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다시, 되새겨야 할 정원의 정체성
다시, 정원을 말하다
  • 환경과조경 2014년 4월
ljk 004.JPG
삶의 공간 가까이에서 이런 장면을 만나게 되길 바라는 이가 필자만은 아닐 것이다. ⓒ이준규

 

정체성 혼돈의 시대

삶을 살아가면서 인간이 풀어야 할 가장 근본적 질문중 하나는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이 아닐까 싶다. 유사 이래 수많은 종교와 철학 또는 예술 분야에서 이에 대한 적절한 답을 찾기 위해 노력했지만, 여전히 이 질문은 우리 앞에 정답 없는 물음표로 남아 있다. 어쩌면 수학 공식 풀이와 달리, 명쾌하게 답을 찾는 것 자체가 처음부터 불가능한 질문이었는지도 모른다.

시대가 변할 때마다 우리는 새로운 가치관으로 사회를 정의하고, 그 사회에 속해있는 인간을 정의해왔다. 18세기 이전에는 사회의 변화 속도가 빠르지 않았고, 사회적 콘텐츠 또한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가치관에 대한 정의 역시 다양성보다는 깊이 있는 사고를 토대로 내려졌다. 하지만 18세기 이후 사회를 둘러싼 모든 속도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빨라졌고, 시대를 앞서가는 새로운 콘텐츠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급기야는 우리 사회를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물리적·정신적 공간으로 만들었다. 이런 급격한 변화는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정체성의 혼란(때로는 이러한 혼란을 미적인 가치로 표현하기도 하지만)을 야기하기도 했다. 덕분에 다양한 가치가 공존할 수 있게 되었지만 깊이 있는 가치를 상당 부분 놓쳐버리는, 그래서 이제는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조차 하지 않는 가벼운 시대가 되어버리고 말았다. 어쩌면 21세기 들어 발생하고 있는 많은 사회적 문제들은 이러한 정체성의 부재, 또는 혼란에서부터 시작된 것일지도 모른다. 

역사를 찬찬히 살펴보면 ‘빠른 성장’이 만들어 놓은 성과물들은 관심의 대상이 되지만, 그 성장에 따르는 혼란은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18세기 이후, 정원garden은 시민 사회의 성장과 함께 조경landscape architecture이라는 결과물을 내놓으며 빠르게 발전하는 듯 했지만, 지금은 오히려 둘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져 서로의 정체성에 대해 확신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정원의 정체성, 통제의 그늘

지금의 한국 사회를 휩쓸고 있는 ‘정원 열풍’을 바라보면, 바람은 불고 있으나 방향성을 잃은 채 지독한 편가르기 양상마저 보이고 있어, 시대적 요구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하고 혼란 속에 빠져 있는 듯하다. 마치 엄마와 아들이 싸우고 있는 모습이다. 시대가 요구하는 정원 문화를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우선 정원의 정체성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은 “정원은 가장 순수한 인간의 즐거움”이라고 말한 바 있다. 순수한 즐거움은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가운데서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해석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자연과의 공존 또는 소통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인간은 이러한 즐거움을 얻기 위해 울타리를 두르고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자연을 통제하며 정원을 만들어 왔다.

과거 자연의 어마어마한 위력 앞에 한없이 작아질 수밖에 없었던 인간이 자연과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은 울타리 안에서 자신들을 해치지 않는 자연을 만드는 일이었다. 그러나 자연과의 공존을 위해 정원을 만들었지만 그 안에는 통제라는 권력의 단편이 자리 잡을 수밖에 없었다. 자연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막강한 사회적·경제적 힘이 필요했기 때문에 정원은 자연스럽게 힘 있는 계층의 전유물이 되었다. 18세기 영국에 불기시작한 풍경화식 정원 열풍은 프랑스의 인위적인 정원이 자연과의 공존을 방해한다는 반성에서 출발해 자연을 닮은 정원을 만들면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거대한 정원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막대한 자금과 인력은 노예들의 노동력으로부터 나올 수밖에 없었다. 자연과의 공존은 이루었을지 몰라도 사람들 간의 공존은 오히려 극한 대립으로 치닫게 되었다.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 자연 속에서 즐거움을 누리기 위해 힘없는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이준규는 성균관대학교에서 조경학 석사를 마친 후, 삼성에버랜드에서 10년간 조경 디자이너로 근무하며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2011년 좀 더 깊이 있는 정원 공부에 뜻을 두고 영국으로 유학을 떠나, University of Essex, Writtle School of Design에서 정원 디자인 석사 학위를 받았고, 현재 ‘Intangible Garden Heritage’를 주제로 박사 과정 중이다. 기회가 될 때마다 한국 정원을 영국에 소개하고 있으며, 푸르네정원문화센터 이사와 월간 『가드닝』 편집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월간 환경과조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