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온실가스 측정용 표준가스와 측정 시스템 개발
    1992년 브라질 리우 지구정상회의에서 지구온난화와 이로 인한 기상이변의 근본적인 원인은 인류의 에너지 과소비로 인한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의 증가라고 규정하고, 더 큰 재앙이 초래되기 전에 자발적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촉구하고 대응방안을 수립하기로 약속하는 국제연합기후변화협약(United Natio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을 체결하여 우리나라는 1993년 12월에 가입했으며, 1994년 3월에 발효되었다. 1995년 1월 기후변화협약 제3차 당사국회의에서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가 채택되었다. 본 의정서는 2004년 11월, 러시아가 교토의정서에 비준함에 따라 발효요건이 충족되어, 2005년 2월에 발효되었다. 교토의정서에서는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류(Hydrofluorocarbons; HFCs), 과불화탄소류(Perflurocarbons; PFCs), 육불화항(SF6)을 감축대상 6대 온실가스로 규정했다. 참고로, 2007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배경대기 중 온실가스의 농도는 CO2 385ppm, CH4 1.72ppm, N2O 318ppb, PFCs 268ppb, HFCs 110ppt, SF6 72ppt 수준이다. 우리나라가 기후변화협약에 효과적인 대처를 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노력은 이미 시작되었으며, 그 근본적인 출발점은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의 정확한 산정이다. 이를 위해 정확한 배출량과 감축량 산정의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보다 과학적, 체계적, 정확한 관측과 측정표준 기반기술이 필수적이다. 먼저, 온실가스의 기후변화 감시의 기준으로서 세계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기준가스와 연결된 국가표준가스가 필요하다. 이 표준가스를 이용하여 국내에서 생산된 측정데이터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비교분석법 적용이 요구된다. 무엇보다도 우리나라의 경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등 국가기간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을 제대로 감시해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요건으로서 온실가스 표준 체계 확립은 국가적 차원의 중요성을 가지고 있으며, 표준가스와 측정방법 및 측정시스템의 개발은 온실가스 측정을 위한 표준체계 구축의 기술적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 회화나무
    서울시에서는 은행나무와 양버즘나무 등 두세 종류에 불과하던 가로수를 다양한 수종으로 교체한다는 발표를 하였다. 서울시내 10개 도로를 '가로수 10대 시범가로'로 지정해 10∼15년에 걸쳐 한 가지 나무만 심어 특화된 거리로 가꾸기로 하였다. 도시의 가로수는 미관을 좌우하는 중요 자원이라는 판단 아래 칠엽수와 회화나무, 메타세콰이어 등 10개 이상으로 종류를 다양화하기로 하였다. 10대 시범가로는 한강로에 대왕참나무, 강남대로 칠엽수, 영동대로 느티나무, 율곡로 회화나무, 경인로 중국단풍, 동1,2로 느티나무, 남부순환로 메타세콰이어, 신촌로 목련, 왕산로 복자기, 한강로 대왕참나무, 수색로 벚나무길 등이다 이름의 유래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에 식재되어질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는 예전부터 흔히 마을 근처에 심었으며, 학자들이 서당이나 서원에 즐겨 심었기 때문에 학자수(學者樹)라 부른다. 영명은 학자수를 직역하여 Chinese scholar tree, Japanese pagoda tree이다. 또한 수형이 웅장하고 단정하여 품위가 있어 정자나무로도 인기가 있다. 회화목(懷花木), 회나무, 홰나무, 괴화나무, 괴목, 괴수 등으로도 불렸던 나무이다. 중국에서는 회화나무의 꽃을 괴화(槐花)라고 부르는데 괴(塊)의 중국식 발음이 '회'이므로 회화나무로 부르게 된 것이라고 한다. 회화나무를 중국에서는 학자수(學者樹), 출세수(出世樹), 행복수(幸福樹)라고도 부르는데, 이 나무를 심으면 집안에 학자가 나고 큰 인물이 나오며 집안이 행복해진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다.
