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천변 저류지의 생태적 활용 경인 아라뱃길 두리생태공원
    경인 아라뱃길 사업 1987년 대홍수를 시작으로 한강보다 지대가 낮았던 굴포천 유역에 한강물이 역류하는 홍수 피해가 상습적으로 발생하자, 1992년 굴포천 물을 서해로 배제하는 방수로 건설이 시작되었다. 이후 2009년 국토를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굴포천 방수로를 한강과 연결하여 상습 침수 지역의 홍수예방은 물론 수도권의 물류 기능을 보완하고 지역의 관광·문화·레저 기능을 강화한 것이 ‘경인 아라뱃길 사업’이다. 그리고 경인 아라뱃길의 주요목적 중의 하나인 홍수 시 굴포천 물을 서해로 배제함에 있어서 서해의 특성상 만조 시에 일시적으로 물을 저류하여야 하기에, 부족한 용량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천변 저류지, 즉 ‘두리생태공원’을 조성했다. 두리생태공원은 ‘아라뱃길 천변 저류지’의 또 다른명칭이다. 치수 측면에서 홍수 조절의 역할을 하고 경관 생태적 측면에서 도심 내 조류,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 곤충류의 서식처를 제공한다. 더불어 인간에게는 자연과 함께 할 수 있는 힐링 및 녹색복지 공간으로 기여한다. 천변 저류지의 생태적 활용 두리생태공원은 천변 저류지로서의 치수적 기능, 경관 생태적 기능, 문화 공간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 생태공원으로 국민 여가공간으로도 활용된다. 홍수 시에는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된 저류지 고유의 생태적 기반을 바탕으로 야생동물의 다양한 서식 환경 및 생태적 건전성을 확보한다. 또 인위적 간섭이 최소화된 습지 생태계를 굴포천과 아라뱃길이 합류하는 지점에 조성함으로써 생태 관찰, 학습,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라뱃길의 친수시설을 이용하는 내방객들과 자전거 라이더들, 두리생태공원야영객들의 친자연적 휴식 공간으로서 기능하기도 한다. 주요 설계 개념 ① 아라뱃길 친수 경관 계획(수향 8경)의 핵심 거점역할(제6경) ② 굴포천 합수부로서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물과 들판을 생태 자원으로 활용, 자전거 등 다양한 체험 수단을 통해 학습할 수 있는 이용형 생태공원으로 조성 ③ 들판, 초화원, 호수, 습지 등 다양한 생태 경관을 조성하고 야생동물 서식 공간으로서 보존형 습지 구역 조성 ④ 저류지로서 홍수 시 구조적으로 안전한 시설물과 침수 시 견딜 수 있는 식생 도입, 아라뱃길로 수질 정화 후 방류할 수 있는 수로 및 습지 조성 ⑤ 지역 학생들의 학습 공간으로, 주말에는 가족단위의 휴식, 야영 등을 위한 도심 복지 공간으로 이용 경인 아라뱃길 사업 구역인천시 서구 오류동(서해) ~ 서울시 강서구 개화동 일원 주요 시설주운수로 18km(바닥 폭 80m, 수면 폭 150~200m, 수심 6.3m) 항만시설- 갑문 2기(인천) 144만m2, 갑문 1기(김포) 86만m2 물류단지 115만m2(인천), 89만m2(김포) 친수 경관시설(수향 8경, parkway 15.6km, 자전거 길 41km) 사업 기간2009년 1월 ~ 2013년 12월 천변 저류지 면적237,440m2 저류 용량약 442천m3 공원 명칭두리생태공원 유지용수귤현천, 심정 2기(갈수기 시 유지용수) 주요 시설습지 관찰로, 전망대, 광장, 야영장(오토캠핑 40면, 일반 야영 15면), 야외 체육시설 1식 등 주요 수종메타세쿼이아, 버드나무, 갈대, 억새, 부들, 창포 등 안병철은 1968년 태어나, 영남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5년 한국수자원공사에 입사하여 신도시 건설, 수자원 개발, 생태복원 사업, 경인 아라뱃길 사업 등을 거치면서 조경 계획 및 설계, 생태복원 업무 경력을 쌓아 왔다. 최근에는 친수 공간의 가치 증진과 문화 콘텐츠 활성화에 대한 새로운 업무에 몰두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친환경적 설계 인자를 적용한 생태복원 공사의 시공성 평가”(2013), “생태적 유역관리 도구로서 마을방죽의 수질정화 효율성 고찰”(2012), “경인 아라뱃길 친수경관 기본설 ”(2010), “전통마을 방죽의 환경생태적 가치 분석”(2008) 등이 있다.
