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관리
폴더명
스크랩
  • Part 3. 잔디 산업의 현황과 전망: 신공법 개발: KSGS공법
    Development of New Method: KSGS Method들어가며그동안 잔디분야에서 개발 혹은 발명은 새로운 품종의 개발이나 비료, 약품 등에서 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오늘날 잔디가 우리 생활의 중요한 활동공간이 되면서, 많은 사용에도 잘 견디며 지속적으로 좋은 품질을 유지하고 관리/운영 또한 용이하여 최대의 활용성이 보장되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공법은 아래의 단계별 과정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잔디활용의 전반에서 혁신적인 발전을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1. 초종의 선정: 지역의 기후적 환경과 용도 및 가능한 관리수준에 맞는 초종을 선정2. 지반구조의 결정: 초종과 사용정도 및 관리수준에 맞는 지반구조 결정3. 잔디조성방법 선정: 전체 공정에 따른 시공시기와 사용까지의 여유기간에 맞춰 현지파종, 평떼심기 및 롤잔디 깔기 등을 선택4. 관리 및 운영: 자체 관리팀이나 외부 용역, 혹은 병행으로 관리 및 운영1~4단계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표 1>과 같다.공법의 개발 및 발전잔디 조성 공법의 개발과 발전은 특정 운동을 하는 경기장의 지반 조성방식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스포츠구장은주로 영국에서, 골프장의 그린은 미국골프협회(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의 USGA방식이 기본이 되어 왔다. 우리나라는 골프장의 건설이 본격화되면서 USGA방식을 기본으로 하되 여름에 집중호우와 고온다습한 한국적 기상여건을 감안하여 모래와 자갈의 규격을 약간씩 변화하는 방식으로 발전하여 왔다. 경기장의 경우는‘2002 한·일 월드컵’을 개최하면서 월드컵조직위원회의 잔디분과위원회에서 USGA를 기본으로 광 조건과 바람에 대한 적용, 재료 규격의 변화 및 유용한 첨가제를 찾는 연구와 실험이 진행되었다. 특히 경기장에 사용하는 켄터키블루그래스(Poapratensis L.)의 적응과 관리기술을 체득하는데 노력하여 전국에 켄터키블루그래스로 조성된 경기장이 많아지고 관리수준도 높아졌다.
  • Part 3. 잔디 산업의 현황과 전망: 천연잔디와 구별되는 인조잔디의 특성 및 활용
    Characteristics and Uses of Artifiucial Turf Different from Those of Turfgrass인조잔디 현황만물이 새롭게 기지개를 켜는 봄철이 되면서 나들이나 운동을 하기에 적합한 시기가 됐다. 가벼운 걷기나 자전거타기 외에도 본격적으로 각 지자체의 생활체육활동이나 조기축구회 등을 통해 운동장에서 땀 흘리면서 삶에 찌든 스트레스도 해소하고, 건강도 다질 수 있게 됐다.특히 예전에 비해 요즘은 인조잔디구장 등 운동하기에 좋은 시설을 갖춘 공간들이 많아졌다. 실제로 경기도 내 한 지자체는 지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수차례에 걸쳐 체육공원에 인조잔디를 설치한 뒤 각 면 단위 체육공원 축구장에도 인조잔디를 깔았다. 이처럼 각 지자체의 공설운동장이나 초·중·고교의 운동장에도 점차 인조잔디를 조성해, 보기에도 깔끔하고 운동하기에도 좋게 개선하고 있다. 사계절 모두 천연잔디를 구비하기 어려운 우리나라로서는 인조잔디가 계절에 관계없이 항상 푸름을 유지하고 환경조건의 제한을 받지 않아 시공 후 관리가 용이하다는 측면에서 인조잔디의 유용성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인조잔디의 역사그렇다면 인조잔디는 언제부터 사용된 걸까? 인조잔디의 발생 배경은 천연잔디가 자라지 못하는 지역에서 잔디의 생존문제를 어떻게 극복하느냐에서 비롯되었다. 1950년대 말 개발된 인조잔디가 처음 깔린 구장은 릴라이언트 애스트로돔(Reliant Astrodome)이다. 애스트로돔은 개장 당시 반투명식 지붕에 천연잔디를 깔았는데,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해 빛을 차단했더니 천연잔디가 다 죽어버려 결국 이듬해인 1966년 인조잔디로 교체했다.􀀃이렇게 처음 도입된 인조잔디는 애스트로돔의 이름을 따서 애스트로 터프(Astro Turf)라고 불리게 되었다. 아시아에서는 1975년 일본 고라쿠엔 야구장에 인조잔디구장이 최초로 포설되었다.
