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스트리트퍼니쳐 디자인의 창조와 혁신
    씨엔아이플러스(주) 씨엔아이플러스(주)는 경관요소 중의 하나인 스트리트퍼니쳐 디자인의 창조(Create)와 혁신(Innovation)이라는 정신 아래 설립되었습니다.인간을 소중히 생각하는 기업, 자연을 사랑하는 기업, 세상을 변화시키는 기업으로서의 책임정신과 신의를 바탕으로 한 기업정신으로 고객과 함께 성장하며 늘 새롭고 즐거운 디자인의 질 좋은 제품 생산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 2013년03월 / 69
  • Part 1. 목재총론: 목재의 기본 성질
    Wood Properties 자연적 특성목재를 구성하는 세포는 수목이 활동하기 적합한 계절에 형성층의 분열에 의해 생성된다. 모든 목재는 구조적으로 여러 종류의 세포가 모여 이루어진 집합체인데, 이와 같이 목재를 구성하는 세포는 빈 공간인 세포내강과 이들을 둘러싸는 세포벽으로 이루어져 있는 관 모양의 형태를 띠기 때문에 목재는 구멍이 많은 다공성(多孔性)재료가 되고 있다. 또한, 세포벽이 셀룰로오스(cellulose),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 및 리그닌(lignin)으로 구성된 복합체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목재는 가벼우면서도 강할 뿐만 아니라 탄성(彈性)과 소성(塑性)을 함께 지니게 된다(그림1). 이러한 각종 세포들의 형태와 배열 상태 및 추출물 등이 함께 어우러짐으로써 목재는 각기 나름대로의 독특한 자연적인 목리와 문양 및 재색을 지니는 아름다운 외관의 재료적 특성을 보이게 된다.수종에 따른 목재의 성질 변이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비중, 목리배열(춘재와 추재로 인함), 나무갗(침엽수재 또는 활엽수재), 이상재와 미숙재의 존재, 심재 또는 변재의 존재 및 그 양 그리고 추출물, 수지(송진)와 기름 성분의 존재 여부 등을 들 수 있다.
  • Part 1. 목재 총론: 조경용 목재 종류 및 특성
    Landscape Wood Species and Peculiarity 천연재료인 목재를 최선의 방법으로 선택하기 위해서는 기후, 주변여건, 외관, 개인취향 및 사용가능한 재료와 그에 따른 비용 등 여러 가지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하고, 목재의 특성(수축률, 내부후성 등)에 대해 알려진 여러 배경지식 또한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이미 국내에는 국산재 및 수입수종에 대한 여러 좋은 자료들이 있는바, 여기에서는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수종을 중심으로 조경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특성과 목재데크 제조 시 사용되는 목재의 특성을 서술하였다. 참고한 여러 문헌을 통해서 보다 세부적인 내용이나 다른 수종에 대한 정보, 또는 일반적으로 일치하지 않거나 혼동되는 부분에 대해 독자 스스로 확인하고 더 적합한 목재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주요 수종의 특성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수종 중 조경용으로 사용 시 고려되어야 할 특성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다. 미송의 경우, Douglasfir 또는 Westernhemlock이 미송으로 번역된 것으로 볼 때, 북아메리카에서 수입되는 소나무류를 미송으로 통칭한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에서는 주요 북미수종인 더글라스 퍼(Douglas fir), 솔송나무(Hemlock)의 재질특성과 용도를 서술하였다.
  • Part 2. 목재공사 및 관리: 하드우드 종류 및 특성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Hardwood 자연에서 자라는 목재는 그 쓰임새에 따라 여러 가지 제품으로 가공되어 그동안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했음은 당연하다. 또 건강과 안정감을 주는 목재는 사람과 친숙하다. 주지하듯 국내에서는 침엽수 소경재 주종으로 이루어져 산업재로 쓸 수 있는 목재는 소프트우드로 한정되어 있다. 더욱이 활엽수인 하드우드는 전무하다고 볼 수 있어 그동안 하드우드는 동남아산인 남양재를 집중적으로 수입하여 산업재와 건축재로 사용해왔다. 하지만 지금은 남양재가 많이 고갈되어 가고 있으며 몇 년 후면 수입할 목재가 부족해 국내 수탁도 힘들뿐더러 가격경쟁력도 더욱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이에 따라 대체 지역으로 남미와 아프리카가 떠오르고 있다. 특히 남미의 아마존 유역은 적도에 가까워 하드우드 심재가 진하고 단단해 품질이 좋고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대경재가 많다. 남미산 하드우드와 특성·따와리(TAHUARI)따와리(Tahuari)는 국내에서는 이뻬(Ipe)로 알려져 있으며 매우 단단한 종류의 나무이고, 수축도 낮다. 이 나무는 높은 내구성이 있기 때문에 톱질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별모양의 톱이 사용된다. 작업 중에 먼지들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마스크와 고글이 필요하다. 마른나무는 일을 할 때 한층 더 힘들다. 회전력이 좋은 강철분쇄 절단기가 필요하다. 자연적 건조는 느리며 인공적 건조는 휨 또는 갈라짐을 감소시키기 위해 온화한 환경에서 수행해야만 한다. 자연적인 내구성이 좋고 생물학의 공격에서 잘 버틴다. ·시와와코(SHIHUAHUACO)시와와코는 국내에서 꾸마루(Cumaru)로 알려져 있으며 매우 단단한 종류의 나무이고 안정된 수축을 보여주며 기계적 저항도 높은 수준이다. 톱질하기가 어려워 충분한 장비들과 별모양 사슬 톱을 사용해야 한다. 큰 제재목은 자연적으로 건조하기 어렵고 뒤틀림이 일어날 수도 있다. 온화한 환경 안에서 인공건조를 할 때 불량률이 낮다.