  • 서초 보금자리 공원 Seocho Bogumjari Park
    서초 보금자리 공원을 포함한 ‘서초 보금자리주택지구 조경설계 ’ 는 서초지구 의 개발 방향인E-Green City를 바탕으로 ‘걷고 싶은 도시, 함께 하는 길’을 목표로 했다. 각 단지의 동선을 검토한 후 근린공원과 유수지, 수변공원의 동선을 유기적으로 연계함으로써 지구 전체의 연결성을 강화했다. 길은 일상 속의 걷고 싶은 ‘마을길’과 양재천·우면천을 따라 걷는 ‘수변길’ 그리고 우면산의 자연을 끌어 들이는 ‘자연길’, 이렇게 세 갈래로 계획되었다. 마을길은 경관 가로로서 각 단지들과 주요 오픈스페이스를 연결한다. 단순한 이동 통로가 아닌 서초보금자리만의 정체성을 담고 주민들의 일상과 밀접하게 소통하는 공간이다.수변길은 양재천과 연계해 녹지를 자연스럽게 단지 내로 유입한다. 소나무 언덕길, 맨발길, 커뮤니티 광장 등이 연결되어 신선한 공기와 녹색의 푸르름을 도시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 문화오픈스페이스와의 자연스러운 연결 매개체가 되며 자연과 함께 걷는 건강한 길을 의도했다. 설계_ 그룹한 어소시에이트 시공_ 대림종합건설 발주_ LH 위치_ 서울특별시 서초구 우면동, 경기도 과천시 주암동 일원서초 보금자리주택지구 내 면적_ 361,948.7m2(공원·녹지: 81,250m2, 훼손지 복구: 38,950m2) 사진_ 유청오
    • 그룹한 어소시에이트 / 그룹한 어소시에이트 / 2014년09월 / 75
  • 워터 스퀘어 벤텀플레인 Water Square Benthemplein
    워터 스퀘어는 물 저장과 도심 공공공간의 질적향상을 함께 추구한다. 일종의 2단계 전략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워터 스퀘어를 통해 물 저장시설에 투자되는 비용을 사람들이 눈으로 확인하는 한편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 또 지역 내 중심역할을 하는 공간이 환경적 이점과 정체성을 동시에 자아낼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 대부분워터 스퀘어는 건조한 상태에서 여가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다. 최초의 워터 스퀘어는 벤텀스퀘어Benthemsquare에서 실현되었다.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우리는 광장에 관한 아이디어들을 모았다. 자드킨 대학Zadkine College의 학생과 교수, 인근 교회신자, 청소년 극단과 다비드 로이드David Lloyd 체육관 그리고 아흐니서Agniese 지역의 주민들까지, 모두 열정적으로 참여해 주었다. 세 차례에 걸친 워크숍을 통해 실현가능한 용도, 바람직한 환경, 빗물이 광장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지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워터 스퀘어는 젊은이들을 위한 역동적인 공간이 되어야 하며, 놀이와 휴식을 위한 공간이 다채롭게 마련되면서 멋지고 친근한 녹색 공간이 더불어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에 대해 모두 동의했다. 그렇다면 물은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물은 광장 위를 흐르는 동안 흥미진진할 만큼 사람들의 눈에 잘 띄어야만 했다. 이를 위해선 물이 굽이굽이 돌면서 이동하는 게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었다. 참가자들이 보여준 열정은 우리가 능동적인 디자인을 만들어내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총 세 개의 수조에 빗물이 담긴다. 인접 지역을 위해, 설치된 깊이가 그리 깊지 않은 두 개의 수조는 비가 올 때면 언제든 물을 모을 수 있도록 했고, 보다 깊은 나머지 하나는 강우가 지속될 때에만 물을 담게 된다. 