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고정희의 식물이야기(2): 도시의 계절
  • 환경과조경 2010년 5월

봄으로 오는 길
올해는 유난히 봄소식이 더뎠다.
봄으로 오는 길이 얼마나 길고 험했던가. 눈도 많이 내렸고 많이도 추웠었다. 3월에도 일주일 간격으로 눈이 내렸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러다 영영 겨울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아닌지 슬그머니 걱정도 되었다. 기다림에 지친 마음에 마침내 사방에서 피어나는 개나리를 발견했을 때 얼마나 반갑던지. 평소에 흔하디흔하고 지천으로 널린 데다가 도로변 경사면마다 늘어져 있는 늙은 개나리들을 별로 탐탁하게 여기지 않았었다. 정원에도 절대 심지 않았던 구박덩이들이었는데 미안한 생각이 든다. 분당에서 서울 강남으로의 출퇴근길에 이어지는 개나리 행렬들이 비록 햇병아리 색을 입고 있기는 해도 가만히 살펴보면 늙고 지친 모습이 역력하다. 최소한 십 년 이상 새 개나리를 심지 않았을 것이라는 짐작이 간다. 슬슬 세대교체를 해주어야 하는데 하는 생각이 든다. 식물도 나이가 들면 현역에서 은퇴해야 하는 시점이 온다. 특히 빼곡하게 밀식한 관목일수록 더 빨리 노쇠현상을 보이는 것 같다. 옆으로 퍼지지 못하니 길이 생장만 거듭하여 밑둥 부분이 서늘하게 비게 되는데 그 모습이 추래해 보인다.

도시 속에서 마치 길을 잃은 듯이 늘 엉거주춤해 보이던 진달래는 동병상련이랄까 늘 정감이 갔었다. 그 허술해 보이는 모습이 올 따라 더욱 다정하 게 다가온다.
조팝도 하얗게 피어나고 쥐똥나무의 잎들이 연두색으로 물들어가고 있다. 운 좋게 양지에 자리 잡은 목련들도 만개하였고, 산수유, 생강나무 뿐 아니라 아파트 단지마다 도로변마다 많이도 심어 준 벚나무 들이 기지개를 켜며 이제 그들의 시절이 돌아왔음을 알린다. 이미 서둘러 활짝 핀 벚꽃도 적지 않게 눈에 띈다. 그동안 벚나무를 많이 심어 준 것이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는 생각을 처음으로 해 보았다. 그럼에도 벚나무 아래 개나리를 심은 것은 아직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 연분홍과 진노랑의 얼핏 조화롭지 못한 배합만이 문제가 아니라 벚꽃의 아주 섬세한 핑크와 제대로 어울리는 색상이 그리 흔하지 않을 것이며 무엇보다도 벚꽃이 만개하면 범접할 수 없는 아우라가 사방에 가득해지므로 주변에 다른 색은 될수록 피해 주는 센스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벚꽃과 거의 동시에 꽃을 피우는 식물은 될수록 가까이 두지 않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다.