  • Part 2. 목재공사 및 관리: 합성목재의 특성과 활용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the Synthetic Wood 인류의 문명이 발달하고 삶의 질이 향상될수록 천연소재에 대한 수요는 증대한다. 우리 주위에 있는 수많은 시설물들에 눈길을 돌려봐도 나무가 차지하는 비중이 대단히 큰 현상을 쉽게 볼 수있다. 이러한 추세는 선진화, 문명화될수록 더욱 그러할 것이다. 목재를 가구재나건축물 내부의 마감재로 채택하면 천연의 질감을 오랫동안 느낄 수 있고, 수종별 특징을 살린 여러 가지 활용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부에 노출되는 곳에 목재를 설비하기 위해서는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보존처리가 필수적이다. 사용환경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겠지만 목재는 정기적 인개·보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부패를 막을 수 있는방법이 없다. 천연재료인 목재의 특징상 수분에 노출되거나 기복이 있는 자연기후에서는 변색, 곰팡이서식, 부패 등의 약점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해서 바깥 환경에 시공하는목재를 오래쓰기 위해 인체나 자연환경에 유해한 물질을 첨가한다면, 비록 목재의 보존처리연한은 증대할지 모르나 궁극적으로는 인간과 자연에 해악을 끼치는 결과를 낳게 될것이다.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CCA방부처리방식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 그 사용이 금지된 것도 이러한 연유에서이다. 이와같이 목재의 사용연한에 요구되는 문제와더불어, 원목자원의 고갈과 수급불균형의 문제, 폐목의 처리비용문제 등도 목재를 대체할 만한 새로운 소재의 탄생을 갈망하게 된 요인이다. 이에 따라 외부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소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그 결과물로 나온 것이 합성목재이다. 특히 1990년대 북미시장에서는 자동차용 내장재로부터 사용이 시작되었다.
  • Part 2. 목재공사 및 관리: 조경시설물용 목재의 방부처리
    Preservative Treatment for Wooden Landscape Facilities 목재방부의 정의목재방부라 함은 부후균 및 연부후균의 가해로부터 목재를 보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목재의 방부·방충 처리 기준(산림청고시 제2011-4호)”에서는 방부성능에 대해 2조 7항에서 “목재 부후균에 의한 목재의 열화(劣化)를 목재방부제로 제어시키는 효능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목재 방부”의 개념을 잘못 이해해서 목재를 가해할 수 있는 외부의 모든 환경으로부터 목재를 보호해야 한다는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잘못된 생각은 보존처리목재의 사용에 많은 오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목재방부의 필요성목재 및 목질재료는 환경친화적 생물재료이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그것은 생물학적 요인 및 비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목재 및 목질재료가 열화되어 본래의 장점과 기능을 잃게 된다는 것이다. 즉, 균류, 곤충류, 해양천공충류 등의 공격을 받아 목재부재가 열화되어 목구조물 전체의 안전을 위협한다. 가장 피해가 큰 대표적인 생물학적 열화인자로는 목재부후균, 흰개미, 나무좀, 배먹이 벌레 등이 있다. 방부처리 과정과 방법목재가 썩는 것은 목재부후균(木材腐朽菌)이 목재를 영양분으로 사용하여 생장함으로써 목재의 본래 기능을 상실하도록 목재 세포를 파괴하는 것을 말한다. 목재부후균의 생장에는 공기, 수분, 온도, 영양분 등이 필요하다. 방부처리는 부후균의 생장 필수요소중 영양분으로 사용되는 목재를 약제(방부제)로 제어하는 일련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방부제를 주입하는 방법에는 크게 가압처리법과 상압처리법으로 나눌 수 있다.