물은 광장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꽤넓은 지역으로부터 흘러들어 오게 된다. Landscape Architect_ DE URBANISTEN Client_ City of Rotterdam: Rotterdam Climate Initiativesupported by Waterboard Schieland & Krimpenerwaard Project Architect_ Florian Boer Designer_ Roberto Schumacher, Jens Jorritsma, Eduardo Marín, TimPeeters, Dirk van Peijpe Collaborator_ City of Rotterdam: Engineering Bureau Location_ Rotterdam(north of centre), the Netherlands Date of Design Project_ 2011~2012 Date of Construction_ 2012~2013(finished on December 4th 2013) Budget_ 4.5 million euros including: larger undergroundinfrastructures(pipes and water pumps) engineering, tendering andcommunication budgets Surface Area_ total: 9.500m2(including street and parking)effective square: 5.500m2 offering 1.800m3 temporal water storage Photographs_ all illustrations by DE URBANISTENphotos by Ossip van Duivenbode, pallesh+azarfane and DEURBANISTEN(Florian Boer & Eduardo Marin)
    • DE URBANISTEN / DE URBANISTEN / 2014년09월 / 75
  • 프레스킬 롤레 파크 Presqu’ile Rollet Park
    플로베르 생태지구와 프레스킬 롤레 프레스킬 롤레 프로젝트가 포함된 플로베르Flaubert 생태지구eco-district는 과거 항만과 산업단지로 사용되었던 유휴지를 활용해 개발된 곳이다. 루앙 부두재개발 사업지구의 서쪽 끝에 위치한 프레스킬 롤레 파크는, 푸르디푸른 구조적 프레임워크를 센 강Seine River과 연계하여 창조해내고, 근본적으로는 ‘도심 속에서 자연을 복원’시킬 수 있는 기회였다. 대상지의 오염된 토양 등 환경 전반에 미칠 영향을 고려했을 때, 강력한 접근 방법 없이는 이러한 기획을 결코 추진할 수 없었다. 이 프로젝트가 요구한 것은 단순히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데 머무는 것이 아닌 새로운 생물다양성을 만들어 내는 것이었다. 무엇보다 중요했던 점은 이곳이 많은 사람들이 살아가야 할 거주 공간이며, 사무실과 주택, 각종 시설물과 상점 등이 들어설 곳이라는 점이다. 루앙Rouen에 새롭게 건설된 이 지역이 갖는 잠재력은 실로 대단하다. 센 강 인근에 위치하며, 프레스킬롤레는 구불구불 이어지는 곡선에서 일종의 중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주변으로는 나무가 심어진 언덕들이 자리한다. 또 항구 분위기가 물씬 나는 데, 거대한 규모의 사일로나 플로베르 다리, 수평으로 이어진 부두와 철로 등이 이런 느낌을 자아낸다. 항만지구가 새로운 도시로 변모한다고 해서 본래 갖고 있는 특징적 요소들이 모두 사라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이 프로젝트는 도시의 새로운 비전을 기획하면서 도출된 여러 가지 구성 요소들을 근간으로 추진되었다. 철도 기능의 일부와 그와 관련된 시설물들을 존치시킴으로써 도시 내에서도 이곳만의 색깔이 있는 동네로 만들 수 있었다. 즉 활발하게 기능하고 있는 산업용 항만을 포함해 중대한 가치를 지닌 기반시설을 배경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한 덕분에, 루앙의 왼쪽 기슭 지역에는 독특한 정체성이 생겨났다. Landscape Architect_ Atelier Jacqueline Osty & associés(JacquelineOsty, Loic Bonnin, Gabriel Mauchamp, Fanny Guilmet) With_ ATTICA, Urbanist, EGIS, Engineer Consultant, BURGEAP,Environment Engineering, Michel Boulcourt, Forest PlantationConsultant Client_ Communauté de l’Agglomération Rouennaise Location_ Petit-Quévilly and Rouen, Seine-Maritime (76), France Area_ 12.5ha in a future eco district of 31ha Budget_ M1: 16,3m€ HT, M2: 36m€ HT Construction_ 2012~2013 Photographs_ Atelier Jacqueline Osty & associés
    • Atelier Jacqueline Osty & associés / Atelier Jacqueline Osty & associés / 2014년09월 /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