  • 국토해양부 산하 제3회 정부투자기관 조경기술세미나
    지난 5월 31일(토) 국토해양부 산하 제3회 정부투자기관 조경기술세미나가 COEX 장보고홀 335호실에서 개최되었다. 이 세미나는 국토해양부 산하 정부투자기관의 조경 분야 기술향상과 정보교류를 위해 2006년도부터 시작하여 올해 3회째를 맞이하고 있으며, 2006년도에 한국토지공사에서, 2007년도에 한국도로공사에서, 금년에는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주최하였다. 개회사, 축사, 특강, 주제발표, 질의응답 순으로 오전10시에 시작하여 오후1시까지 3시간여 동안 진행되었으며, 점심식사 후 조경박람회를 관람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이번 세미나는 지난해까지 공사 직원만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반해, 금년에는 업계나 학계의 관심있는 사람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조경박람회와 일정을 맞추어 국민들에게 한층 다가가는 열린 세미나였다는 데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토요일임에도 불구하고 공사 직원, 교수 및 대학원생, 설계시공업체 직원 등 약 2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진행되었다. 세미나에 앞서 한국수자원공사 차대현 단장의 개회사, 한국조경학회 김학범 회장과 한국조경사회 이유경 회장의 축사에 이어, 고려대학교 심우경 교수의 “조경가의 특별한 임무”라는 주제의 특강이 있었다. 특강에서 심 교수는 조경이 너무 사람위주의 미적 기준에 의해 예술적으로 치우치고 있는 현 상황을 꼬집으며, 공기업에 근무하는 직원들이 현실에 안주하지 말고 세계를 향해 진취적이고 도전적인 목표를 가지고 살아갈 것을 당부하였다.
  • 해미석, 옹기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2008년07월 / 47
  • 복원지역의 식재
    Site Constraints대부분의 복원 대상지는 식생을 조성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대상지는 유기물이 함량된 표토층이 없는 조밀한 토양이거나 침식에 약한 경사진 메마른 토양 일 수도 있다. 거기에 대상지로의 접근도 제한적이어서 대형 기계장비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잡초들의 번식력 또한 자생식물종들이 뿌리를 내리는 것을 방해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잡초제어는 복원사이트에서 자생식물종을 번식시키게 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야생동물들도 복원지역의 식생을 훼손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로부터 식생을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조경에서는 이러한 기술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복원대상지만의 특별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생태복원가들은 거기에 적합한 새로운 기술들을 개발해 오고 있다. 복원사이트에서의 식재를 위한 이와같은 기술은 올바른 식생선택과 식재기준 그리고 효율적인 관리를 포함한다. Plant Materials Selection성공적인 식재는 올바른 식생의 선택에서 시작된다. 가장 성공적인 식생은 환경조건에 가장 적합한 식물을 식재하는 것이다. 많은 프로젝트들은 현재 존재하는 변경된 대상지의 조건이 아닌 훼손되기전 대상지에 존재하였던 식생을 선택함으로써 실패하게 된다. 예를들어 과거에는 풍성한 숲을 이루고 있었던 대상지가 현재에 그렇지 못하다고 했을 때을 생각해보자. 산림식생은 그늘을 필요로하는데, 현재의 훼손된 대상지의 경우에는 직사광을 받게되어 그 전의 식생환경이 쉽게 조성될 수 없는 것이다. <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 2008년07월 / 47
  • 리오세코 골프클럽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2008년07월 / 47
  • 삿갓사초, 도깨비사초, 이삭사초, 괭이사초, 왕비늘사초
    삿갓사초 과명 _ 사초과(Cyperaceae) 학명 _ Carex dispalata Boott 영명 _ Curvedutricle Sedge 자생지 _ 논, 논둑, 습지, 연못 이름의 유래 _ 종소명은 라틴어 disparare(분리하다)에서 나온 말로서 분할(分割)된 이라는 뜻이다. 형태 _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은 딱딱하고 옆으로 길게 벋으며 꽃줄기는 높이 40~100cm로서 3각형이고 윗부분이 깔깔하거나 밋밋하다. 기부의 엽초는 암적색을 띤다. 잎은 두꺼우며 너비 4~8mm로서 짙은 녹색이고 밑부분의 잎집은 황갈색 또는 자주빛이 도는 갈색이며 윤채가 있고 그물같은 섬유가 남는다. 정소수(頂小穗)는 수꽃이며 선형이고 암자색을 띤다. 측소수는 3~6개이며 원주형으로 길이 3~10cm이다. 고포는 포영보다 길며 옆으로 비스듬히 퍼지고 얇으며 세모진 타원상 난형이고 맥이 약간 있으며 길이 3~4mm로서 검은 녹갈색이다. 부리는 밖을 향하고 흰 막질로서 비스듬히 잘린다. 분포 _ 전국에 자라며 지리적으로 일본, 만주, 우수리,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활용 _ 종자와 근경으로 번식하는 다년생 사초로 근경은 딱딱하고
  • 피버휴
    특성 및 품종 피버휴는 국화과에 속하며 다년생 식물이다. 전세계적으로 15개 정도의 품종이 알려져 있으며 국내엔 일반품종인 피버휴(Tanacetum parthenium)와 식물 전체적으로 밝은 노란색을 띠는 골든 피버휴(Tanacetum parthenium 'Aureum')와 겹꽃품종인 더블 피버휴(Tanacetum parthenium 'Flore Pleno')가 대표적으로 도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아직 일반 품종만 일부 알려져 있는 상황이다. 피버휴의 영명을 풀어 보면 Fever(열) + few(거의 없는)로 그 효능이 해열이라는 걸 짐작할 수 있으며 라틴어의 '열병(febris)'과 '추방한다(fugure)'의 합성어 febrifugia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원산지는 남동 유럽이 현재는 유럽과 오스트레일리아, 북 아메리카 전역에 걸쳐 자생하고 있다. 피버휴는 탄지와 국화, 캐모마일과 같은 식물과 생김새가 매우 비슷한 근연관계이다. 식물 전체적으로 국화와 매우 흡사하게 생겼지만 초장이 45~60cm 정도로 작아 구별된다. 잎과 꽃에서 강한 특유의 향을 낸다. 그리고 개화기는 주로 여름철이며, 초가을까지 파종시기에 따라 개화가 가능하다.
