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창간 5주년 기념 특별좌담 \"생태조경의 현황과 과제\"
    좌장_ 정태건 상무이사(금호ENC(주))패널_ 김남춘 교수(단국대학교) / 김현수 박사(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변우일 원장(리드환경연구원) / 홍태식 대표((주)청산EL) 정태건 : 오늘 토론하는 내용들은 <조경생태시공>의 창간 5주년을 맞아,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한다는 측면에서 좋은 자리가 되는 것 같다. 이 자리에는 우리나라 생태환경복원 부문 각분야별 저명한 교수님, 박사님, 현장 시공부문의 전문CEO를 모셨다. 앞으로 진행하게 될 좌담회는 자유스럽고 기탄없는 의견교환의 장이 되길 바란다.오늘의 주제는 '생태조경의 현황과 과제‘이다. 최근 화두가 되는 하천과 습지생태계의 복원부문, 비탈면을 비롯한 훼손지의 복원녹화부문, 인공지반 등 건축물 관련 녹화, 이와 관련된 시공과 아울러 법 제도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볼 것이다.물론 토론자 여러분들은 자신의 전문분야만 국한하지 말고 자유스럽게 발표하면 좋겠다. 진행순서는 본 주제와 관련된 최근의 경향을 짚어보고, 앞으로의 과제를 모색해보는 순서로 진행토록 하겠다. <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 2008년03월 / 43
  • 조경태동기의 조경학과 교과과정
    우리나라에는 1973년 조경학과가 최초로 설립되었다. 학사과정으로는 영남대학교와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에, 석사과정으로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 설립되었는데 이때는 미국의 교과과정을 많이 참고하여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대학교에서는 조경학과를 유치하기위해 공과대학, 농과대학, 미술대학이 경쟁을 하였는데 청와대에서 농과대학으로 최종 결정이 났으며, 이후 다른 대학에서도 농과대학에 조경학과가 설립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90년대 이후 조경학과가 공과대학 혹은 이공대학으로 많이 옮겼고 일부는 미술대학으로 옮겨가서, 현재는 주로 국립대학의 경우에 조경학과가 농학계열대학에 속해있다. 서울대학교에 조경학과 설립당시의 교과과정을 보면 1학년은 교양과정부에 소속되어 교양과목을 주로 공부하였으며 2학년부터 전공과목을 본격적으로 공부하도록 되어있었다. 2학년은 주로 조경의 기초과목으로서 조경학원론, 수목학, 측량학, 소묘 등을 공부하였고 3학년은 본격적인 조경전문 및 실습과목으로서 조경사, 환경미학, 조경식재학, 조경계획, 조경구조공학, 조경재료학 등을 공부하였다. 4학년은 조경설계 및 인접계획분야를 공부하도록 짜여졌는데 조경설계도 및 실습, 토지이용계획, 국토 및 지방계획, 도시계획, 공원녹지계획 등이 포함되었다. 이와 같은 교과과정의 큰 틀은 조경학의 관심분야가 심화되고 다양화됨에 따라 다소의 변화를 겪어왔으나 지금까지도 우리나라 조경학과 학사과정의 뼈대를 이루고 있다 할 수 있다. <본 원고는 요약문 입니다>
  • 2008년 조경사업물량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2008년03월 /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