이런 저런 생각을 하다 보니 무슨 벚나무를 저리도 많이 심었나 하고 불평하던 지난 일이 떠오르고 사람의 마음이란 정말 간사하다 싶다. 그래서 혹독한 겨울이 필요한 것은 아닐까.
이제 머지않아 철쭉이 온 세상을 진한 분홍으로 물들일 것이다. 철쭉과 영산홍이 지고 나면 우리의 도시들은 서서히 녹색만의 시대로 접어들 것이며 가을에 단풍이 물들기까지 도시를 지배할 것이다. 계절을 색으로 표현한다고 하면 우리 도시의 색은 벚나무와 철쭉으로 이루어진 봄과 단풍이 그려내는 가을 두 계절로 단순 압축되는 경향이 있다.
물론 여름의 배롱나무가 있고, 원추리, 붓꽃, 옥잠화, 비비추와 맥문동이 있지만 녹색이 차지하는 비율에 비한다면 큰 호수에 약간의 물감을 흘리듯 아무런 흔적도 남지 않게 된다.
도시 나무들꽃을 피우는 수많은 식물들이 실제로 존재하는데 그들을 좀 더 적극적으로 도시조경에 개입시킨다면 도시가 좀 더 아름답고 명랑해 지지 않을까 싶다.
우리가 만약 소나무를 향한 집착만 버릴 수 있다면 소나무 값으로 꽃을 피우는 수목들을 얼마나 더 많이 심을 수 있을까 하는 쓸 데 없는 계산도 해 본 적이 있다. 장송의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고 하자 보수하다가 도산한 업체들도 적지 않다는 소문이다. 그럼에도 아직은 장송과 조형소나무를 향한 편애가 식지 않고 있는 듯하다. 그래서 아예 식재에서 손을 떼고 시설물만 다루는 업체들이 늘고 있다. 분명 우리 조경계의 심각한 문제임에 틀림이 없겠는데 지인들과 대화를 나누다 보면 모두 공감하는 부분이지만 막상 개선방법은 찾아지지 않는 것 같다.
개인주택의 경우 건축주들과 대화를 통해 소나무를 피할 수 있기도 하지만 아파트, 주상복합 등 분양율과 낙락장송의 숫자가 함께 가는 프로젝트에서는 이들을 심지 않고 넘어갈 수 있는 방법이 아직 없어 보인다.
소나무는, 특히 낙락장송은 멋진 나무임에 틀림이 없다. 그러나 그들을 도시보다는 강원도 산속에서 보는 편이 훨씬 마음이 편할 것 같다. 한 그루의 장송이 되기까지 무수한 세월이 흘러야 하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텐데 그럼에도 극구 도시로 이식해 와 한 해가 지나지 않아 죽이 장송을 보호수종으로 지정하여 이식을 금지하는 법이 책정되어야 하지 않을까. 아니 더 나아가서 장송뿐 아니라 산에서 수목을 채취해 와 도시에 식재하는 관례 자체가 과연 옳은 것인지 한 번 되새겨 볼 시점이 되지 않았나 싶다. 지난 회에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원칙적으로 조경에 적용되는 모든 식물은 묘목부터 별도로 재배되어야 한다. 이는 한편 산과 들의 식물 생태계를 보호하자는 것이며 다른 한편 건강한 식물을 생산하여 건강하게 심자는 것이다.
뿌리돌림도 제대로 되지 않고 수형도 변변치 않은 것을 수목이라고 판매하는 것 자체가 건전한 상도가 아닐 것이며 하자의 위험이 뻔히 보이는 식물을 구매하여 정원에 심는 것 또한 옳은 조경이라 할 수 없다. 높은 공사비가 책정된 고급 아파트 단지의 경우 PM들과 현장소장들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좋은 나무, 소위“명품 수목”을 구해다 심기 때문에 준공 당시에 이미 숲을 방불할 경관이 연출되지만, 지방을 돌아다니다 보면 거리의 가로수로부터 아파트며, 공원에 심은 나무들까지 제대로 나무다운 것을 보기 힘든데 수목에서조차 사회의 양분화가 이루어지는가 싶어 심사가 어지럽다.
도시의 얼굴이 되어 주는 가로수며 공원의 수목은 결국 우리가 우리의 도시를 얼마나 귀하게 여기고 있는가의 정도를 보여주는 바로미터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오히려 공공공간에 더욱 아름다운 나무를 심고 부지런히 꽃을 가꾸어 문화시민의 자격과 자존심을 보여야 하지 않겠는가.
명품 수목이라니, 신이 창조한 피조물 중에 명품 아닌 것이 어디 있던가. 작은 나무라도 소중히 여기고 작고 알차게 심어 크게 기르는 전통을 만들어 볼 때가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많이 한다. 나무가 성장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이를 소비하는 속도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누구나 한 번 쯤 생각해 봤으면 하는 바람이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