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학교조경/푸른학교 가꾸기 -생태교육과 지역공동체 형성에 기여-
  • 환경과조경 1999년 3월
우리나라는 전국토의 65%가 산지로 형성되어 있고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진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추고 있지만 기존 교육속에서 감성훈련과 자연속에서의 오감체험 교육을 실행하는 교육적 방향이나 구체적인 방법론을 가지고 있지 않다. 더군다나 대부분의 도시환경은 생태적 요소, 즉 산림, 하천, 나무, 곤충, 벌레 등이 건강한 자연상태로 보존되어 있지 않아 생태교육의 기회가 매우 제한되어 있다.
생태교육의 장기적인 효과성을 고려할 때 무엇보다도 초등학교 교육의 중요성이 가장 강조되고 있는데 초등학교 교육을 통한 환경교육은 합리성, 과학성, 논리성에 근거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는 달리 감성과 오감의 직접적인 체험을 통한 습득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감성과 오감에 의한 학습은 바로 자연생태계를 체험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교육은 교육내용의 점진성과 내용 확대, 타분야와의 연계, 전체 교육질의 향상, 가치관 형성 생활 속 실천 등의 효과를 위해서 일회적이고 한시적인 교육에서 일상적이면서도 상설적인 교육이 되어야 한다.
종합적으로 교육의 효과성, 교육의 연속성을 고려할 때, 공간적 제한, 기회적 제한속에서 근린생활권 어디에서나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지역공동체의 뿌리가 될 수 있는 초등학교 공간의 활용이 매우 중요하리라고 본다.


※ 키워드 : 특별기획, 학교조경, 김경화, 푸른학교, 생태교육, 지역공동체
※ 페이지 : 114-118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