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절개지 비탈면 녹화공법의 평가 ; 비탈면 녹화의 유지관리
  • 환경과조경 1999년 2월
절·성토 비탈면 녹화 시공지의 유지관리는 비탈면 안정과 기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주변 식생환경의 보전을 통한 자연식생의 연속적인 천이를 유도하여 국토 보전과 쾌적한 경관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작업이다. 비탈면에 시공된 식물과 구조물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하기 위한 유지 관리는 장기적인 관리와 일상적인 관리로 나눌 수 있다.
장기적인 관리는 비탈면안정을 위한 구조물의 보강작업이나 비탈면 식생천이 촉진을 위한 식생관리 작업으로 장래 비탈면 식생을 주변부의 식생에 근접하도록 천이를 유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일상적인 관리는 구조물의 노화나 식물의 쇠퇴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로, 옹벽 등의 보수 및 풀깎기, 시비작업 등 재해의 위험과 식생의 변화에 대비하는 것이다.
비로소 90년대에 접어들면서 토목기술의 정착으로 비탈면의 안정화 공법이 수준 높게 시공되었고, 그에 힘입어 비탈면 녹화에 따른 재료의 특허, 공법의 신기술지정 등으로 비탈 면 녹화기술의 도입·정착·개발의 시대에 이르렀다고 말할 수 있다. 국내 경제여건의 악화로 일시 주춤하는 감이 있지만 2000년대에 급속히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은 갖추었다고 판단되며, 특히 유지관리를 효율적으로 시행해야 할 시기가 도래하였다고 판단된다.
지금까지의 절·성토 비탈면 녹화는 일부 조경수 기능식재 외에는 아직도 미흡한 실정에 있다. 앞으로는 비탈면관리의 고유 기능을 증대시켜 국토 경관의 관리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고속도로변 녹화관리 주체로서 당장 개선해야 할 사항은 현재 비탈면 녹화사업이 시공관리는 토목기술자들에 의해, 유지관리는 조경전문가들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는 문제이다. 조경전문가들이 비탈면 녹화의 시공부터 관리까지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관련기술자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주변 단체 및 시공회사들의 적극적인 도움으로 해결되어야 할 과제일 것이다.


※ 키워드 : 비탈면 녹화의 유지관리, 비탈면 녹화 관리유형
※ 키워드 : p134~p139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