분야로 자리매김한 것은 20세기초 미국에서 부터이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조경업은 1970년대 산업화와 경제개발이 급속히 추진되면서 개발로 인한 훼손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치유책을 제시해야 할 현실적인 필요가 부각되면서 본격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당시 고속도로, 관광지 개발, 사적지 정화 등의 구체적인 사업에 따른 조경과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가로서 조경가가 필요로 하게 된 것이다. 그에 따라 조경가를 양성하기 위한 전문교육으로서의 조경학과 설립(1973년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및 환경대학원, 영남대학교에 조경학과가 처음 설치)과 전문직업체의 설립(1974년 한국종합조경공사 등) 이라는 과정을 거쳐 사반세기가 지난 현재, 전국 40여개 대학에 설치된 조경학과 수와 1년에 1천명이 넘는 졸업생 배출수, 그리고 2백개가 넘는 조경공사업체수와 1백개를 훨씬 초과하는 설계업체 등 적어도 외형적으로는 비약적인 발전을 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경업의 오늘과 내일 - 시대상황속

거울 들여다 보기
조경실무의 현재와 앞으로의 지평 오늘날 한국사회는 급변이라는 말로 잘표현된다. 변화의 물결이 역사가 일천한 조경분야라고 해서 들이닥치지 않을리 없다. 현재 우리 주변에 목도되는 조경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들은 자못 의미심장하다. 결국 누가 하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무엇을 보여 주는가가 중요한 것이다. 조경가가 부단히 노력하지 않는 한 업역 및 시장을 사회적으로 확보하기가 수월치만은 않을 것이다. 앞서 언급한 대로 사회적 수요(social needs)는 이미 있으니 조경분야의 개별성(uniqueness)과 능력 에서의 상대적인 수월성(competence andprofession)이 사회적으로 공인(social acceptance)되어야 조경업의 전문성 및 업역 존립의 논리적 근거가 인정되는 것이다.
각양각색의 분야간에 많은 협력작업이 요구된다. 위에 거론된 건축이나 토목, 도시계획, 도시설계 등과 생태나 생물 등 과학분야는 물론 예술분야, 심지어 경제·경영분야까지의 동참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현상이 단순하지 않으니 그것을 진단하고 해결책을 강구하기에는 다방면의 전문가가 있어야 하는 것일게다. 조경공사에서 보다는 계획설계단계에서 더욱 자주 발생하는 이같은 상황에서는 조경가의 적절한 대응을 요구한다. 그러나 역시 가장 바람직한 것은 어느 일방이 주도하기 보다는 여러분야가 공동으로 작업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그 같은 경우 유의해야 할 것은 각자의 고유영역을 존중하고 협력해서 ‘통합된 하나’의 작품을 만들겠다는 각오와 자세이다. 금이 간 종이 좋은 음향을 낼리 만무한 것이다. 그것이 깨어질 때의 불협화음과 그 결과물에 대한 평가는 굳이 보지 않아도 짐작되고도 남는다.
조경분야내 세분화가 진행되고 있다. 조경이라는 분야의 원래속성이 잡다한학문이라 조경에서의 세분화는 일면 분야의 발전적인 진화라는 의미로도 해석 가능하다. 조경의 관심분야가 너무 넓어서 실무에서나 학교에서나 정말로 ‘해야할 일,알아야 할 분야가 너무나 많다’는 것이 항상 우리의 불만이 되기도 한다. 장르로는 과학기술, 생태에서부터 예술까지, 대상으로나 소재로나 조경이 다루는 것이 너무광범위하다. 이는 조경 스스로 그 업역을 명확히 정의하기 어렵게 만들어서 자칫 인접분야에게는 조경이 하는 일이 ‘모두를 다루면서도 결과적으로는 별게 아닌’것처럼 보일 수도 있는 위험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다른 한편으로 조경가마다 각기 다른 철학적 사고와 지식으로 무장하고 다룸으로써 조경에 대한 논의의 시각을 다양하게 하고 심도를 깊게 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이른바 generalist냐 specialist냐라는 논의가 여기에 또 대두된다. 여러 분야를 섭렵하면 서 하나로 아우르기 위해서는 generalist로서의 조경가의 자질이 요구되며, 하나하나 세부 항목별로 분석하고 해법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specialist로서의 조경가가 필요하다. 전자가 옴스테드 이래 조경가가 점유할 수 있는 분야상의 이점이라면, 후자는 끊임없이 세분화되는 현실세계를 포괄한 학문적 속성상, 그리고 진화론적 발전단계상 발생될 수 밖에 없는, 그래서 조경에서도 외면할 수 없는 불가피한 부분이다.


※ 키워드 : 조경업, 조경의 변천, 조경의미래. 조경
※ 페이지 : 122 ~ 125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