  • Part 2. 목재공사 및 관리: 목재시설물의 하자유형과 목재 종류별 하자분석
    Analysis of Defects in Wooden Landscap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Wood 머리말국민 소득 수준과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안전과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친환경적이고 아름다운 조경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조경시설물 공사는 인간 활동에 필요한 놀이공간, 운동공간, 휴게공간 등의 조경시설공간에 주변 환경과 조화되는 시설물을 설치하여 공간의 기능성과 조화성, 조형성, 실용성을 부여할 수 있는 형태와 재료를 선정하여 경관을 아름답게 꾸미는 일련의 공간작업이라 할 수 있다.목재는 자연에서 얻어지는 천연재료로서 건축재료와 가구재로오랫동안사용되어왔으나석재등다른재료와는 달리 목재는 ‘부후와 변형’이라는 취약점을 갖고 있다. 그동안 목재가 옥외재료로 사용되는 데는 취약점과 비용 등의 문제로 한계가 있었으나 방부건조 기술의 발달로 이러한 단점이 많이 보완되었고, 가공이 쉽고 사람들에게 친숙하다는 장점이 있어 점차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근래 들어 경제성장에 따라 외부공간 조성에 있어서도 조경시설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친환경 재료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목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그러나 야외 조경시설용재나 목조건축물에 사용되는 목재는 다양한 생물열화 인자와 비생물열화 인자의 가해를 받으면서 열화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이 목재의 중요한 결점으로 작용하게 되어 조경 목재시설물은 뒤틀림, 갈라짐과 같은 하자가 발생하고 있다.실제로 그동안 목재 조경시설물 제작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온 미송은 균열하자가 매우 많이 발생하고 있어 미송을 대체하여 수입목재인 활엽수재(hardwood)를 사용하는 사례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활엽수재들은 미송에 비해 고가이며 실제 하자발생이 얼마나 저감되는지에 대한 정보나 실태조사 없이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다.뿐만 아니라 수입 활엽수재에서도 균열 하자가 발생하고 있어 시공자에게 목재 수종별 특성과 하자 발생정도에 대한 정보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본 고稿에서는 목재시설물의 하자유형을 살펴보고 조경시설물 제작에 많이 사용되는 미송, 부켈라, 니아토, 말라스 등의 목재를 대상으로 목재 종류별 하자현황을 조사·분석하였으며, 시공자로 하여금 적합한 목재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고 목재 조경시설물의 하자를 저감하는데 조금이나마 기여하고자 한다.
  • Part 3. 목재산업의 현황과 전망: 조경소재로서 목재의 비중과 향후전망
    Future Prospects and the Importance of the Wood as Landscape Material 우리들 실생활에 있어서 어떤 소재를 활용할 것인가 하는 것은 인류의 건강한 삶과 지구환경의 관점에서 고려해야할 것이며 화석연료의 부산물이나 화학적합성제품은 배제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미국의 부통령을 지내고 대통령선거에 출마했다가 국민의 총득표수에서는 승리하였으나 미국의 독특한 선거제도로 인해 패했던 앨고어와 당선된 부시는 환경문제에 있어서는 서로 상반된 견해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쪽은 석유재벌을 후원자로 하여 개발을 외쳤고, 다른 한쪽은 지구환경개선을 위해 열정적 활동을 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을 주장하며 지구위기를 주제로 다큐멘터리영화 ‘불편한진실’에 직접 출연하고 제작에 참여했고 그 공로를 인정받아 2007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하였다.2004년 미국의 ‘투모로우’, 2009년 한국의 ‘해운대’ 등 인간의 욕심이 키운 자연재앙을 소재로 한 영화들이 많은 관객을 동원하였다. 실제로 2004년 남아시아 8개국, 2011년 일본후쿠시마에서 지진으로 인한 해일로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지금 세계 각처에서는 태풍과 가뭄, 폭우, 폭설 등 예측할 수 없는 자연재해가 속출하고 있으며 남태평양의 조그만 섬나라 투발루는 지구온난화로 물에 잠겨 수년 내에 지구상에서 사라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미 국토의 절반이 물에 잠겼다. 참으로 투발루국민이 억울한것은, 국제에너지기구가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인구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미국20톤, 호주17톤, 한국10톤, 뉴질랜드8톤인데 투발루는 0.4톤이다. 그러나 총리를 비롯한 지도자들이 유엔을 비롯한 세계각국에 눈물로 호소하였으나, 이웃국가들은 40세이하 젊은 주민은 받아 들이고 그 이상연령의 투발루국민의 이주는 거부한다고 한다. 참으로 인색하기 짝이 없으며 40세이상 노령층은 바다에 빠져 죽어야 하는 신세다.2010년 한 기독교탐사대는 해발4,000미터의 고산지대에서 목재표본의 탄소연대를 측정 한 결과 기원전 2800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노아의 방주를 발견했다고 한다. 진위여부를 논하기 전에 지구의 대홍수나 빙하기가 올수도 있다는, 앞에서 언급한 불편한 진실이 현실화되어 가고 있다고 잠시 생각해본다. 우리의 다음 세대는 노아의 방주를 만들기위해 목재가 필요할 지도 모르겠다.