  • Part 3. 잔디 산업의 현황과 전망: 잔디분야 최근 연구 동향
    Recent research trends on turfgrass우리나라 잔디분야의 시장규모는 최근 들어 주춤하는 양상을 띠고 있지만, 그동안 규모면에서 많은 성장을 거듭해 시장 규모가 2006년 조달청 자료에 의하면 1조 3,000억원에 이른다. 그러나 많은 성장을 해온 시장규모에 비해서 우리나라의 잔디학문분야는 아직은 많은 숙제를 안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물론 잔디학문분야도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지만, 시장규모의 성장속도를 따라가기에는 아직은 부족한 측면이 많다.􀀃본 글에서는 최근 잔디분야의 연구동향과 우리나라 잔디산업의 현실 속에서 학계와 업계가 함께 중점을 두어야 할 점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잔디분야 뿐 아니라 다른 많은 학문분야에서도 마찬가지로 최근 연구동향을 논할 때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환경문제를 언급하게 된다. 이는 틀림없는 중요한 이야기이다. 잔디분야에서도 친환경 잔디재배 및 관리에 대해서 많은 언급이 되고 있으나 그냥 ‘환경문제’라는 말로 넘어가기에는 너무나 많은 것들이 간과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한다. 다음의 <표 1>을 보도록 하자. <표 1>의 그래프는 4년마다 발간되는 국제잔디학회에서 가장 최근인 2009년도에 발간된 논문집에서 각 주제별 발표된 논문의 개수이다. 가장 많은 논문수를 나타내는 것이 조성과 관리, 환경문제, 병, 그리고 생리 등의 순서이다. 그러나 각 주제 당 논문의 구체적인 내용을 보게 되면 이들 중 대부분은 물과 환경문제와 연관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의 경우 많은 수의 논문이 병 방제를 위한 병 발생 예측과 화학약품을 줄이기 위한 실험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조성과 관리부분에서도 효율을 높이기 위한 실험결과 즉, 파종의 시기나 물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연구결과가 대부분이다. 환경문제를 주제로 한 논문들 중에서는 단연 물과 비료성분, 특히 질소와 인의 손실 문제가 가장 큰이슈였다. 종합적으로 논하자면 주제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구방향이 예전에는 문제점의 해결법을 찾는 쪽이었다면 지금은 그 방향이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환경문제를 최소화하는 쪽으로 그 흐름이 바뀌고 있는 것이다. 어떠한 점들이 포함되는지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우리가 인지해야 할 부분에 대해 보도록 하자.
  • Part 4. 잔디 관련 제품사례
    Turfgrass Related Product Information네 번째 파트인 잔디 관련 제품사례에서는 다양한 제품 정보를 수록하고자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고, 시공되고 있는 관련 업체들의 주력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보다 실무적인 정보가 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최종적으로 8개 업체에서 제품 관련 정보를 제공해 주었고, 수록된 내용은 업체별로 대표적인 제품 2~4가지의 주요 제품의 특징, 효과 등을 설명과 함께 정리하여 상황에 맞는 제품 선택이 가능하도록 소개하였습니다. 또한, 학생이나 실무자에게 유익한 도움이 되도록‘간추린 잔디용어사전’을 부록으로 게재하였습니다.자료 협조에 도움을 준 업체 관계자 여러분에게 지면을 통해 감사드립니다. 참여업체잔디 생산업체 (주)엘그린|한울스포츠잔디잔디 종자업체 덕창|토탈그린관련 제품 키그린|푸름바이오|한림로덱스|한설그린*업체순서는 가나다 순으로 정리하였음을 알려 드립니다.
    • / 2012년06월 / 66
<< 1 2 3