  • 한국 · 서울의 옥상녹화
    태풍과 지진유네스코 빌딩을 본 후 다른 건물을 안내 받았다. 입구는 2층 부분에 있고, 그 입구 앞 인공지반도 녹화되어 있었다. 이곳도 옥상은 엘리베이터로 직접 가지 못하고, 한층 아래에 내려서 계단으로 올라가도록 되어 있다. 이 근처는 고층 빌딩이 숲처럼 서 있는 지역으로, 저녁 무렵의 지상은 상당히 어슴푸레하게 보이지만, 옥상은 멋진 석양이 퍼져 있어 생각 외로 밝았다. 마치 산골짜기 정상에 올랐을 때 느끼는 공간의 확대감과 밝기가 이 공간의 최대 매력일 것이다. 기쁘게도, 이 건물 옥상에는 높은 엘리베이터 옥탑이 있고, 그 바깥쪽 계단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안전상의 이유로 바깥쪽 계단을 없애거나 철저하게 봉쇄하여 출입을 금지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여기 서울에서는 자유롭게 오를 수 있었다.계단을 올라「옥상녹화를 내려다 보다」라는 제목의 앵글을 찾았다. 이「옥상녹화를 내려다 보다」라는 프레임에는 거리풍경이 배경으로 비치고, 옥상정원의 부유감이 잘 드러난다. 옥상에서 그 자신의 옥상을 내려다 볼 수 있는 장소가 존재하는 곳은 드물 것이다. 대개는 엘리베이터 탑이나 급수탑 위에 오르지 않으면 안 되며, 그러한 장소에 올라가는 것은 허가 받는 것 자체가 어려운 일이다. 예전에 주택 공단 단지에서 조사때문에 허가를 받아 급수탑 최상부까지 올라갔던 적이 있다. 그 때에는 평상시 열지 않는 문의 열쇠를 5~6개소나 열고, 다시 벽에 붙어있는 계단을 기어올라 가서, 간신히 탑의 꼭대기에 올라섰었다. 지상 60m 정도에서 내려다보는 14층 옥상정원의 경치는 각별했지만, 고소공포증(高所恐怖症)을 가진 사람은 절대 촬영할 수 없을 정도의 상황이었다. 이 때 경험으로 옥상녹화를 연구하는 사람은 고소공포증이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깨닫기도 했다. 지금도, 졸업 논문으로 옥상녹화를 조사하고 싶다는 학생들에게는 “고소공포증인 사람은 불가”라고 미리 말해 주고 있다. 이 빌딩의 옥상정원에는 자작나무 등이 심어져 있으며, 정원적 정취가 강하다. 이곳에도 습지 비오톱은 만들어져 있었지만, 그렇게 심한 덤불상태는 아니었다. 사진에는 찍혀있지 않지만, 우측 녹화되어 있지 않은 공간에는 큰 목재 정자가 지어져 있다. 강풍이 불면 그대로 지상으로 낙하할 것 같은 구석에 위치하여 세우져 있는 것이 마음에 걸렸다. 차근차근 잘 보니 정자는 옥상에 그냥 놓여져 있을 뿐 제대로 고정되어 있지 않았다. 시공업자의 말에 의하면 옥상녹화에 정자를 설치하는 것은 한국에서는 지극히 평범한 일이라는 것.“일본에서는 별로 보이지 않던데요?”라는 질문이 있었는데, 없는 것이 당연하다. 태풍이 많은 일본에서 옥상에 이런 큰 구조물을 설치한다고 하면 상당히 견고한 기초 타설부터 필요하며, 특히 기존 건물을 다 지은 후에 설치하는 부록 시공으로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서울은 한국에서도 북쪽에 위치해 있어, 태풍의 걱정은 적을 것이다. 더욱이 지진도 거의 없어서 이것이 괜찮을지도 모르지만, 우리들의 감각으로는 좀 무서운 일이다. 한국의 기상 조건을 자세하게 조사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 2008년07월 / 47
  • 산양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2008년07월 / 47
1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