  • Part 3. 목재산업의 현황과 전망: 목재제품 규격 및 품질관리제도
    Wood Products Standard and Quality Control System 품질관리제도 도입배경세계는 기후변화로 상징되는 ‘환경위기’와 고유가로 대표되는 ‘자원위기’에 동시에 직면하고 있으며, 지금과 같은 에너지 다소비 체제가 지속될 경우 기후변화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매년 세계 GDP의 5~20%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또한 산림부문 목질계에너지와 목재제품의 활용증대는 화석연료 대체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유력한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어 목재이용 확대를 통한 목재산업의 발전이 녹색성장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목재는 생산 및 이용과정에 있어 온실가스 배출이 적고, 탄소를 장기간 고정함으로써 최소 비용으로 지구온난화 방지에 기여하는 주요 대책 중의 하나로 세계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서도 그 중요성 을인정하고 있다.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웰빙, 로하스(LOHAS) 등 건강에 관한 국민적 관심 증가와 더불어 친환경소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목재 및 목재제품의 이용량 또한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내 산림자원량 또한 1970년10㎥/㏊에서 2010년126㎥/㏊으로 12배 이상 성장하였다.한편, 목재이용 수요 증가로 다양한 목재제품이 개발·공급되고 있으나, 제품의 품질 및 안전성은 아직도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고 있어 불량제품 유통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이에 따라 품질 향상과 유통질서 확립을 위해 목재제품의 규격 및 품질기준을 정하고 품질인증의 시행 등 제도의 도입이 시급히 필요하게 되었다.
  • Part 3. 목재산업의 현황과 전망: 목재 놀이시설에 대한 小考: 내 어린 날의 보물
    View On the Wood Landscape Playing Facility 목재 놀이시설의 선호도와 이미지생활의 질이 점점 높아지고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최근 조성되는 공동주택단지는 거주자들의 외부공간에 대한 만족도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주고 있는 조경 요소에 많은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어린이놀이터도 디자인이나 소재측면에서 아이들의 상상력을 키워주기 위해 참신한 디자인을 적용하거나 다양한 소재를 도입하고 있다(안근영 외, 2008).흔히 어린이 놀이터 놀이시설에 사용되는 소재는 크게 목재, 철재, 합성수지 등으로 나눌 수 있다(신병철, 2000).그중에서도 목재는 앞서 언급하였던 여러 가지 구조적인 장점과 인성 및 감성 형성 효과, 친환경적 특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1990년대 후반까지의 국내 목재 놀이시설은 재료 수급의 어려움과 기술력의 한계로 디자인 및 제작에 어려움을 겪어야만 했다. 이렇게 취약했던 목재 놀이시설은 2000년대 초부터 유명 브랜드의 민간건설사 공동주택 어린이놀이터에 오랜 역사의 목재 가공능력과 구조에 대한 우수한 기술력, 디자인을 겸비한 국외 원목·목재 놀이시설이 도입되면서 단지의 공간테마와 이야기에 맞춰 다양하고 독특한 창조적 놀이공간을 연출해 내고 있다.이러한 유럽 및 미국의 대형 놀이시설물 업체의 원목 놀이시설과 목재 놀이시설이 들어오면서 놀이시설의 새로운 디자인과 친환경적이며 다양한 교육적 가치를 지닌 따뜻한 소재인 우수한 목재 놀이시설에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하였고, 조사에 의하면 이러한 목재 놀이시설들은 기존의 철재, 합성수지의 놀이시설보다 형태적으로나 구조적으로 입주민들의 선호도와 이미지 분석에서도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다.연구논문 “목재시설물의 선호도 및 이미지 분석(변미승, 2001)”에서 목재시설물의 선호도는 대부분(81.2%)의 이용자가 목재시설물을 다른 재질, 즉 철재, 석재, 합성수지플라스틱의 시설물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목재시설물이 다른 재질에 비하여 자연 친화적인 느낌이 크기 때문에 선호한다는 것이 65.4%로 가장 많았고 안정감이 있고, 디자인이 아름답다는 순으로 목재시설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목재시설물의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자연적인 아름다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늑함, 실용성, 상쾌함 순으로 분석되었다. 즉 이용자들이 목재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특히 자연적인 아름다움과 아늑함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이다.이렇듯 일반적으로 목재는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편안함과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준다. 이는 목재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색감과 질감에서 비롯되며 이러한 목재 고유의 특성은 현대인들의 자연 친화적 성향을 반영하며 최근 목재 수요의 증가에 큰 몫을 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은 계속될 것으로 생각하므로 목재수요시장은 개발 잠재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장상식, 1996).
<< 1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